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살바다부비니마득륵가(薩婆多部毗尼摩得勒伽)

분류정보
주제분류 신행(信行)-계율(戒律)-계율개설(戒律槪說)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小乘-小乘律
제목정보
대표서명 살바다부비니마득륵가(薩婆多部毗尼摩得勒伽)
경명 살바다부비니마득륵가(薩婆多部毗尼摩得勒伽) 10권
병음 SAPODUOBUPINIMODELEJIA
약경명 비니마득륵가(毗尼摩得勒伽), 살바다비니(薩婆多毗尼)
별명 마득륵가비니(摩得勒伽毗尼), 살바다마득륵가비니(薩婆多摩得勒伽毗尼)
저자정보
역자 승가발마(僧伽跋摩, Saṅghavarman)
형태정보
권사항 10
확장정보
고려_위치 24-0129
고려_주석
신수_NR T.1441
신수_위치 23-0564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범] Sarvāstivādavinayamātṛkā
산스_NOTE
적사_VOL 23
적사_PAGE 803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1020
중화_VOL 042
중화_PAGE 0197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논은 율부에 관한 5대 논서 중 하나로 소승 율부인 살바다부(薩婆多部), 즉 설일체유부의 전승 계법(戒法)에 대한 요의(要義)를 담고 있다. 산스크리트경명(梵語經名)은Sarvāstivādavinayamātṛkā이다. 줄여서 『비니마득륵가(毗尼摩得勒伽)』·『살바다비니(薩婆多毗尼)』라고 하고, 별칭으로 『마득륵가비니(摩得勒伽毗尼))』·『살바다마득륵가비니(薩婆多摩得勒伽毗尼)』라고도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유송(劉宋)시대에 승가발마(僧伽跋摩, Saṅghavarman)가 435년 2월(또는 3월)에서 10월 사이에 말릉(秣陵)의 평락사(平樂寺)에서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10권으로 구성된 이 논은 『선견율비바사(善見律毗婆沙)』, 『비니모경(毗尼母經)』, 『살바다비니비바사(薩婆多毗尼毗婆沙)』, 『율이십이명료론(律二十二明了論)』 등과 함께 율부에 관한 5대 논서 중 하나로 꼽힌다. 소승 율부인 살바다부(薩婆多部), 즉 설일체유부의 전승 계법(戒法)에 대한 요의(要義)를 담고 있다. 예컨대 4바라이(波羅夷), 13승가바시사(僧伽婆尸沙), 2부정법(不定法), 30사(事), 90사(事), 4바라제제사니(波羅提提舍尼), 7멸쟁(滅諍), 수계사(受戒事), 포살사(布薩事), 자자법(自恣法), 안거법(安居法), 약법(藥法), 의법(衣法), 수가치나의법(受迦稀那衣法), 구사미사(俱舍彌事), 갈마사(羯磨事), 멸쟁사(滅諍事), 파승사(破僧事), 비니마득륵가잡사(毗尼摩得勒伽雜事) 등 중요한 기본 계율부터 소소한 잡사에 이르기까지 모두 망라해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