해제

닫기

금강반야바라밀경윤관(金剛般若波羅蜜經綸貫)

1. 저자
득통 기화得通己和(1376~1433) 당호는 함허涵虛, 속성은 유劉. 조선 초기의 억불 정책하에서 불교를 수호한 고승으로, 1397년 회암사檜巖寺에서 나옹 혜근懶翁惠勤의 제자 무학 자초無學自超에게 출가하였다. 1421년 세종의 명으로 대자암大慈庵에 주석하였고, 1431년 문경聞慶 봉암사鳳巖寺를 중수하고 1433년에 입적하였다.
2. 서지 사항
발행 사항 미상. 필사본. 불분권 1책. 23.0×21.0cm. 「반야경대의般若經大義」가 부기되어 있다.
3. 구성과 내용
본서는 『금강경金剛經』을 10개의 문門으로 분과分科하고, 문답 형식으로 그에 대한 해설을 붙인 책이다. 근기에 따른 8문의 설정이라고 하는 독특한 분과 방식으로 인해 『금강경』의 구조와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구성은 서분序分, 정종분正宗分, 유통분流通分의 전통적 체제를 따르면서 정종분을 다시 8문으로 세분하여 총 10문으로 나누었다.
정종분의 8문은 「의리기신문依理起信門」, 「의오기수문依悟起修門」, 「성행취과문成行就果門」, 「인과원융문因果圓融門」, 「법통미래문法通未來門」, 「의리불적문依理拂迹門」, 「현승권지문現勝勸持門」, 「환시불적문還示拂迹門」이다. 이는 발심 수행과 깨침의 증득證得이라고 하는 수증修證의 순차로 되어 있다. 특히 상근기上根機를 위한 「차제개시次第開示」, 중근기와 하근기 각각을 위한 「누루이설累累而說」로 8문을 다시 구분하여 근기에 따라 다르게 설명한 점이 본서의 특징이다. 즉 마지막에 처음 발심한 자를 위해 이 책을 지었다고 밝힌 것처럼 근기에 따른 인과因果의 차이를 설명하고 적합한 수행 및 증득의 방안을 각각 제시하고 있다.
『금강경오가해설의』가 기존의 『금강경』 해석에 주석과 설명을 붙인 것이라면, 본서에는 『금강경』에 대한 저자의 이해 방식 및 입장이 보다 분명히 드러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