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소욕치환경(所欲致患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기본교리(基本敎理)-탐욕(貪欲)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小乘-小乘經
제목정보
대표서명 소욕치환경(所欲致患經)
경명 소욕치환경(所欲致患經) 1권
병음 SUOYUZHIHUANJING
약경명
별명
저자정보
역자 축법호(竺法護, Dharmarakṣa)
형태정보
권사항 1
확장정보
고려_위치 19-0894
고려_주석
신수_NR T.0737
신수_위치 17-0539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산스_NOTE
적사_VOL 19
적사_PAGE 181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850
중화_VOL 034
중화_PAGE 0636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환난의 원인과 그것을 없애는 방법을 설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서진(西晋)시대에 축법호(竺法護, Dharmarakṣa)가 304년 2월에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환난의 원인과 그것을 없애는 방법을 설한다. 부처님이 기수급고독원에 머물 때, 여러 비구들이 성안에 걸식하러 갔다가 외도를 만난다. 외도들이 환난의 원인과 5음(陰), 즉 색(色)·통양(痛痒)·사상(思想)·생사(生死)·식(識)을 고(苦)라고 하는 이유 등을 묻지만, 비구들은 대답하지 못한다. 비구들은 외도들의 질문을 다시 부처님에게 하고 이에 부처님은 사람의 욕심은 외계의 대상을 지각하는 것에서 생기며, 이로부터 욕망이 생겨나고 욕망에서 환난이 생겨난다고 설한다. 이러한 욕망은 제1선(禪)부터 제4선(禪)까지 수행함으로써 떠날 수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