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불설희유교량공덕경(佛說希有挍量功德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신행(信行)-기본신행(基本信行)-3귀의(三歸依)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經-五大部外諸重譯經
제목정보
대표서명 불설희유교량공덕경(佛說希有挍量功德經)
경명 불설희유교량공덕경(佛說希有挍量功德經) 1권
병음 FOSHUOXIYOUJIAOLIANGGONGDEJING
약경명 교량공덕경(校量功德經)
별명 희유희유교량공덕경(希有希有校量功德經)
저자정보
역자 사나굴다(闍那崛多, Jñānagupta)
형태정보
권사항 1
확장정보
고려_위치 11-0533
고려_주석
신수_NR T.0690
신수_위치 16-0783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산스_NOTE
적사_VOL 11
적사_PAGE 189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254
중화_VOL 019
중화_PAGE 0170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삼보에 귀의하는 공덕과 계를 받아 지니는 공덕에 대해 설한다. 줄여서 『교량공덕경(校量功德經)』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희유희유교량공덕경(希有希有校量功德經)』이라고도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수(隋)나라 때 사나굴다(闍那崛多, Jñānagupta)가 586년에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이역본으로 현장(玄奘)이 한역한 『최무비경(最無比經)』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삼보에 귀의하는 공덕과 계를 받아 지니는 공덕에 대해 설한다. 부처님이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있을 때,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이 삼보에 귀의하면, 얼마만큼 공덕을 얻는지 아난이 묻는다. 이에 부처님은, 어떤 이가 수다원·사다함·아나함·아라한과 4천하에 두루 가득한 벽지불에게 온갖 것을 보시하고 공양·공경·예배하다가, 그들이 멸도한 뒤에 탑을 세우고 갖가지 장식을 하는 공덕은, 순진하고 맑은 마음으로 삼보에 귀의해 얻는 공덕의 백천억 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또한 어떤 이가 모든 세계의 여래와 부처에게 갖가지 공양을 하고, 그들이 멸도한 뒤에 7보의 탑을 세우고 갖가지 장엄을 하는 공덕도, 순수하고 맑은 마음으로 삼보에 귀의해 얻는 공덕의 백천억 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그런데 어떤 사람이 삼보에 귀의하는 공덕보다 8재계(齋戒)를 받는 공덕이 크고, 8재계(齋戒)를 받는 공덕보다 5계를 받는 공덕이 크며, 5계를 받는 공덕보다 사미계나 사미니계를 받는 공덕이 크고, 또한 사미계나 사미니계를 받는 공덕보다 식차마나의 계를 받는 것이 크고, 비구와 비구니계를 받아 바라제목차에 의지하여 부처님의 가르침대로 수행하는 공덕이 더 크고 무량하다고 한다. 이상의 설법을 듣고 아난이 이 불전의 이름을 묻자, 부처님은 이 불전 안에서 설한 수승한 법은 일체 세간에서 듣기 어렵기 때문에 “희유경”이라 한다며, 이 경을 받들어 지킬 것을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