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허공장보살능만제원최승심다라니구문지법(虛空藏菩薩能滿諸願最勝心陀羅尼求聞持法)

분류정보
주제분류 신행(信行)-진언(眞言)-면죄(免罪)
주제분류 신행(信行)-진언(眞言)-화상법(畵像法)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經單譯
제목정보
대표서명 허공장보살능만제원최승심다라니구문지법(虛空藏菩薩能滿諸願最勝心陀羅尼求聞持法)
경명 허공장보살능만제원최승심다라니구문지법(虛空藏菩薩能滿諸願最勝心陀羅尼求聞持法) 1권
병음 XUKONGZANGPUSANENGMANZHUYUANZUISHENGXINTUOLUONIQIUWENCHIFA
약경명 허공장구문지법(虛空藏求聞持法), 허공장보살구문지법(虛空藏菩薩求聞持法), 허공장보살다라니구문지법(虛空藏菩薩陀羅尼求聞持法)
별명 구문지경(求聞持經), 구문지의궤(求聞持儀軌), 허공장보살능만제원최승심다라니구문법경(虛空藏菩薩能滿諸願最勝心陀羅尼求聞法經)
저자정보
역자 선무외(善無畏, Śubhakarasiṁha)
형태정보
권사항 1
확장정보
고려_위치 13-1249
고려_주석 通檢에 의거 약경명 虛空藏菩薩陀羅尼求聞持法 표기. KBC는 번역시대를 唐으로 표기.
신수_NR T.1145
신수_위치 20-0601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산스_NOTE
적사_VOL 13
적사_PAGE 701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520
중화_VOL 024
중화_PAGE 0175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허공장보살의 다라니와 그 공덕 및 허공장보살을 그려 공양하는 법을 설한다. 줄여서 『허공장구문지법(虛空藏求聞持法)』·『허공장보살구문지법(虛空藏菩薩求聞持法)』·『허공장보살다라니구문지법(虛空藏菩薩陀羅尼求聞持法)』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구문지경(求聞持經)』·『구문지의궤(求聞持儀軌)』·『허공장보살능만제원최승심다라니구문법경(虛空藏菩薩能滿諸願最勝心陀羅尼求聞法經)』이라고도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당(唐)나라 때 수바가라(輸波迦羅; 善無畏, Śubhakarasiṁha)가 717년에 서명사(西明寺)에서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허공장보살 능만제원최승심 다라니와 그 공덕, 허공장보살의 화상법과 공양법을 설한다. 이 경의 한역자는 서문을 통해 이 경이 『금강정경』 가운데 「성취일체의품」에서 나온 것임을 밝힌다. 먼저 세존이 8구절로 된 허공장보살심 다라니를 설한다. 이 다라니를 독송하면 과거부터 내려온 죄업을 모두 소멸할 수 있으며 항상 불보살의 보호를 받아 불행에 빠지지 않고 안락을 누릴 수 있다. 이어서 허공장보살에 대한 공양법을 설한다. 먼저 비단이나 깨끗한 판자 위에 보름달을 그리고 그 가운데 허공장보살을 그린다. 허공장보살은 붉은 연꽃 위에 앉은 채로 오른손은 흰 연꽃을 들고, 왼손은 수인을 취하는 모습으로 그린다. 그 그림을 불탑이나 묘지, 산의 정상이나 보리수 밑의 제단 위에 안치한 다음 향과 음식 등을 공양하고 수인과 다라니를 독송한다. 이와 같이 하면 그 복이 무한하며 5역죄와 같은 중죄를 면할 수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