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인명입정리론(因明入正理論)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대승각론(大乘各論)-신인명(新因明)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論
제목정보
대표서명 인명입정리론(因明入正理論)
경명 인명입정리론(因明入正理論) 1권
병음 YINMINGRUZHENGLILUN
약경명 입정리론(入正理論)
별명 인명입정리문론(因明入正理門論)
저자정보
역자 현장(玄奘)
형태정보
권사항 1
확장정보
고려_위치 17-0477
고려_주석 通檢에 의거 별명 因明入正理門論 표기. KBC와 通檢은 저자 상갈라주(商羯羅主, Śaṅkarasvāmin) 표기. KBC와 通檢은 원목록에 누락된 번역시대를 唐(A.D.647)으로 표기.
신수_NR T.1630
신수_위치 32-0011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장] Tshad maḥi bstan bcos rigs pa la ḥjug pa shes bya ba
티벳_북경_NR 5707
티벳_북경_위치 130-76, Ce184b6
티벳_DU_NR 4208
티벳_DU_위치 T1-44, Ce88b5
티벳_DT_NR 4213
티벳_DT_위치 46-407, Ce176,5
티벳_NOTE P. Tshad maḥi bstan bcos rig pa la ḥjug pa shes bya ba.
산스_NAME [범] Nyāyapraveśaka
산스_NOTE
적사_VOL 17
적사_PAGE 064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658
중화_VOL 030
중화_PAGE 0639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논은 신인명(新因明)을 확립한 진나(陳那)의 학설을 간결하게 정리한 입문서이다. 산스크리트경명(梵語經名)은 Nyāyapraveśaka이고, 티벳어경명(西藏語經名)은 Tshad maḥi bstan bcos rigs pa la ḥjug pa shes bya ba이다. 줄여서 『입정리론(入正理論)』이라 하며, 별칭으로 『인명입정리문론(因明入正理門論)』이라고도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당(唐)나라 때 현장(玄奘)이 647년 9월에 홍복사(弘福寺)에서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로 원효(元曉)의 『판비량론(判比量論)』 1권, 규기(窺基)의 『인명입정리론소(因明入正理論疏)』 3권, 혜소(慧沼)의 『인명입정리론의단(因明入正理論義斷)』 1권 등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논은 신인명(新因明)을 확립한 진나(陳那)의 학설을 정리한 입문서로, 『인명정리문론본(因明正理門論本)』 및 『인명정리문론(因明正理門論)』보다 신인명의 학설을 한층 간결하게 설명한다. 내용에 따라 능립(能立)과 사능립(似能立), 현량과 비량, 사현량과 사비량, 능파(能破)와 사능파(似能破) 등 모두 여덟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사현량과 사비량을 각각 현량과 비량에 포함해 여섯 부분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저자 상갈라주(Śaṅkarasvāmin, 天主, A.D. 450∼530년경)는 진나의 제자로 알려지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승론학파(勝論學派)의 학자라고도 한다. 이 불전을 진나의 『인명정리문론』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인명정리문론』은 사종을 5종으로 열거하는 데 반해 이 불전은 9종으로 열거한다. 둘째, 사인 중에 들어 있는 6종 부정에서 앞의 5종에 특별한 명칭을 부여한다. 특히 4종 상위 가운데 유법자상상위인과 유법차별상위인은 새롭게 추가한 것이다. 셋째, 진나의 독창적 이론인 9구인(句因)에 대해서 상세하게 정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인명정리문론』에 비하면 평이하고, 특히 인(因)의 3상(相)으로 논리를 일관하는 점은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