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불설복중녀청경(佛說腹中女聽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대승기본(大乘基本)-여인성불(女人成佛)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經-五大部外諸重譯經
제목정보
대표서명 불설복중녀청경(佛說腹中女聽經)
경명 불설복중녀청경(佛說腹中女聽經) 1권
병음 FOSHUOFUZHONGNUTINGJING
약경명
별명 부장교녀경(不莊校女經)
저자정보
역자 담무참(曇無讖, Dharmakṣema)
형태정보
권사항 1
확장정보
고려_위치 11-0453
고려_주석
신수_NR T.0563
신수_위치 14-0914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범] Strīvivartavyākaraṇa Sūtra
산스_NOTE
적사_VOL 11
적사_PAGE 128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236
중화_VOL 019
중화_PAGE 0057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여성의 성불 가능성에 대해 설한다. 산스크리트경명(梵語經名)은 Strīvivartavyākaraṇa Sūtra이다. 별칭으로 『부장교녀경(不莊校女經)』이라고도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북량(北凉)시대에 담무참(曇無讖, Dharmakṣema)이 414년에서 426년 사이에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이역본으로 축법호(竺法護)가 한역한 『무구현녀경(佛說無垢賢女經)』과 담마밀다(曇摩蜜多)가 한역한 『전녀신경(佛說轉女身經)󰡕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여성의 성불 가능성에 대해 설한 경전이다. 여자가 보살의 길을 닦으면 여자의 몸을 여의고 남자가 된다고 한다. 경의 제목은 뱃속에 있는 여아가 들은 것을 설한다는 의미이다. 여자가 지성으로 수행하면 여덟 살이 된 사미(沙彌)의 몸과 같이 된다고 하는데, 이는 이역본 비해 여성의 성불(成佛) 가능성을 낮게 평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은 주요 등장인물인 여아의 이름이 없고, 이역본에 있는 아버지의 존재도 명시하지 않으며, 산모의 이름만 가라부(迦羅婦)라고 밝혀 놓는 등 담마밀다(曇摩蜜多)가 한역한 『전녀신경(佛說轉女身經)󰡕 비해 그 내용이 매우 간략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