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불설수신세경(佛說受新歲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신행(信行)-기본신행(基本信行)-참회(懺悔)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小乘-小乘律
제목정보
대표서명 불설수신세경(佛說受新歲經)
경명 불설수신세경(佛說受新歲經) 1권
병음 FOSHUOSHOUXINSUIJING
약경명 수세경(受歲經)
별명
저자정보
역자 축법호(竺法護, Dharmarakṣa)
형태정보
권사항 1
확장정보
고려_위치 20-1240
고려_주석
신수_NR T.0061
신수_위치 01-0858
속장_NR Z.0045
속장_위치 0001?0518
만속_위치 001?0802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범] Pravāraṇa Sūtra
산스_NOTE
적사_VOL
적사_PAGE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949
중화_VOL 036
중화_PAGE 0438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부처님께서 우안거(雨安居) 석 달을 마친 뒤 그 날을 법랍 한 살을 더 받는 날[修新歲]로 정하여 지난 일들을 모두 참회하고 새롭게 시작하는 의식을 설하신 경전이다. 새해를 맞이하는 첫날에 대한 것이 주요 내용이다. 줄여서 『수세경(受歲經)』이라고 한다.
2. 성립과 한역
서진(西晋)시대에 축법호(竺法護)가 266년에서 313년 사이에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이역본으로 『별역잡아함경』 제12권 제15경 「불설신세경(佛說新歲經)」ㆍ『불설해하경(佛說解夏經)』ㆍ『잡아함경』 제45권 제15경ㆍ『중아함경』 제121 「청청경(請請經)」ㆍ『증일아함경』 제32 「선취품(善聚品)」 등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부처님께서 사위국의 동원(東苑) 녹모원(鹿母園)에 머무실 때 부처님께서는 우기인 여름 석 달 동안의 안거를 마치고 난 뒤, 그 날을 바로 새해의 첫날로 삼아서 지난 일들을 모두 참회하고 새롭게 시작하라고 비구들에게 말씀하신다. 부처님께서는 그 자신도 참회하는 일에서 예외가 아니며, 스스로 반성하는 모범을 보이고 있다. 참회를 통해서 모두가 청정해진 다음에 비로소 한 해를 새롭게 맞이하는데, 그때가 바로 나이를 한 살 더하는 날의 기준이 된다. 이역본인 『불설해하경(佛說解夏經)』의 이름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하안거를 마친 날을 새해의 기준으로 삼았다는 사실은 불기(佛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