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정토보서(淨土寶書)

1. 저자
백암 성총栢庵性聰(1631~1700) 속성은 이李, 남원 사람이다. 13세에 출가하고 16세에 구족계를 받았으며, 18세에 취미를 만나 9년 동안 법을 배웠다. 30세에 강을 받고 명산을 유력한 후 조계ㆍ징광ㆍ쌍계 등에 안주하면서 선禪과 교敎를 선양하였다. 1681년 임자도 표류 선박 안에서 많은 불서들이 발견되자 이들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골라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이 가운데 징관澄觀의 『화엄경소초』는 이후 대교과의 교재로 채택되어 당대의 화엄학 연구에 새로운 전기를 만들었다. 1700년 쌍계사 신흥암에서 입적하였다. 법을 이은 제자로는 무용 수연無用秀演이 있다.
2. 서지 사항
전남 낙안 금화산 징광사澄光寺, 1686년(숙종 12) 개간. 목판본. 1책. 27.9×18.5cm. 전남 신안의 임자도에 표착한 중국 무역선에 실려 있던 정토 관련 서적 『정토자량전집淨土資糧全集』ㆍ『정토신종淨土晨鐘』ㆍ『귀원직지歸元直指』 등 가운데서 주요 내용을 발췌하여 편집.
3. 구성과 내용
전남 낙안 금화산 징광사澄光寺, 1686년(숙종 12) 개간. 목판본. 1책. 27.9×18.5cm. 전남 신안의 임자도에 표착한 중국 무역선에 실려 있던 정토 관련 서적 『정토자량전집淨土資糧全集』ㆍ『정토신종淨土晨鐘』ㆍ『귀원직지歸元直指』 등 가운데서 주요 내용을 발췌하여 편집.서문을 포함하여 1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내용은 극락정토에 왕생하기 위한 방법으로 염<개행>불의 공덕을 강조하였으며, 『아미타경』을 읽고 외울 것을 당부하였다. 제2장 「아미타불인지阿彌陀佛因地」와 제3장 「관세음보살대세지보살인지觀世音菩薩大勢至菩薩因地」는 정토에 이르는 첫걸음으로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의 전생담을 설명한 것이다. 제4장 「정토기신문淨土起信文」은 정토의 믿음을 일으키게 하는 글이고, 제5장 「권수정토지업勸脩淨土之業」은 정토 수행을 권하는 글이다. 이어서 염불과 그 공덕을 나타내었고, 왕생을 하기 위해서는 『아미타경』을 염송할 것을 강조하였다.<개행>본서에서 가장 분량이 많은 핵심적인 내용은 제13장 「정토과험淨土果驗」이다. 스님, 왕과 신하, 선비와 백성, 비구니, 부녀자, 악인惡人, 축생畜生 등으로 나누어 실제로 왕생한 이야기를 소개하였다. 주제는 극락에 왕생하기 위한 방법으로 염불의 공덕을 강조한 것이다. 이 책은 비록 중국 정토 관련서의 편집본이지만, 이 책의 편찬과 유통에는 정토신앙이 널리 확산되는 조선 후기의 사상적 추세가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