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우당시고(藕堂詩稿)

1. 저자
우당藕堂(생몰년 미상) 해남 대흥사大興寺의 선맥을 잇는 극암 사성克庵師誠(1836~1910)의 법손이고, 혼원 세환混元世煥의 제자이므로, 저자의 생애는 1850년대 후반에서 1900년대 초반까지일 것이다. 시를 주고받은 인물이 여럿 있으나, 생몰 연대를 알 수 있는 분은 좌주座主로 모셨던 금파 경호錦波竟胡(1868~1915)뿐이다.
2. 서지 사항
발행지 미상, ❴1903년❵ 찬술. 필사본. 1책. 28.3×16.4cm. 필사본에는 ‘사고私稿’라 되어 있는데, 『한국불교전서』 12책에 수록하면서 편집자가 서제序題 ‘우당시고藕堂詩稿’를 서명으로 삼았다.
3. 구성과 내용
발행지 미상, ❴1903년❵ 찬술. 필사본. 1책. 28.3×16.4cm. 필사본에는 ‘사고私稿’라 되어 있는데, 『한국불교전서』 12책에 수록하면서 편집자가 서제序題 ‘우당시고藕堂詩稿’를 서명으로 삼았다.시 128편 149수가 수록된 시집이다. 문은 〈수륙천도재연문水陸薦導齋緣文〉 단 한 편뿐이다. 칠언율시가 대부분인 것도 특성이라 할 수 있겠다.<개행>한 제목에 칠언절구와 오언절구 1수씩을 지어 마치 한 수의 시인 듯이 짝을 이루고 있는 것도 특색 이라면 특색이다. 칠언과 오언의 각운을 동일 운으로 하거나 같은 운목韻目으로 한 것을 보면 칠언시와 오언시를 따로 짓기는 하되, 하나의 주제로 아우르려는 의도가 있는 듯하다. 이러한 양식으로 시 13제題를 시집의 앞머리에 놓고, 이후 작품은 모두 칠언율시 일색이니, 칠언절구와 오언절구 1수씩을 아울러 한 편의 율시처럼 시도한 것은 아닌가 하는 추론도 해 보지만, 각각의 주제는 다르니 한 제목에 두 수의 시가 있는 셈이다.<개행>일상생활에서 보고 느끼는 술회적述懷的 시가 주조를 이룬다 하겠으니, 대인관계의 시라 하더라도 일상적 감회일 뿐이지, 대한제국 말엽이라는 시대 상황에 대한 논평적 수사는 없다.<개행>시가 뛰어나서 『우당시고』는 『극암집克庵集』, 『혼원집混元集』과 함께 연계되는 불가의 삼대연방집三代聯芳集이라 해도 무방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