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삼가귀감이본(三家龜鑑異本)

1. 저자
청허 휴정淸虛休靜(1520~1604) 속성은 최崔, 속명은 여신汝信, 아명은 운학雲鶴, 자는 현응玄應. 부용 영관芙蓉靈觀을 전법사傳法師로 하여 계를 받았다. 남원 땅을 지나다가 닭이 홰를 치며 길게 우짖는 소리를 듣고서 대오하였고, 만행에 힘써 관동 지방을 유람하고 서울로 올라와 승과에 응시하여 중선으로부터 시작하여 마침내 선교양종판사에 이르렀다. 이후 묘향산, 지리산, 금강산을 편력하였다. 팔도십육종도총섭을 맡아 의승군을 지휘하여 국난 극복에 크게 기여하였다. 선을 중심으로 하면서 염불과 정토와 주력 등 제반 수행을 긍정하였으며, 70여 명의 사법 제자를 배출하여 조계선맥의 근간을 형성하였다.
2. 서지 사항
발행 사항 미상. 목판본. 1책
3. 구성과 내용
발행 사항 미상. 목판본. 1책일반적인 『삼가귀감』본과 제목은 동일하지만 순서 및 내용이 상당히 다르다. 청허 휴정의 서문, 상ㆍ하 두 권의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의 경우 『선가귀감』에 붙인 것과 동일하다. 본문의 처음에는 구도자가 지녀야 하는 간절한 마음 자세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곧 옥을 캐려는 자는 천 길 높이의 산봉우리라도 위험을 무릅쓰고 올라가야 옥을 얻을 수가 있고, 진주를 캐려는 자는 만 길 깊이의 바다 속이라도 기꺼이 들어가야만 진주를 얻을 수가 있듯이 구도자라면 조용한 곳에서 단좌하여 마음을 비워야 마음을 터득할 수 있음을 전제로 내세우고 있다.<개행>본문의 말미에는 『삼가귀감』을 편찬한 대의에 대하여 3교의 무리들이 각각의 가르침과 견해에 집착하여 상대를 인정하지 못하는 까닭에 간략하게 3교의 문호를 개방하여 서로 뜻이 통하게 함으로써 바야흐로 깨침이 완성될 수 있음을 언급한다. 나아가서 깨침이란 일원상과 같은 것으로서 3교에 차별이 없이 널리 통한다면 유교와 도교와 불교라는 명칭은 편의상 붙인 이름에 불과하다는 해설이 수록되어 있다.<개행>상권에는 『선가귀감』의 일부분이 수록되어 있고, 하권에는 『선가귀감』의 일부분과 『유가귀감』 및 『도가귀감』의 순서로 수록되어 있다. 『선가귀감』의 경우, 오가五家의 법맥은 생략되어 있지만 중요한 교의에 대하여 소략한 언급을 해 두고 있다. 그리고 『선가귀감』을 간략하게 기록해 두는 이유에 대하여 불조佛祖가 중생을 위해 당부한 말씀을 가려 놓았으니, 번거롭게 간주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유가귀감』의 경우는 『논어論語』, 『서경書經』 등 다양한 유교 전적을 인용하였고, 『도가귀감』의 경우는 주로 『도덕경道德經』과 『장자莊子』의 내용을 인용하였다. 일반적인 『삼가귀감』과 조금 다르게 자세한 해설을 붙인 곳도 더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