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금강정유가천수천안관자재보살수행의궤경(金剛頂瑜伽千手千眼觀自在菩薩修行儀軌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신행(信行)-의궤(儀軌)-4성취법(四成就法)
주제분류 신행(信行)-의궤(儀軌)-진언(眞言)
주제분류 신행(信行)-의궤(儀軌)-천수관음(千手觀音)
분류체계 正藏-再雕藏經部-續開元釋敎錄部-不空譯本
제목정보
대표서명 금강정유가천수천안관자재보살수행의궤경(金剛頂瑜伽千手千眼觀自在菩薩修行儀軌經)
경명 금강정유가천수천안관자재보살수행의궤경(金剛頂瑜伽千手千眼觀自在菩薩修行儀軌經) 2권
병음 JINGANGDINGYUJIAQIANSHOUQIANYANGUANZIZAIPUSAXIUXINGYIGUIJING
약경명 천수천안의궤경(千手千眼儀軌經), 천수천안관자재보살수행의궤경(千手千眼觀自在菩薩修行儀軌經)
별명 천수관음수행의궤경(千手觀音修行儀軌經)
저자정보
역자 불공(不空, Amoghavajra)
형태정보
권사항 2
확장정보
고려_위치 36-0991
고려_주석
신수_NR T.1056
신수_위치 20-0072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산스_NOTE
적사_VOL 34
적사_PAGE 526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1437
중화_VOL 065
중화_PAGE 0694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금강정경(金剛頂經)』의 입장에서 천수관음의 가르침, 즉 『천수경(千手經)』의 다라니를 수용하여 증득하는 의궤의 여러 절차를 설명한다. 티벳어경명(西藏語經名)은 Ḥphags pa spyan ras gzigs dbaṅ phyug phyag stoṅ spyan stoṅ du sprul pa rgya chen po yoṅs su rdsogs pa thogs pa med par thugs rje chen po ldan paḥi gzuṅs이다. 줄여서 『천수천안의궤경(千手千眼儀軌經)』·『천수천안관자재보살수행의궤경(千手千眼觀自在菩薩修行儀軌經)』이라 하고, 별칭으로 『천수관음수행의궤경(千手觀音修行儀軌經)』이라고도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당(唐)나라 때 불공(不空, Amoghavajra)이 746년에서 774년 사이에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2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순밀(純密) 경전인 『금강정경(金剛頂經)』의 입장에서 천수관음의 가르침, 즉 『천수경(千手經)』의 다라니를 수용하여 증득하는 의궤의 여러 절차를 설명한다. 먼저 경의 서두에는 『금강정경』에 의거해 연화부 천수천안 관자재보살의 비밀 수행법을 설명하겠다는 서문이 붙어 있다. 이로 미루어 이 의궤가 불공 자신의 저작임을 짐작할 수 있다. 상권은 “나는 『유가금강정경』에 의지해 연화부 천수천안관자재보살의 신구의 금강 비밀 수행법을 설할 것이다.”라는 선언으로 시작한다. 그 뒤에 동방 아촉 여래, 남방 보생 여래, 서방 무량수 여래, 북방 불공 성취 여래에 대한 예배를 행한다. 이는 불공이 번역한 『금강정경』 하권에서 “먼저 마땅히 4예(禮)로써 모든 여래에게 예경해야 한다.”라는 구절에 따른 것이다. 이때 지송하는 진언 역시 『금강정경』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다만 5불(佛) 전체에 대한 예배가 아니라 4불에 대해서만 예배한다는 것이 특이하며, 4상(相) 성신관(成身觀)이 설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수행자는 먼저 스승에게 보리심 계율을 받고 대만다라로 들어가 관정을 받는다. 그다음 고요하고 청정한 처소에 들어가 제단의 4면에 천수천안관자재보살의 상(像)을 안치하고 등을 밝힌 후 향과 음식을 공양한다. 자신의 죄를 참회하고 3보에 귀의, 회향하며 서원을 세운 뒤 자신이 부처님의 설법 가운데 참여한다고 염상한다. 이어 4방 여래인 아촉불, 보생불, 무량수불, 불공 성취불에게 예를 올린 후, 각각의 진언과 수인을 취한다. 하권의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10바라밀을 상징하는 수인을 맺는 법과 그에 따른 진언을 설한다. 둘째, 본존 천수 천안 관자재보살 근본인(根本印)을 짓고 대비심 다라니를 외우도록 설한다. 이 경전의 다라니는 총 40구절이다. 셋째, 근본인을 짓고 이 다라니를 외워 식재(息災), 증익(增益), 항복(降伏), 경애(敬愛)와 구소(鉤召) 등의 네 가지 성취를 이루는 것을 설한다. 4무량심관에 들어 마음의 평정을 얻고 금강합장인(金剛合掌印), 금강박인(金剛縛印), 헌알가수인(獻閼伽水印), 6바라밀인(波羅蜜印), 또는 백의(白衣) 관자재보살인(觀自在菩薩印) 등의 수인과 그에 해당하는 진언을 염송한다. 이어 본존인 천수천안관자재보살의 근본인(根本印)을 맺은 후, 근본 다라니를 염송한다. 이 진언을 일곱 번 염송한 후 네 가지 성취법을 행하여 세간과 출세간의 과보를 얻는다. 그다음은 염주인(念珠印)과 봉송성중인(奉送聖衆印)을 맺고 진언을 염송해 절차를 마무리한다. 아울러 경의 말미에 네 가지 성취법에 관해 설명을 부가한다. 이 경에 따르면『천수경』의 대비심 다라니는 단순히 구밀(口密)만이 아니라 수인을 맺는 신밀(身密)과 4상 성신관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은 상징체계를 마음으로 염하는 의밀(意密)을 동시적으로 행하는 3밀(密) 가지(加持)를 행하게 된다. 바로 이 점 때문에 이 경이 『천수경』 신행의 인도적(印度的)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의궤경으로 평가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