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사가매경(私呵昧經)

1. 개요
이 경은 지겸(支謙)이 한역한 『사가매경』으로 보살도의 수행과 일체지(一切智)를 얻은 여래의 공덕에 대해 설한 경전이다. 별칭으로 『도수경(道樹經)』, 『도수삼매경(道樹三昧經)』, 『보살도수경(菩薩道樹經)』, 『사가삼매경(私訶三昧經)』, 『사말경(私末經)』, 『사아말경(私阿末經)』, 『사아매경(私阿昧經)』 등이라고도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오(吳)나라 때 지겸(支謙)이 223년에서 253년 사이에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장자의 아들 사가매(私呵昧)의 청법에 의하여 부처님이 보살이 불도를 얻는 과정을 설한다. 부처님이 왕사성의 죽원(竹園)에 있을 때였다. 장자 서심(誓心)의 아들 사가매가 부처님의 몸이 비할 바가 없이 단정함을 보고, 부처님에게 어떤 본행과 공덕을 쌓았는지를 청하자, 부처님이 설한다. 선남자와 선여인이 부처님에 의지하여 머무르고, 바른 길에 들어가서 되돌아오지 않으며, 선지식(善知識)의 인(因)을 얻어 스스로 의지하며, 큰 원(願)을 지니고, 겁내거나 약하지 않아서 지혜를 싫어함이 없는 등의 여섯 가지를 행하면 보살의 뜻을 일으키지 않아도 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부처님은 보살의 뜻을 일으킨 자의 즐거움, 몸과 마음의 휴식, 행할 바를 여섯 가지로 설한다. 이어서 부처님은 보살이 무소종생(無所從生) 법인(法忍)을 얻기 위해서는 몸이 있다고 헤아리지 않아야 하는 것 등의 여섯 가지를 행해야 하고, 신력(身力), 구력(口力), 의력(意力), 신족력(神足力), 도력(道力), 혜력(慧力)을 얻어서 일체지(一切智)를 얻는다. 일체지를 얻은 동유(童孺) 여래는 부처의 10력(力)과 4무소외(無所畏) 등의 여섯 가지에 머무르다가 여섯 가지로 멸도하고, 멸도한 뒤에는 여섯 가지의 공덕이 있으며, 안‧이‧비‧설‧신‧의 등을 여의는 것이 무상 정진도(正眞道)의 진리이다. 부처님의 설법을 듣은 사가매가 기어코 법기(法器)가 되겠다고 결심하자, 부처님은 과거의 모든 부처가 그에게 수결(授決)하였음을 알리고, 불전의 이름을 묻는 아난에게 보살도수경(菩薩道樹經)이라 부르고 잘 받들어 지킬 것을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