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관소연연론(觀所緣緣論)

1. 개요
이 논은 소연연(所緣緣)에 대해 고찰한 것으로, 8개의 게송과 그에 대한 주석으로 이루어진다. 산스크리트경명(梵語經名)은 Ālambanaparīkṣā이고, 티벳어경명(西藏語經名)은 Dmigs pa brtag pa이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당(唐)나라 때 현장(玄奘)이 657년에 동도(東都)의 대내려일전(大內麗日殿)에서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로 법호(護法)의 『관소연론석』, 조복천(調伏天)의 『관소연론주석』, 명욱(明昱)의 『관소연연론회석(觀所緣緣論會釋)』, 지욱(智旭)의 『관소연연론직해(觀所緣緣論直解)』 등이 있다. 이역본으로 진제(眞諦)가 한역한『무상사진론(無相思塵論)』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논은 소연연(所緣緣)에 대해 고찰한 것으로, 진나(陳那)가 저술하였다. 8개의 게송과 그에 대한 주석으로 이루어진다. 소연(所緣)이란 인식의 대상인 6경(境)을 말하며, 심식은 이 소연을 연(緣)으로 발생한다. 이처럼 심식을 발생시키는 연이 되는 인식의 대상을 소연연이라고 한다. 그 내용을 개괄하면, 제1송과 제2송은 극미(極微)와 극미의 취(聚) 또는 화합(和合)이 식을 발생시키는 소연연이 될 수 없음을 논한다. 제3송은 외경 실재론자의 주장을 소개하고, 제4과 제5송은 외경 실재론자의 주장을 논파한다. 제6송부터는 논자 자신의 주장을 편다. 이 논서는 외경(外境)으로 주어진 소연을 논파하고, 오직 내부의 식이 외부의 대상인 것처럼 나타난다고 설하는데, 이는 세친이 『유식이십론』에서 외경 실재론을 논파하고 유식 사상을 확립한 것과 유사하다. 신인명(新因明)을 창시한 진나의 저술은 인명에 관한 것이 많지만, 이 논은 유식 교학에 관한 것으로 법상종(法相宗)에서 중시하는 6경 11논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