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성유식보생론(成唯識寶生論)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대승각론(大乘各論)-유식(唯識)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論
제목정보
대표서명 성유식보생론(成唯識寶生論)
경명 성유식보생론(成唯識寶生論) 5권
병음 CHENGWEISHIBAOSHENGLUN
약경명 보생론(寶生論)
별명 유식순석론(識論順釋論), 이십유식송석론(二十唯識頌釋論), 이십유식순석론(二十唯識順釋論)
저자정보
역자 의정(義淨)
형태정보
권사항 5
확장정보
고려_위치 17-0438
고려_주석 KBC와 通檢은 저자 護法(Dharmapāla) 표기. KBC는 번역시대를 唐으로 표기. KBC와 通檢에 의거 번역년대를 A.D.635-713에서 좌와 같이 교정.
신수_NR T.1591
신수_위치 31-0077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범] Vidyāmātrasiddhiratnagāti Śāstra
산스_NOTE
적사_VOL 17
적사_PAGE 085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655
중화_VOL 030
중화_PAGE 0586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줄여서 『보생론』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유식순석론(唯識順釋論)』ㆍ『이십유식송석론』ㆍ『이십유식순석론』이라고도 한다.
2. 성립과 한역
당나라 때 의정(義淨)이 710년에 대천복사(大薦福寺)에서 번역하였다.
『유식이십론』의 주석서로서, 호법(護法)이 저술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알려진 주석서는 없으며, 이역본 또한 전하지 않는다.
4. 구성과 내용
모두 5권으로 되어 있으며 『유식이십론』의 게송과 논의 일부를 인용하면서 순차적으로 해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인도에서 『유식이십론』을 주석한 것으로서는 유일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