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비구청시경(比丘聽施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수행(修行)-기본수행(基本修行)-수행기본(修行基本)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小乘-小乘律
제목정보
대표서명 비구청시경(比丘聽施經)
경명 비구청시경(比丘聽施經) 1권
병음 BIQIUTINGSHIJING
약경명 비구청경(比丘聽經)
별명 청시비구경(聽施比丘經)
저자정보
역자 담무란(曇無蘭)
형태정보
권사항 1
확장정보
고려_위치 20-1245
고려_주석
신수_NR T.0504
신수_위치 14-0772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산스_NOTE
적사_VOL 20
적사_PAGE 168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951
중화_VOL 036
중화_PAGE 0444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청시(聽施)라는 이름의 비구에게 수행하는 마음가짐을 비유로써 설하는 내용이다. 줄여서 『비구청경(比丘聽經)』이라 하고, 별칭으로 『청시비구경(聽施比丘經)』이라고도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동진(東晋)시대에 축담무란(竺曇無蘭)이 381년에서 395년 사이에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알려진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청시(聽施)라는 이름의 비구에게 수행하는 마음가짐을 비유로써 설하는 내용이다. 부처님이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 머물 때, 청시라는 비구가 자신이 잠이 많아 더 이상 수행하기가 어렵다고 한다. 그러자 부처님이 두 길손에 대한 비유로써 청시 비구를 타이른다. 옛날에 길을 잘 아는 사람과 길을 잘 모르는 사람 둘이 함께 길을 갔다. 길을 잘 모르는 사람은 길을 아는 사람에게 물어서 마침내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었다. 이는 세속의 그릇된 견해에 사로잡힌 사람일지라도, 깨우침을 얻어서 바른 견해를 가진 사람에게 물으며 수행을 닦는다면 마침내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비유이다. 여기서 부처님은 욕념(欲念)·난념(亂念)·적해념(賊害念) 등의 3악념(惡念)과 출가념(出家念)·불난념(不亂念)·부적해념(不賊害念) 등의 3선념(善念)을 대비해 비구로서 닦아야 할 참된 수행이 무엇인지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