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유식론(唯識論)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대승각론(大乘各論)-유식(唯識)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論
제목정보
대표서명 유식론(唯識論)
경명 유식론(唯識論) 1권
병음 WEISHILUN
약경명
별명 능가경유식론(楞伽經唯識論), 능가유식론(楞伽唯識論), 대승릉가경유식론(大乘楞伽經唯識論), 대승유식론(大乘唯識論), 유식무경계론(唯識無境界論), 유식무경론(唯識無境論), 파색심론(破色心論)
저자정보
역자 구담반야류지(瞿曇般若流支, Gautama Prajñāruci)
형태정보
권사항 1
확장정보
고려_위치 17-0500
고려_주석 KBC와 通檢은 저자 天親(Vasubandhu) 표기. 원목록에 의거 역자 般若流支(Prajñāruci)를 좌와 같이 교정, 通檢과 新編은 菩提流支(Bodhiruci)로 표기. KBC에 의거 번역년대를 A.D.538-542에서 좌와 같이 교정, 通檢은 A.D.508-535로 표기.
신수_NR T.1588
신수_위치 31-0063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장] Ñi śu paḥi tshig leḥur byas pa
티벳_북경_NR 5557
티벳_북경_위치 113-233, Si3b1
티벳_DU_NR 4056
티벳_DU_위치 S14-2, ?i3a4
티벳_DT_NR 4061
티벳_DT_위치 40-348, Shi5,4
티벳_NOTE
산스_NAME
산스_NOTE
적사_VOL 17
적사_PAGE 072
적사_NOTE 역자가 菩提流支임.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663
중화_VOL 030
중화_PAGE 0670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논은 세친이 저술한 『유식이십론』의 세 가지 한역본 가운데 하나이다. 산스크리트경명(梵語經名)은 Viṁśatikāvijñāptimātratāsiddhi이고, 티벳어경명(西藏語經名)은 Ñi śu paḥi tshig leḥur byas pa이다. 별칭으로 『능가경유식론(楞伽經唯識論)』·『능가유식론(楞伽唯識論)』·『대승릉가경유식론(大乘楞伽經唯識論)』·『대승유식론(大乘唯識論)』·『유식무경계론(唯識無境界論)』·『유식무경론(唯識無境論)』·『파색심론(破色心論)』이라고도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동위(東魏)시대에 구담(瞿曇) 반야유지(般若流支, Gautama Prajñāruci)가 538년에서 543년 사이에 업성(鄴城)에서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는 없으며, 이역본으로 현장(玄奘)이 한역한 『유식이십론(唯識二十論)』과 진제(眞諦)가 한역한 『대승유식론(大乘唯識論)』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논은 진제(眞諦)가 한역한 『대승유식론(大乘唯識論)』, 현장(玄奘)이 한역한 『유식이십론(唯識二十論)』과 함께 세친이 저술한 『유식이십론』에 대한 한역 3종 가운데 하나이다. 셋 중 시기적으로 가장 먼저 한역되었다. 주요내용은 3계(界)란 오직 마음일 뿐, 마음 밖에 달리 대상이 있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