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能斷金剛般若波羅蜜多經論釋卷下

ABC_IT_K0557_T_003
015_0311_b_01L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론석 하권
015_0311_b_01L能斷金剛般若波羅蜜多經論釋卷下


무착보살 게송
세친보살 지음
015_0311_b_02L無著菩薩造頌 世親菩薩釋
의정 한역
김두재 번역
015_0311_b_03L三藏法師義淨奉 詔譯


“여래께서 설하신 저것은, 원만하게 갖춘 모습은 곧 원만하게 갖춘 모습이 아닌데 이것을 원만하게 갖춘 모습이라고 한다”고 하였으니 여기에는 무슨 뜻이 있는가?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1_b_04L如來說彼爲具相者此非具相由此說爲具相此有何意頌曰

참다운 법신(法身)이란
좋은 상호 원만함을 따르는 것을 말하는 게 아니며
또한 상호가 원만하게 갖추어진 것도 아니니
몸의 성품을 말하는 게 아님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015_0311_b_06L謂於眞法身
無隨好圓滿
亦非是具相
非身性應知

법신은 분별이 없지만
여래가 아니면 이 두 가지1)가 없으니[無二]
거듭 원만하게 갖춘 상호라고 말한 것은
두 가지 몸이 다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015_0311_b_08L 於法身無別
非如來無二
重言其具相
由二體皆無
015_0311_c_01L
“법신은 실제로 원만하게 갖춘 좋은 색신(色身)을 따르는 것이 아니요, 또한 원만하게 갖춘 갖가지 상호도 아님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저것은 몸의 성품이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한 것은 곧 법신은 원만하게 갖춘 형상이 없다는 뜻을 말한 것이며, 또한 여래가 아니면 이 두 가지를 갖출 수 없다는 것을 말한 것이니, 이른바 색신이 원만한 것과 훌륭한 상호를 원만하게 갖춘 것이다.
이 두 가지는 법신을 떠나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래께는 그러한 상호(相好)가 있는 것이다.
이것을 거듭해서 말한 것은 색신이 원만하고 또한 좋은 상호를 갖춘, 이 두 가지가 없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에 이 두 가지도 없는 것이라고 말했으니, 이것은 원만하지도 않고 상호를 갖추지도 않았기 때문이며, 또한 있다고 말한 것은 색신이 원만하고 훌륭한 상호를 갖추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무슨 뜻이 담겨져 있는가?
법신에는 이러한 상호(相好)가 없기 때문이니, 그러므로 이를 이름하여 여래라고 부른 것이다.
색신이 원만하고 좋은 상호를 갖추었다 하면 그 몸과 서로 떠나 있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법신의 성품은 곧 이와 다르니, 법신은 그러한 자성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했다.
‘또한 마땅히 색신이 원만하고 상호를 갖춘 몸이라는 것으로써 여래를 보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는데 여래는 왜 이런 설법을 하시는 것일까?’라고 의심할 것이므로 이 의심에 대답하기 위하여 이는 곧 “나쁜 집착을 가지고 나를 비방하는 것이니, 내가 말한 뜻을 잘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라고 말씀하셨다.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1_b_09L言法身實不圓滿隨好色身應知亦不具足衆相彼無身性故是謂法身無具相義亦非如來無斯二種所謂色身圓滿及以具相由斯二種不離法身是故如來有其相好爲此重言色身圓滿及以具相由二皆無故故此二亦說爲無言此非圓滿此亦非具相亦說爲有以說色身圓滿及具相言故斯有何意由其法身無此相好是故名此爲如來色身圓滿及以具相由與彼身不相離故法身之性卽不如是然法身非彼自性故言不應以色身圓滿及具相身觀如來者如何如來有所說法耶爲答斯此卽以其惡取而謗於我由不能解我所說義故頌曰

여래께서도 또한 없다고 말씀하셨으니
두 번 말씀하신 것은 집착할까 염려했기 때문이다.
015_0311_c_03L如來說亦無
說二是所執

“법을 설한다, 법을 설한다”고 두 번 거듭 말씀하신 뜻은 무엇인가?
게송에 이르기를 “두 번 말씀하신 것은 집착할까 염려한 때문이다”라고 했다.
무엇이 두 가지인가?
하나는 바로 이 글이며 다른 하나는 이 글의 뜻이다.
무슨 까닭에 경에 이르기를 “말로 설할 수 없는 법을 설한다고 하느니라”고 하였는가?
게송으로 답하리라.
015_0311_c_04L何意重言說法說法頌云說二是所執云何爲二一乃是文二便是義由何所以文云無法可說是名說法答曰

법계를 떠나 있지 않기 때문이며
또한 자성(自性)도 없다고 설법하였기 때문이다.
015_0311_c_08L由不離法界
說亦無自性

‘법계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고 법을 설한다면 자성을 얻어야 할 것인데, 만약 세존께서 능히 설법한 것이 없었다고 한다면 설하신 법도 또한 법신(法身)을 여의지 않아야 할 것이다. 그런 까닭에 존재하지 아니함이 성립될 터이니 이와 같은 심오한 법에 대하여 공경하고 믿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라는 의혹이 생겨날 것이므로 이런 의문을 제거해 주기 위하여 게송으로 대답하였다.
015_0311_c_09L由不離法界外有說法自性可得言無有世尊是能說者所說之法亦復不離法身故成非有如是甚深之如何當有敬信之人爲除此難答曰

법을 설한[能說] 이나 설해진[所說] 법이 비록 매우 심오하나
또한 공경하고 믿는 이가 아주 없는 것도 아니다.
015_0311_c_13L能說所說雖甚深
然亦非無敬信者

경에 이르기를 “묘생아, 저들은 중생이 아니며 또한 중생이 아닌 것도 아니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무슨 뜻인가?
게송으로 답하리라.
015_0311_c_14L經云妙生彼非衆生非非衆生有何意頌曰

중생도 아니고 중생이 아닌 것도 아니면서
성인은 아니지만 성인의 성품과 서로 호응하기 때문이다.
015_0311_c_16L由非衆生非非生
非聖聖性相應故
015_0312_a_01L
모든 유정이 마땅히 공경하고 믿음을 낸다면 저것은 중생이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다른 중생이 성인의 성품과 서로 호응하지 않는다면 곧 범부의 성품과 서로 호응하게 되기 때문이다.
‘중생이 아닌 것도 아니다’라는 것은 성인의 성품과 서로 호응하기 때문이니, 여기에서의 의미는, 저들이 범부의 성품을 보는 까닭에 곧 중생이 아니요 성인의 성품도 보기 때문에 중생이 아닌 것도 아니라는 뜻이다.
왜냐하면 중생, 중생이라고 하지만 여래께서 “저것은 중생이 아니다”라고 한 것은 곧 우매하고 작은 이생(異生)의 성품에 의거해서 말한 것이며, “그러므로 이것을 중생이라고 한다”고 말한 것은 곧 성인의 성품에 의거한 것이다.
‘만약 여래께서 일찍이 아무 법도 없다는 것을 곧 깨달아 알아야 할 대상이라고 하셨다면 어떻게 나중에 그 뒤에 오는 바른 지혜의 차례를 떠난 것을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이라고 말할까?’ 하는 의혹이 생겨날 것이므로 이 의문에 대답하기 위하여 “법이 있어 깨달아야 할 것이 아닌 것을 비로소 무상정각이라고 부른다”고 했다.
그 이유를 게송으로 말하겠다.
015_0311_c_17L諸有當能生敬信者彼非衆生由餘衆生不與聖性相應卽與凡夫性相應故非非衆生由與聖性相應故此中義者由彼望其凡夫性故不是衆生由望聖人性故非非衆生何以衆生衆生者如來說彼爲非衆生此據愚小異生性由此說爲衆生此據聖人性若言如來曾無有法是所覺知者云何離其後後正知次第而名無上正等覺耶爲答此難非是有法可覺方名無上正覺然由頌曰

조그만 법도 없는 까닭에
무상각(無上覺)임을 마땅히 알아야 하니
법계는 증감(增減)이 없기 때문에
청정하고 평등한 성품이라고 한다.
방편은 위가 없어서
015_0312_a_05L少法無有故
無上覺應知
由法界不增
淸淨平等性
及方便無上

여기에서부터 나아가 조그만 법에 이르기까지 한 법도 벗어나야 할 것이 없기 때문에 이름하여 무상(無上)이라고 한다.
또 법계는 더할 것이 없기 때문에 그 법은 평등하다. 그러므로 무상상(無上上)이라 하였으니, 이보다 으뜸가는 성품[上性]이 없기 때문이며, 또한 여래의 법신은 청정하고 평등하기 때문에 그 법은 어느 것과도 같거나 평등하지 아니함이 없고 조금도 늘어날 것이 없으므로 무상(無上)이라고 부른다.
또 그 법은 곧 나라는 모습이 없기 때문에 이를 높다고 하고 높은 성품까지도 없기 때문에 무상이라고 이름하며, 또한 모든 방편도 위가 없고 지닌 선법(善法)이 모두 원만하기 때문에 그것을 무상이라고 이름한다.
그 밖에 모든 보리는 여러 가지 선한 법을 닦지만 원만하지 못하기 때문에, 곧 이 방편은 진실로 위없는 것은 아니므로 여래께서는 법이 아니라고 말씀하셨으며 이것으로 말미암아 선법이라고 말했다.
여기엔 무슨 뜻이 있는가?
게송으로 대답하리라.
015_0312_a_07L於此乃至無有少法能過故名無上又復法界無有增故其法平等故無上上上性無故又復如來法身淸淨平等故其法無不齊等無有少增故名無上又復其法是無我自相卽高高性無故名無上又復於諸方便亦是無上所有善法皆圓滿故爲無上此餘菩提於諸善法不圓滿卽此方便實爲有上此乃如來說爲非法由此說爲善法此有何意頌曰

유루(有漏)의 성품으로 말미암는 것은 법이 아니니
그런 까닭에 선법(善法)이 아니라도
이것으로 말미암기 때문에 선(善)하다고 이름한 것이다.
015_0312_a_18L由漏性非法
是故非善法
由此名爲善
015_0312_b_01L
유루의 성품으로 말미암지만 저것은 곧 유루의 모습을 지니고 있지 않다. 유루의 모습을 지니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것을 선법이라고 말한 것이다.
무루(無漏)의 성품으로 말미암아 결정코 이 선한 성품을 지닐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선법을 닦아서 큰 보리(菩提)를 얻는다고 한다면 존재하는 선법으로도 마땅히 보리를 획득하지 못해야 할 것이니, 이것은 무기성(無記性)이기 때문이다’라고 의심을 낼 것이므로 이 의문을 차단하기 위하여 다시 차별이 있는 복을 말씀하신 것인가?
대답하기 위해 설법하신 것이 비록 무기(無記)라 하더라도 마침내 얻을 것이 있는가?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2_a_19L由有漏性彼不是持有漏之相不能持故由此說爲善法由無漏性決定能持是善性故若要以善法獲大菩提者所有說法亦應不獲菩提是無記性故爲遮此難更言差別之福所說法縱令無記終有所得頌曰

말씀하신 법이 비록 무기(無記)라 하더라도
얻지 못하는 것은 아님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015_0312_b_02L說法雖無記
非不得應知

이것을 떠나서는 보리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을 힘입어 보리의 방계(方契)가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2_b_03L由非離此能得菩提故知藉斯菩提方契頌曰

이 한 법의 보배만을 따르면
저 한량없는 보배보다 뛰어나다.
015_0312_b_05L由斯一法寶
勝彼寶無量

그러므로 여기에서 선설(宣說)한 법보는 앞의 무수한 수미산[妙高]과 같이 한량없는 보배에 비해 현격한 복의 차별이 있다.
“가령 백 등분을 하였다면 그 중에 하나에도 미칠 수 없다.……(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라고 한 것은 장차 무슨 뜻을 나타내려고 한 말인가?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2_b_06L故此宣說法寶望前無數妙高無邊之寶顯福差別假爲第百分亦不能及一者乃至廣說將顯何義頌曰

모든 산수[筭]와 세력[勢] 따위와
그리고 인과(因果)에도 차별이 있으니
세간에서 자세히 살펴 생각하거나
어떠한 비유를 하더라도 미칠 수 없네.
015_0312_b_09L於諸筭勢類
因亦有差殊
尋思於世閒
喩所不能及
015_0312_c_01L
이 말은 무슨 뜻인가?
이 복으로써는 앞에서 일컬은 복의 덩어리에 비해 산수나 세력의 종류와 차별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그 인과에 네 가지 차별이 있으며, 이 세간에서 두루 찾아보고 생각해 보아도 거기에 대해서는 어떤 비유로도 비교할 만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산수로 말미암아 차별을 말한 것은 백분(百分)으로부터 시작하여 나아가 혹 산분(算分)에 이르기까지 그 어느 것으로도 그 차이를 나타낼 수 없다고 한 것이다.
다만 산수라고만 말한 것은, 이것이 곧 통틀어 포섭하고 있음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그밖에 다른 산수(算數)가 있으니, 혹 세력으로 나뉜다는 것은 그 세력에 차이와 다름이 있기 때문이니, 마치 강하고 약한 사람이 일을 서로 합하지 못하는 것과 같다. 혹은 비수(比數)라고 하니 이것은 품류(品類)가 다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복의 종류는 원래 앞의 복에 대하여 어떤 수로도 비교할 수 없다고 말한 것이니, 마치 귀하고 천한 사람을 서로 숫자로 비교할 수 없는 것과 같다.
인(因)이란 것은 그 원인을 밝힌 것이며 과(果)도 또한 서로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저것도 또한 이것의 인(因)이 될 수 없다고 말한 것이다.오파니살담(鄔波尼殺曇)을 인(因)자로 번역하였으나 개자(芥子)의 씨와 같은 것으로 송백(松栢)에 비유된다. 이 세간에서는 끝내 그 어떤 비유로도 가히 그 복에 견줄 수 없으니, 이 앞의 복은 이 복보다 감소하므로 실로 이루 다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아가 어떠한 비유를 한다 해도 미칠 수 없다고 말한 것이다.
‘만약 저 법의 성품과 모양[性相]이 평등하기 때문에 평등하지 않음이 없다고 한다면 중생을 제도하는 사람[能度]도, 제도할 중생[所度]도 모두 없을 터인데 어째서 여래께서는 유정(有情)들을 해탈시킨다고 하는가?’ 하는 의혹이 생길 것이므로 이 의혹을 제거하기 위한 까닭에 뒤의 글이 생겨나게 된 것이다.
장차 무슨 뜻을 나타내려고 한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2_b_11L此言何義謂以此福望前福聚謂是筭勢類因四種差別於此世閒遍尋思已無有其喩能比況者言由筭差別者始從假爲第百分乃至或爲筭分不顯差殊但言筭者此卽應知摠其餘所有筭數或爲勢分者由其勢力有差殊故如强弱人事不相竝或爲比數者由品類別言此福類元不比數前之福類如貴賤人不相比數因者明其因果亦不相干涉故彼亦不可與此爲因鄔波尼殺曇譯爲因字如芥子種將比松柏於此世閒竟無其喩可況於福由斯前福望於此福實爲減少皆不足言故云乃至譬喩亦不能及若言彼法性相平等故無不平者卽無能度所度云何如來說脫有情耶爲除此難故起後文將顯何義頌曰

법계는 평등하기 때문에
부처님께선 중생을 제도하지 않으니
모든 이름은 취(聚)와 함께 하지만
법계를 벗어나서 존재하지도 않네.
015_0312_c_05L法界平等故
佛不度衆生
於諸名共聚
不在法界外

‘유정(有情)’이라고 이름한 것은 저 5온(蘊)이 있는 곳에서 5온과 함께하는 것을 말함이며 법계의 밖에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곧 이 법계의 성품이 평등하니, 그런 까닭에 어떤 한 중생도 부처님께서 제도하여 해탈시킬 대상이 없다.
“그렇다면 어째서 아집(我執)이 있겠는가”라고 한 것에는 무슨 뜻이 담겨져 있는가?
만약 다만 그 5온만을 벗어나게 할 뿐이라고 말한다면 이것은 곧 중생이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 이와 같기 때문이다.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2_c_07L凡名有情者於彼薀處由名共薀在法界之外卽此法界其性平等故曾無有一衆生可是如來之所度此卽如何當有我執者此有何意若言但唯脫其五薀而已此卽是有所許衆生由如是故頌曰

만약 법집(法執)이 일어난다면
아집(我執)의 허물과 같으니
결정코 유정(有情)들을 해탈시켜야 한다고 집착하는 것도
곧 집착해서는 안 될 망집(妄執)이라네.
015_0312_c_13L若起於法執
與我執過同
定執脫有情
是無執妄執

경에 이르기를 “묘생아, 아집이라고 말하는 것을 여래께서는 집착이 아니라고 설하셨으며, 망집이라고 말하는 것을 여래께서는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고 설하셨다”고 한 것은, 이것들이 곧 성인의 법을 생겨나게 할 수 없다는 뜻이다.
‘만약 마땅히 여래께서 상호(相好)를 원만히 갖추신 분이라고 관찰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면 저것은 자성(自性)이 아니기 때문일 것이며, 이것은 법신의 자성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저 여래의 자성법신(自性法身)은 원만하게 갖춘 상호로써 비교해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라는 의심이 생겨날 것이므로 이러한 의혹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음의 글이 생겨나게 되었다.
여기에서는 무슨 뜻을 나타내려고 한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2_c_15L如云妙生言我執者如來說爲非執妄執如來說爲非生者是不能生聖法之義若言不應以其具相觀於如非彼自性故由是法身自性故彼如來自性法身可以具相而比知有作斯難爲除疑意生起後文顯何義頌曰

마땅히 색(色)의 몸을
여래의 법신(法身)으로 생각해서는 안 되니
저 전륜성왕(轉輪聖王)과
여래가 동등하다고 생각하지 말라.
015_0312_c_22L不應以色體
准如來法身
勿彼轉輪王
與如來齊等
015_0313_a_01L
이것은 과보의 복으로 얻은 상호(相好)도 역시 원만하게 갖춘 상호라고 말할 수 있으니, 저 복으로 인하여 이러한 상호를 이루었기 때문임을 설명한 것이다.
‘그 복의 힘을 바탕으로 보리를 증득했기 때문에 이런 말을 하게 되었으니, 그렇다면 여래의 원만하게 갖춘 상호로써 무상정각(無上正覺)을 증득하였음을 나타낸 것이리라’는 의심이 일어날 것이므로 이런 의심을 제거하기 위하여 “마땅히 원만하게 갖춘 상호를 가지고”라는 등의 말을 하였던 것이다.
이것은 장차 무슨 뜻을 나타내려고 한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3_a_01L此則報相之福亦名具相由彼成此藉其福力得菩提故有作是說則如來以其具相現證無上正覺除此意不應以具相如是等將顯何頌曰

곧 원만하게 갖추어진 상호의 과보(果報)는
원만한 복으로 받은 것이 아니니
법신을 불러오게끔 한 것은
방편의 특이한 성품 때문이었네.
015_0313_a_06L卽具相果報
圓滿福不許
能招於法身
由方便異性

참다운 법신은 지혜의 자성이기 때문에 저 복의 체성(體性)과는 같지 않다.
이 두 가타(伽他)2)는 무슨 뜻을 나타내려고 한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3_a_08L由眞法身是智自性故與彼福體性不同此二伽他要顯何義頌曰

만약 색(色)으로써 나를 보려거나
음성으로 나를 구하려 한다면
그 사람은 사근(邪勤)3)만 일으키는 사람이니
마땅히 나를 볼 수 없으리라.
015_0313_a_10L若以色見我
以音聲求我
彼人起邪勤
不能當見我

마땅히 부처님의 법성(法性)인
곧 도사(導師)의 법신을 보려 하지만
법성의 인식작용은 알기 어려우니
그러므로 그것을 알기 어렵다 하네.
015_0313_a_12L 應觀佛法性
卽導師法身
法性識難知
故彼不能了

이 두 게송에서 설한 뜻에 대하여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3_a_13L此二頌中所說之義頌曰

오직 색으로써 나를 보려거나 음성으로 나를 들으려 한다면
이 사람은 부처를 알지 못하리니
이 진여(眞如)의 법신은
인식의 경계가 아니기 때문이라네.
015_0313_a_14L唯見色聞聲
是人不知佛
此眞如法身
非是識境故

이 글에 나타난 뜻은 마땅히 색이나 소리, 이 두 가지를 가지고서는 여래를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이 범부[異生]로 말미암아 볼 수 없다고 한 것은 무슨 뜻인가?
‘그런 사람은 사근(邪勤)만 일으킬 뿐’이라는 것은 그러한 이생(異生)은 부질없는 사근만 일으킨다는 말로서 바른 도에 의지하지 않고 나를 찾거나 보려고 한다는 것이니, 이것은 법성이 곧 진여(眞如)임을 말한 것이다.
‘만약 복으로는 보리를 증득하지 못한다고 말한다면, 이것은 곧 보살의 복업(福業)과 그 과보가 틀림없이 끊어질 것’이라는 의심이 생겨날 것이므로 이 의문을 풀어주기 위하여 다음의 글이 생겨나게 된 것이다.
이것은 복의 성품이 아무리 회복된다 하더라도 능히 깨달음의 처소를 불러낼 수 없다는 말이다.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3_a_16L此文意顯不應以色聲二種觀於如由是異生不能見此何爲也人起邪勤言彼異生妄起邪勤不依正道求見於我此云法性者卽是眞若言福不證菩提者此卽菩薩福業其果應斷爲釋此疑故有下文此福性雖復不能親招覺處頌曰
015_0313_b_01L
그 복은 망실되지 않고
과보(果報)도 끊어지지 않으며
증득한 법인(法忍)도 또한 끊어지지 않으니
번뇌 없음[無垢]을 획득했기 때문이다.
015_0313_a_23L其福不失亡
果報不斷絕
得忍亦不斷
以獲無垢故

다시 복의 원인을 논(論)하며
이것 밝히기 위해 적절한 비유를 들었으니
저 복은 과보 없는 까닭에
바르게 취하는 것일 뿐 지나치게 취하려는 것이 아니네.
015_0313_b_02L 更論於福因
爲此陳其喩
彼福無報故
正取非越取

이것은 곧 저 지혜의 자량(資糧)이 되는 성품이기 때문이다.
또 어째서 다시 그 복에 대하여 비유를 들어 말했는가?
그것 때문에 “증득한 법인(法忍)도 또한 끊어지지 않으니, 번뇌 없는 경지를 획득했기 때문이다. 다시 그 복의 원인을 논(論)하기 위해 이렇게 비유를 들어 진술한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어떤 사람은 또 의심을 내어 말하기를 “이미 생멸이 없는 법인을 얻었으면 지혜도 또한 생겨나지 않아야 할 터이니, 보살의 모든 복덕도 당연히 모두 끊어질 것이다”라고 할 것이므로 “나타난 복은 끊어져 없어지지 않고 지극히 청정하여, 획득한 복이 이미 많을 것이며 과보(果報)도 뛰어나리라”는 말을 한 것이다.
“생멸이 없는 법인에서 성품 없는 것을 증득한다”고 한 것에 두 가지 성품 없는 것이 있다. 그 두 가지 성품의 본질은 생멸이 없기 때문에 경전에 이르기를 “묘생(妙生)아, 마땅히 바르게 취할 뿐이며, 지나치게 취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 것이다.
어째서 바르게 취할 뿐 지나치게 취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가?
답하기를 저 복은 과보로 얻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바르게 취할 뿐, 지나치게 취하려 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대체로 존재하는 복은 과보로 인하여 불러들인 것이므로 곧 배척해도 되는 것이니, 그것을 취하는 것은 곧 지나치게 취하는 것이 됨을 알아야 할 것이다. 비유하면 마치 바른 길을 벗어나서 험한 길로 가는 것과 같다. 그 복은 과보를 부르지 아니하니, 그런 까닭에 “그 복은 바르게 취할 뿐, 지나치게 취하려 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 것이다.

물었다. 보살의 복진(福津)이 이미 과보의 감응으로 인한 것이 아니면 획득한 과보를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이렇게 대답하였다.
015_0313_b_03L由此是彼智資糧性故又復何爲更於其福而陳喩耶故云得忍亦不斷以獲無垢故更論其福因爲此陳其又有疑云旣得無生法忍智乃不菩薩諸福皆應斷絕爲顯福不斷絕至極淸淨獲福旣多果報亦勝不生法得無性者有二種無性由其二性體不生故經云妙生應正取不應越取云何是正取不應越取彼福無報故正取非越取凡所有福招果報者是可厭故當知彼取卽是越取如越正路而行嶮道而彼福不招報是故彼是正取非爲越取薩福津旣不感報所獲之果如何可答曰

그 복은 화신의 과보[化果]를 불러
유정들의 일을 유익하게 하니
그 일은 임의대로 운행할 수 있기에
부처가 되어 모든 곳에 나타난다.
015_0313_b_18L彼福招化果
作利有情事
彼事由任運
成佛現諸方

화신은 가고 오는 등의 일이 있지만
정각(正覺)은 언제나 움직이지 않으니
저 화신은 법계의 처소에서
한결같지도 않고 달라지지도 않는 것임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015_0313_b_20L 去來等是化
正覺常不動
彼於法界處
非一異應知
015_0313_c_01L
모든 불세존께서 갖가지 변화를 나타내지만, 그 여래는 오고 가는 등의 일이 없으므로 “그 일은 임의로 운행되는 것이기에 부처가 되어 모든 곳에 나타난다. 화신은 가고 오는 등의 일이 있으나 정각은 언제나 움직이지 않는다”고 말한 것이다.
이러한 뜻을 밝히기 위하여 다음의 글에서 일컫기를 “일찍이 오는 것도 없고 또한 가는 것도 없다. 그런 까닭에 여래라고 이름하느니라”라고 하였다.
이것은 무슨 뜻인가?
만약 여래에게 가고 옴이 있어 달라진다고 하면 그것은 옳지 못하니, 그 항상한 성품은 여여하여 변화하거나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작은 먼지가 더럽히는 것에 비유한 것은 무엇을 비유하기 위한 것이며, 무슨 일을 밝히려고 한 것인가?
답하였다.
015_0313_b_21L諸佛世尊現衆變化非彼如來若來若去等故彼事由任運成佛現諸去來等是化正覺常不動爲顯斯生起下文曾無有去亦不有來此故名爲如來此有何意若如來有去來等異者彼卽不是如其常性無有變易微塵作墨喩者是誰之喩何事耶答曰

저 화신은 법계의 처소에서
한결같지도 않고 달라지지도 않는 것임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015_0313_c_06L彼於法界處
非一異應知

저것은 여래께서는 법계의 처소에서 한곳에 머무는 것도 아니고, 각기 다른 곳에 머무는 것이 아닌 성품을 말한 것이다. 이러한 일들을 밝히기 위하여 일부러 그런 비유를 든 것이다.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3_c_07L言彼如來於法界處非一非異性顯斯事故彰其喩頌曰

작은 먼지로 장차 먹[墨]을 만든다는 말은
비유로 법계를 나타낸 것이다.
015_0313_c_09L微塵將作墨
喩顯於法界

또 세계가 검게 된다고 한 것은 무슨 뜻을 밝히기 위한 비유인가?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3_c_10L又世界爲墨喩顯何義頌曰

여기에서 먹을 만드는 일을 논한 것은
번뇌의 멸진(滅盡)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015_0313_c_11L此論造墨事
爲彰煩惱盡

무리[聚]의 성품도 아니고 모이는[集] 성품도 아니라는 것은
이것이 동일한 성품이 아님을 밝힌 것이며
저것이 다 합집(合集)된 성품이라고 한 것은
그것이 각기 다른 성품도 아님을 밝힌 것이다.
015_0313_c_12L 非聚非集性
顯是非一性
於彼摠集性
明其非異性
015_0314_a_01L
검게 된다는 것에 비유한 것은 존재하는 먼지[塵埃]가 너무도 많고 지극히 미세한 성품이어서 한 장소의 것이라고만 할 수 없고, 그 덩어리는 모이고 쌓여서 만들어진 물건이어서 한 가지의 일만도 아니기 때문이며 또한 다른 성품도 아니니, 다 합집(合集)된 것이므로 이것은 따로따로 끊어져 분할될 이치가 없다.
이와 같아서 모든 불세존께서는 이 법계에서 번뇌의 장애[煩惱障]가 다하였음을 마땅히 알아야만 할 것이다.
‘한 곳에 머무는 성품도 아니요 또한 각기 다른 곳에 흩어져 있는 성품도 아니다’라는 것은 곧 삼천대천세계를 겸술(兼述)한 것이다. 덩어리의 성품이 아니라느니, 덩어리의 성품이라느니 하는 비유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여래께서 설하신 것은 덩어리의 성품이 아니기 때문에 이것을 지극히 미세한 먼지의 모임이라고 한다’고 한 것은 무슨 뜻을 나타낸 것인가?
만약 그것이 한 덩어리의 물질이어서 이것이 곧 하나라고 한다면 마땅히 지극히 미세한 것이 모여서 된 덩어리라고 이름 해서는 안 될 것이며, 또한 만약 이것이 한 세계라면 마땅히 삼천대천세계라고 말해서도 안 될 것이다.
이런 까닭에 이것은 아마도 덩어리일 것이라고 하여 집착한다. 그래서 여래께서 집착할 일이 아니라고 설하셨다.
“덩어리라고 집착할 만한 것이 아닌데 부질없이 집착하는 까닭에 이것을 덩어리라고 하여 집착하는구나”라고 설하셨으니, 이것은 곧 이 밖에 또 다른 무상정지(無上正智)가 없음을 밝히려고 한 것이다.
또한 ‘무슨 까닭에 모든 어리석은 범부의 무리들은 실제로 덩어리가 없는데 덩어리라고 집착하는가?’ 하는 의혹이 생길 것이므로 이러한 의혹을 없애게 하기 위하여 “그것을 덩어리라고 집착하는 사람은 다만 속된 논설이다”라고 말씀하셨다.
이와 같은 것 등은 무엇을 밝히려는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3_c_13L譬如造墨所有塵埃衆多極微性非一處其聚集物非一事故亦非異性由摠集故此由無有別別斷割之理如是應知諸佛世尊於法界中煩惱障盡非一處性亦非異性此卽兼述三千大千世界不是聚性及是聚性其喩亦同如來說爲非是聚性是故說爲極微聚此顯何義若其聚物是其一者不應名此爲極微聚又復若是一界者亦不應言三千大千世由此故云此卽是其有聚執也卽如來說爲非執不爲聚執故由其妄執是故說爲聚執欲明異此餘悉應無無上正智復有何因諸凡愚類於實無聚而執耶爲除斯難而云其聚執者但俗論說有如是等此何所頌曰

다만 속된 말인 줄 알지 못하여
여러 어리석은 이들이 부질없이 집착한다.
015_0314_a_07L不了但俗言
諸凡愚妄執

“묘생아, 모든 사람은 말하기를 ‘여래께서 아견(我見) 등을 선설하셨다’라고 하였다”라고 한 것은 무슨 뜻을 밝히려는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4_a_08L妙生諸有說云如來宣說我見等者此明何義頌曰

아집(我執)과 법집(法執) 이 두 가지를 끊었다고 하는 것은
이 두 가지가 본래 없는 것임을 깨달아 알지 못하기 때문이라네.
015_0314_a_10L斷我法二種
非證覺無故

아집과 법집 두 가지를 말하지만 이것은 실체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비록 이 두 가지를 끊었다고 말하더라도 또한 보리를 증득할 수는 없다고 하니, 이것은 과연 누가 끊으며 누가 얻는다는 것인가?
답하기를, 저 두 가지 소견을 끊음으로 말미암아 이 두 가지 견해도 곧 제거되기 때문이다.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4_a_11L言我法二種體是無故此兩雖言得而亦不證菩提是誰之斷而能獲由二見之斷彼二之見是所除頌曰

이런 까닭에 견(見)이니 견이 아니니 하면서
아무 경계도 없는 것에 허망하게 집착하는 것이다
015_0314_a_15L是故見無見
無境虛妄執

이러한 까닭에 나라고 하는 실체란 없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모든 사람들은 나라는 것이 있다는 견해를 갖고 있으므로 여래께서 잘못된 견해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경계란 본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아마도 나라고 집착하는 경계는 원래 없는 것이라고 말했을 것이다.
경에 이르기를 “그런 까닭에 아견(我見)이라고 이름한다”고 한 것은 허망한 분별이 있음을 밝힌 것이다.
이와 같이 나라는 것이 없는 이치에서 견성(見性)이 없음을 나타내 보였을 뿐이며, 또한 저 법견(法見)에서도 견성이 없음을 밝히려 한 것이다. 그러므로 경전에 이르기를 “일체법에 대하여 마땅히 이와 같이 알아야 한다”는 등의 말을 한 것이다.
그러나 저 법이라는 생각에 있어서도 모양이나 성품이 없는 것은 마치 나라는 견해에서의 입장과 마찬가지일 것이다.
또 무슨 뜻으로 이 아견(我見)과 법견(法見)의 두 소견에 견성(見性)이 없다고 말하는가?
답하였다.
015_0314_a_16L由此故知我體是無諸有我見如來說爲非見以無境故意道所有我境元來是無文云故名我見明虛妄分別有也如是於無我理顯見無見性已亦是顯其於法見無見性是故文云於一切法應如是知然其法想亦是非相性故猶如我見復有何此之我法二見說爲非見性耶答曰
015_0314_b_01L
이런 미세한 장애로 말미암아
이와 같이 아는 것이기 때문에 끊어 없애야 한다.
015_0314_b_01L由此是細障
如是知故斷

여기에서 밝힌 뜻은 이 아(我)ㆍ법(法)의 두 가지 견해는 곧 견취(見取)이므로 이것을 미세한 장애라고 말했다.
이 두 가지 일에 대하여 이와 같이 견성이 아니라는 것을 바르게 알기 때문에 마침내 이런 의심을 끊어 없앨 수 있다. 그래서 경에 이르기를 “마땅히 이와 같이 알고 마땅히 이와 같이 보아야 하며 마땅히 이와 같이 알아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
이 글에 대하여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4_b_02L是所顯義此之我法二見是其見取此謂細障由於二事如是正知非見性故方能除斷經云應如是知應如是見應如是解此文說頌曰

이 두 가지 지혜[二種智]4)
선정을 얻음으로써 비로소 저것이 제거된다.
015_0314_b_06L由得二種智
及定彼方除

세속지[覆俗智] 및 승의지(勝義智)와 이 두 가지가 의지하고 있는 선정으로써 마침내 저 장애가 제거된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또 논하건대 그렇다면 차별이 있는 복은 어느 곳에서 나타나는가?
게송으로 답하리라.
015_0314_b_07L謂以覆俗勝義智及以此二所依之方除彼障又論差別之福何所顯答頌曰

복을 펼쳐서 화신(化身)을 밝히니
무진(無盡)한 복 없는 것이 아니네.
015_0314_b_10L陳福明化身
非無無盡福

여래가 비록 다시 임의대로 운용하여 널리 화신으로 작용한다 하더라도, 그러나 저 화신이 선설(宣說)한 바른 법은 곧 무루(無漏)의 복이라서 문득 다함이 없는 기약을 이룬다.
‘어떻게 사람들을 위하여 바르게 설법해야 하는가?’ 등이라고 한 것은 무슨 뜻을 밝힌 것인가?
여래께서는 스스로 내가 화신이라고 말씀하시지 않으셨다.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4_b_11L如來雖復任運廣爲化用然彼化身宣說正法卽是無漏之福便成無有盡期云何正說等者此意爲顯如來不自言我是化身頌曰

모든 부처님께서는 설법하실 때에
자신이 화신이라는 말씀을 하시지 않으셨으니
스스로 그런 말씀 하시지 않으셨기에
이 말은 진실한 말씀이라네.
015_0314_b_15L諸佛說法時
不言身是化
由不自言故
是其眞實說
015_0314_c_01L
이것은 무엇을 진술하기 위한 것인가?
여래께서 비록 중생들을 위하여 법을 선양(宣揚)하여 교화한다 하더라도 스스로 내가 곧 화신이라는 말씀을 하시지 않으셨으니, 이와 같은 말을 하여 올바르게 설법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것을 이름하여 그 설법이 바른 설법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만약 이와 다르게 말한다면 그가 교화시킨 모든 중생들이 지극히 공경하는 마음을 내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곧 많은 중생들의 일을 이롭게 하는 것이니, 다시는 어떤 법으로도 설함이 없기 때문이다.
‘만약 여래가 많은 화신(化身)이 되어 끝없는 설법을 하신다면, 왜 그는 다시 열반(涅槃)이 있다고 설하실까?’ 하는 의혹이 생겨날 것이므로 이런 의혹을 풀어주기 위하여 게송[伽他]으로 말하였다.
015_0314_b_17L此何所陳欲明如來雖爲衆生宣揚法化而不自說我是化身由作如是不正說故爲此名彼以爲正說意道若異此者於彼所化諸衆生輩不生極敬斯乃爲利多衆生事復是無法可說故若言如來爲多化身無盡說如何彼復說有涅槃耶爲釋此疑說伽他曰

여래께서 증득하신 열반은
조작해서 된 것도 아니지만 또한 그와 다른 것도 아니다.
015_0314_c_02L如來涅槃證
非造亦不殊

모든 여래가 증득한 열반[圓寂]은 조작(造作)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유위(有爲)의 자성은 그 조작에 의한 것처럼 그것 또한 이와 다르지 않다. 비록 열반을 보인 뒤에도 그는 화신으로 나타나 생사(生死)가 똑같다는 이치를 보여 유정(有情)을 이익 되게 한 것이니, 여래의 머무름 없는 열반은 생사(生死)와 열반, 이 두 가지 모두에 머무르지 않음을 밝히려고 하였기 때문이다.
또 무슨 까닭으로 생사와 같다는 것을 보이시면서 생사인연(生死因緣)의 일에 머물지 아니하는가?
게송으로 답하리라.
015_0314_c_03L非諸如來所證圓寂是其造作有爲自性望其造作復不是異雖現涅槃而是其化示同生死利益有情欲顯如來無住涅槃生死涅槃兩皆不住復有何因示同生死而不住於生死因緣事耶答頌曰

일체의 유위법(有爲法)은
별ㆍ삼눈[翳]ㆍ등불ㆍ허깨비와 같고
이슬ㆍ거품ㆍ꿈ㆍ번개ㆍ구름과 같으니
마땅히 이와 같이 관찰해야 한다.
015_0314_c_09L一切有爲法
如星翳燈幻
露泡夢電雲
應作如是觀

별 등 아홉 가지 일로써 법과 같음을 비유한 것이니, 아홉 가지 일로 비유함으로써 바른 지혜로 경계를 관찰하게 한 것이다.
此集造有九
以正智觀故
어떤 것을 아홉 가지 관찰이라고 하는가?
곧 이것은 아홉 가지로 관찰해야 할 일임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어떤 것을 관찰해야 할 일이라고 하는가?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4_c_11L由以星等九事爲同法喩喩九種正智而觀於境何謂九觀應知卽是九種所觀之事何謂所觀頌曰

견상(見相)과 인식작용[識]과
거처[居處]와 몸[身]과 수용(受用)과
그리고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일을 자세히 관찰해야 한다.
015_0314_c_14L見相及與識
居處身受用
過去幷現存
未至詳觀察
015_0315_a_01L
이 가운데에서 ‘마땅히 별[星宿]처럼 관찰해야 한다’고 한 것은, 이 심법(心法)의 바른 지혜는 태양처럼 밝으니 태양이 이미 떠오르면 그 물질은 모두 소멸되어 버리기 때문이라는 것을 말한 것이며, ‘인연이 되는 경계의 모습을 관찰해야 한다’는 것은 마치 눈병이 있는 사람에게는 발단(髮團)5)이 보이는 것과 같으니, 이것은 허망하게 나타난 것이기 때문임을 말한 것이며, 마땅히 그 인식 작용은 마치 등불과 같다고 관찰해야 한다’는 것은 곧 능의견(能依見)은 마치 등불에서 기름과 같은 존재인 애착(愛着)의 힘으로 인하여 생겨나기 때문이다.
‘마땅히 거처에 대해서는 마치 허깨비와 같다고 관찰해야 한다’는 것은 곧 기세간(器世間)6)에는 기이한 바탕이 많이 있지만, 그 성품이 부실(不實)하기 때문이며, ‘마땅히 그 몸에 대하여 이슬과 같은 존재라고 관찰해야 한다’는 것은 몸이 이 세간에 머무는 시간이 이슬처럼 짧기 때문이며, ‘수용(受用)하는 것에 대하여 마치 물거품과 같다고 관찰해야 한다’는 것은 그 수용하는 성품이 이 세 가지 일[三事]7)이 합해져서 생겨난 성품이기 때문이다.
‘마땅히 과거에 있었던 모여지고 지어진 일들을 마치 꿈속에 있었던 경계와 같다고 관찰해야 한다’는 것은 다만 오직 잊지 않고 기억하는 성품 때문이며, ‘마땅히 현재의 일에 대하여 번개와 같다고 관찰해야 한다’는 것은 빠르게 소멸하는 성품 때문이며, ‘마땅히 미래의 실체[體]는 구름과 같은 것이라고 관찰해야 한다’는 것은 아뢰야식(阿賴耶識)이 종자(種子)와 같은 위치에 있어서 실체가 능히 여러 가지 종자를 포섭하여 갈무리하기 때문이다.
015_0314_c_16L此中應觀見如星宿謂是心法正智日明亦旣出已光全滅故應觀所緣境相如瞖目人睹髮團等是妄現故應觀其識猶若於燈此能依見由愛膩力而得生故應觀居處猶如於幻卽器世閒有多奇質性不實故應觀其身譬如露渧暫時住故觀所受用猶若水泡其受用性是三事合所生性故應觀過去所有集造同於夢境但唯念性故應觀現在事同於電滅性故應觀未至體若重雲阿賴耶識在種子位體能攝藏諸種子故
이와 같은 아홉 가지를 가지고 관찰할 때에 어떤 이익이 있으며 어떠한 뛰어난 지혜를 획득하는가?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5_a_05L作斯九種觀察之時有何利益獲何勝智頌曰

모습[相]을 관찰하고
수용과 변천하는 흐름을 관찰한 까닭에
유위(有爲)의 일 가운데에서
번뇌 없이[無垢] 자재(自在)함을 획득하는 것이다.
015_0315_a_07L由觀察相故
受用及遷流
於有爲事中
獲無垢自在

이 말은 무슨 의미인가?
유위법(有爲法)을 관찰하는 데는 세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경계와 인식작용을 관찰하기 때문에 곧 모여지고 만들어진 유위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이며, 둘째는 기세계의 몸과 작용(作用)하는 것을 관찰하는 까닭에 곧 이것도 그 수용(受用)을 관찰하여 여기에서 저[彼]에게 수용되는 바가 되기 때문이며, 셋째는 3세(世)가 차별이 있어 변천한 것임을 관찰한 까닭에 이것은 곧 변천하여 흐르고 머물지 않는 것임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말미암아 관찰하기 때문에 문득 모든 유위법 가운데에서 장애(障礙)가 없음을 획득하여 마음대로 자재로울 수 있다.
그러므로 비록 생사(生死)의 세계에 거한다 하더라도 번뇌[塵勞]에 더럽혀지지 않아서 그 지혜가 원적회신(圓寂灰燼)함을 증득하리니, 어찌 그 비(悲)를 맛볼 것인가? 게송으로 말하리라.
015_0315_a_09L此義云何觀有爲法有其三種觀見境識故卽是觀察集造有爲之由觀器界身及所用故卽是觀其受用於此由彼所受用也由觀三世差別轉故卽是觀其遷流不住由此觀故便能於諸有爲法中獲無障㝵隨意自在爲此縱居生死塵勞不染其智設證圓寂灰燼寧味其悲頌曰

이 모든 부처님의 희유(希有)한 법과
다라니 구절의 매우 심오한 뜻으로 말미암아
존귀한 이를 따라 자신의 뜻을 결정하고 널리 연설하여
복을 획득하고 중생으로 하여금 빨리 청정케 하리라.
015_0315_a_18L由斯諸佛希有法
陁羅尼句義深邃
從尊決已義廣開
獲福令生速淸淨
能斷金剛般若波羅蜜多經論釋卷下
약명반야말후일송찬술(略明般若末後一頌讚述)
015_0315_a_21L略明般若末後一頌讚述
015_0315_b_01L당(唐)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정(義淨) 지음
015_0315_b_01L義淨因譯無著菩薩般若頌釋訖夫大士判其九喩可謂文致幽深義玄簡自非地鄰極喜誰能發此明而西域相承云無著菩薩昔於睹史多天慈氏尊處親受此八十頌般若要門順瑜伽宗理明唯識之義遂令教流印度若金烏之焰赫扶桑闡神州等玉兔之光浮雪嶺然而能斷金剛西方乃有多釋考其始也此頌最先卽世親大士躬爲其釋此雖神州譯訖而義有闕如故復親覈談筵重詳其妙雅符釋意更譯本經世親菩薩復爲般若七門義釋而那爛陁寺盛傅其論但爲義府幽沖尋者莫測有師子月法師造此論釋有東印度多聞俗士其名月官遍撿諸家亦爲義釋斯等莫不意符三性不同中觀矣更有別釋而但順龍猛不會瑜伽瑜伽則眞有俗無以三性爲本中觀乃眞無俗有寔二諦爲先般若大宗含斯兩意致使東夏則道分南北西方乃義隔有空旣識介綱理無和雜各准 聖旨誠難乖競然而末後一頌云一切有爲法如星瞖燈應作如是觀者
의정(義淨)은 무착보살(無著菩薩)의 반야송석(般若頌釋) 반야송석(般若頌釋) : 인도의 무착보살(無著菩薩)이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蜜多經)』에 붙인 게송과 세친보살(世親菩薩)이 무착보살(無著菩薩)의 게송[般若頌]에 해석을 붙인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논석(能斷金剛般若波羅蜜多經論釋)』을 가리킨다.을 번역하면서, 무착 대사(大士)가 이 세상의 모든 현상을 아홉 가지 비유[九喻] 구유(九喩) :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논석(能斷金剛般若波羅蜜多經論釋)』 3권에, “일체의 유위법(有爲法)은 별ㆍ눈의 백태[翳]ㆍ등불ㆍ허깨비와 같고 이슬ㆍ물거품ㆍ꿈ㆍ번개ㆍ구름과 같으니, 마땅히 이와 같이 관찰해야 한다.[云一切有爲法,如星、瞖、燈、幻、露、泡、夢、電、雲,應作如是觀者]”라고 나와 있다.로 밝힌 것을 자세히 살펴보게 되었다. 그런데 그 비유로 밝힌 글의 운치는 너무나 그윽하고 깊었으며, 담긴 불법의 의미도 지극히 심오하면서 명료한 것이었으니, 대사 자신이 환희지[極喜] 극희(極喜) : 보살의 수행단계를 10가지[十地]로 나눈 것 중 첫 번째 경지에 해당하며, 보살이 수행을 하다가 깨달음의 눈이 뜨여서 기쁨으로 가득 차 있는 상태를 말한다. 다른 말로 환희지(歡喜地)라고도 한다.의 경지에 이르지 않았다면, 누가 이런 밝은 지혜를 드러낼 수 있었겠는가.
015_0315_c_03L而釋文旣隱恐尋者尚昧輒因二丸事喩聊題十八之作冀使朝覽遂閑庶网銷神之滯夜光親授長無按劍之惑然而見等九事卽生死之區寰大士了如星等是故處而不著智不住生津媲紅蓮之在瀲悲不居圓寂若白玉之沈溺因答無住涅槃申其九喩云爾
서역(西域)에서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무착 보살(無著菩薩)은 옛날에 도사다천(覩史多天) 도사다천(覩史多天) : 도솔천을 말한다. 이곳은 육욕천(六欲天) 가운데 제4천으로, 내원(內院)과 외원(外院)으로 돼 있고, 내원에는 미륵 보살이 수행중이라고 한다. 에 있는 미륵 보살[慈氏]이 머무르는 곳에서 미륵 보살에게 직접 이 80게송[八十頌]을 받아서, 반야(般若)의 가장 중요한 비밀을 풀고 유가(瑜伽)의 근본 이치[宗理]에 따라서 유식(唯識)의 의미를 분명히 밝혔다고 한다. 그리하여 마침내 마치 태양[金烏]이 동쪽 바다(扶桑) 부상(扶桑) : 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동쪽 바다의 해가 뜨는 곳에 있다는 신성한 나무, 또는 그 나무가 있는 곳을 가리키는 말이다. 를 순식간에 붉게 물들이듯 불법의 가르침이 인도(印度)에 빠르게 전파되었고, 달[玉兔]이 눈 덮인 고개를 환히 비추듯이 불법의 진리가 중국[神州]에까지 환히 밝혀지게 되었다.
015_0315_c_11L論見 觀見如星長夜妄執
그런데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은 인도[西方]에서도 여러 해석이 있는데, 그 기원을 살펴보면 무착 보살의 이 게송이 가장 앞선 것으로, 세친 대사(世親大士)가 직접 무착 보살을 위해 이 게송을 해석한 것이다. 비록 중국[神州]에서도 이것을 번역하였지만, 본래의 뜻을 나타내는 데에 모자람이 있었다. 그러므로 나 의정이 다시 직접 이 경의 강론에서 본래의 의미를 궁구하고, 거듭 이 경의 오묘한 뜻을 자세히 살펴서 본래의 뜻에 부합되게 본경(本經)을 다시 번역하였다.
015_0315_c_12L見心長夜景
妄執久冥舒
三心纔巳發
兩分盡皆除
그리고 세친 보살(世親菩薩)은 다시 반야칠문의석(般若七門義釋)을 지었고, 나란타사(那爛陀寺) 나란타사(那爛陀寺) : 고대 중인도(中印度) 마갈타국(摩竭陀國)의 수도인 왕사성(王舍城) 북쪽에 인접해 있던 사원이다. 쿠마라굽타(kumāragupta) 1세가 창건한 이후, 역대 왕들이 증축하여 인도 불교의 중심지가 된 사원이다.에서 그 의론을 널리 전하였다. 그러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에 담겨있는 이치[義府] 의부(義府) : 원래는 시경이나 서경에 담겨있는 의미나 이치를 뜻하는 말이지만, 여기서는 문맥에 따라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에 담긴 이치로 번역하였다.가 너무나 깊고 깊어서 그 깊이를 헤아리기 어려웠다. 그래서 사자월(師子月) 법사(法師)가 이 경의 논석(論釋)을 지었고, 또 동인도(東印度) 출신 다문속사(多聞俗士)로 그 이름이 월관(月官)인 학승이 여러 학파의 해석을 두루 검토하여 원문에는 검(撿)으로 되어 있는데 검(檢)으로 해석하였다. 의석(義釋)을 지었다. 이들의 해석은 그 의미가 삼성(三性) 삼성(三性) : 의식에 형성되어 있는 현상의 세 가지 성질을 말하는 것이다. 첫째는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으로, 온갖 분별하는 마음으로 지어낸 허구적인 대상을 가리키고, 둘째는 의타기성(依他起性)으로, 온갖 분별을 잇달아 일으키는 인식 작용을 말하며, 셋째는 원성실성(圓成實性)으로, 분별과 망상이 소멸된 상태에서 드러나는 있는 그대로의 청정한 모습을 가리킨다.의 관점에서는 부합하지만, 중관(中觀) 중관(中觀) : 용수(龍樹)가 원시불교의 근본사상인 연기(緣起)설을 공(空)의 입장에서 심화시켜 내세운 사상이다. 원시불교의 연기설에서는, 현상 세계는 연기의 이법(理法)에 따라 생기거나 사멸하거나 하는 개물(個物)의 집합에 지나지 않지만, 연기의 이법 자체는 불변의 법칙으로서 전제되었다. 하지만 용수는 연기의 이법 자체도 본질적으로는 공(空)이라고 비판하였다. 이 입장은 반야개공(般若皆空)의 사고 방식에 요약되어 있다. 즉 반야란 절대지(絶對知)이며 모든 존재에 그 자체의 본질을 상정하여 그것을 실체로 보는 고정적인 인식을 부정하는 지혜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혜는 인간의 관념 세계와 사물의 현상 세계의 모든 것을 상대적인 관계성(空性) 속에서 찾으려고 한다. 과는 맞지 않았다. 다시 또 다른 해석이 있지만 이 해석도 용수[龍猛]의 견해는 따랐지만, 유가(瑜伽) 유가(瑜伽) : 산스크리트어 yoga의 음사로, 상응(相應)이라 번역한다. 마음을 한곳에 집중하여 바른 지혜로써 대상을 있는 그대로 주시하면, 모든 현상은 오직 마음 작용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는다는 것이다.를 이해한 것은 아니었다. 유가(瑜伽)는 실재[真]는 존재하고 현상[俗]은 존재하지 않다고 하여, 삼성(三性)을 근본으로 삼는 입장이고, 중관은 실재[真]는 존재하지 않고 현상[俗]은 존재한다고 하여, 속제와 진제[二諦] 이제(二諦) : 용수가 쓴 『중론(中論)』에 등장하는 개념으로 세속적 입장에서 본 진리, 즉 속제(俗諦)와 궁극적 입장에서 본 진리, 즉 진제(眞諦)를 말한다. 물이 수증기로 변할 때, 우리는 ‘물'과 ‘수증기'라는 이름으로 구획하고 고착화시킨 실체를 말한다. 이것이 바로 일상적 차원의 진리 곧 속제(俗諦)이다. 그러나 이 속제는 임시적, 방편적 이름이요, 생성과 소멸이라는 현상 또한 임시적인 현상일 뿐이다. 연기적 관점에서 볼 때에는 조건들의 이합집산에 의한 찰나적 변화만이 존재할 뿐, 물이라든가 수증기라고 규정할 만한 대상은 경험적으로 포착되지 않는다. 현상은 실재하지 않는다. 이렇게 연기적 관점에서 말하는 궁극적 진리가 진제(眞諦)이다. 그러나 속제와 진제는 상호 의존적이다. 언어와 사유로 도달할 수 없는 궁극적 진리[眞諦]를 가리키는 수단이며 기호가, 곧 속제이기 때문이다. 의 관계를 중요시 한 것이다. 반야(般若)는 이 모든 것을 아우르는 큰 뿌리이니, 유가와 중관의 두 관점을 모두 담고 있다.
015_0315_c_14L喩星 以星喩見夜有明無
015_0315_c_01L그런데 중국[東夏]에서 불법이 남(南)과 북(北)으로 나뉘게 되고, 인도[西方]에서도 의론[義]이 유(有) 유(有) : 현상계에 나타나는 만물의 모습을 가리키는 말이다.와 공(空) 공(空) : 현상계에 존재하는 만물은 모두 실재가 아니라는 의미이다.으로 나뉘게 되었다. 이에 불법의 이치를 중요하지 않은 것과 중요한 것으로 구분하게 되고, 불법의 이치에 다양성을 인정하고 화합하는 것도 없어져서, 각자 자신들의 입장에서만 부처님의 가르침[聖旨]을 해석하니, 부처님의 가르침은 진실로 이해하기 어렵게 되고 그 해석도 서로 어긋나 다투게 되었다. 그래서 약명반야말후일송찬술[末後一頌]에서, “이 세상의 모든 현상[有爲法]은 별ㆍ눈의 백태[翳]ㆍ등불ㆍ허깨비와 같고, 이슬ㆍ물거품ㆍ꿈ㆍ번개ㆍ구름과 같으니, 마땅히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모든 현상을 관찰해야 한다.”라고 한 것이다.
015_0315_c_15L榆星通夜景
柳色徹明舒
千條光若發
一旦盡皆除
그러나 이 게송을 해석한 글이 그 의미가 너무나 깊이 감추어져 있어서, 그 깊은 의미가 오히려 가려질 것을 근심하여, 떠오르는 대로 아홉 개의 현상에 아홉 개의 비유[二九事喻] 원문에 환(丸)으로 되어 있는데 구(九)로 고쳐 번역하였다.를 들어, 열여덟 개의 글을 짓게 되었다. 그러므로 아침마다 이것을 바라보며 깨달음을 얻어 정신을 갉아먹는 번뇌를 없애고, 원문에는 망(网)으로 되어 있는데 망(罔)으로 고쳐 번역하였다. 야광주[夜光]같은 이 가르침을 직접 후대에 전해주어 낯선 보배에 칼을 잡는 어리석은 의혹이 없기를 바라노라. 이 내용은 한(漢)나라 때 추양(鄒陽)이 양왕(梁王)에게 올린 글에 유래한 것이다. “명월주나 야광벽 같은 보배를 어두운 밤길을 가는 사람에게 던져주면 칼자루를 어루만지며 노려보지 않을 사람이 없으니, 그 이유는 무엇인가. 까닭 없이 보배가 자기 앞에 떨어졌기 때문이다.[明月之珠、夜光之璧, 以闇投人於道路, 人無不按劍相眄者, 何則? 無因而至前也.]”라는 내용인데, 여기서는 아무리 훌륭한 보배라도 갑자기 접하게 되면 그 보배의 가치를 제대로 알아보지 못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015_0315_c_17L論境 道境如瞖妄睹空花
그런데 보는 것[見] 등의 아홉 가지 현상[九事]은 곧 삶과 죽음의 모든 세계[區寰]를 가리키는 것이고, 무착 대사[大士]는 이것들을 별 등의 비유로 밝힌 것이니, 이런 까닭에 무착 대사는 삶과 죽음의 현상 세계에 머물면서도 그 현상 세계에는 구속되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그 지혜는 삶과 죽음의 경계[生津]에 머무르지 않았으니, 붉은 연꽃[紅蓮]이 세속에 물들지 않고 아름답게 핀 것에 견줄 만하고, 자비는 깨달음의 세계[圓寂]에만 머물지 않았으니, 새하얀 옥돌[白玉]이 중생의 세계에 잠긴 것과 같은 것이다. 이 때문에 대사는 열반(涅槃)에 머무를 수가 없다고 답하며, 이 아홉 가지의 비유를 전한 것이다.
015_0315_c_18L境色無非障
妄有見塵瑕
但由眞智力
不復睹狂花
보는 것을 풀이함[論見]보는 것을 깜깜한 밤에 반짝이는 별과 같은 헛된 집착[妄執]이라고 본 것이다.
015_0315_c_20L喩瞖 以瞖喩境元無妄執
마음을 보니 칠흑 같은 밤 풍경이고 헛된 집착 어둠에 퍼진 지 오래이나정토 향한 세 마음 삼심(三心) : 지성심(至誠心), 심심(深心), 회향발원심(迴向發願心)의 세 가지 마음을 가리킨다. 지성심은 정토(淨土)를 진실 되게 원하는 마음이고, 심심은 정토를 간절히 원하는 마음이며, 회향발원심은 공덕(功德)을 닦아 정토에 가기를 원하는 마음이다. 이 세 가지 마음을 갖추면 반드시 정토에 왕생(往生)할 수 있다고 한다. 이제 일으키니 허황된 집착들 정토를 향한 세 가지 마음이 일어나 마음속 망집들을 사라지게 하는 것을 빛이 어둠을 비추어 어둠이 사라지는 것으로 표현한 것이다. 모두 사라지네.
015_0315_c_21L太虛本無障
淨境性亡瑕
但由瞖眼力
遂使見空花
별로 비유함[喻星]별이 밤에는 반짝이다가 해가 뜨면 사라지는 것을 보고 비유로 나타낸 것이다.
015_0315_c_23L論識 言識如燈生生不絕
느릅나무에 걸린 별들 밤하늘 수놓으니버드나무의 풀빛에도 밝은 빛 비치네천 가지 별빛이 찬란히 반짝거려도하루아침 뜨는 해에 모두 사라지리.
015_0316_a_01L見起起不巳
妄生生未極
留滯死宮中
良由依識力
인식 대상[境] 경(境) :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논석(能斷金剛般若波羅蜜多經論釋)』에서는 경(境)을 경상(境相)으로 풀이했는데, 경상(境相)은 분별상(分別相)이다. 이것은 인연에 따라 온갖 분별로써 마음속에 지어낸 허구적 대상을 가리킨다.을 풀이함[論境] 우리가 인식하는 대상이 백태가 낀 눈으로 헛되게 허공에 그려진 꽃[空花]을 보는 것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
015_0316_a_03L喩燈 以燈喩識焰焰無窮
분별로 인식한 세계는 장애일 뿐이니백태가 낀 눈으로 헛것을 본 것이네그러나 반야의 참된 지혜의 힘은다시는 미혹의 꽃을 보지 않게 하리.
015_0316_a_04L發焰焰不巳
舒光光未極
照灼炳宵中
良爲膏油力
눈에 낀 백태로 비유함[喻瞖]눈에 낀 백태로 대상을 인식하는 것을 비유하여 애초에 망집(妄執)이 없었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015_0316_a_06L論界 說界如幻藉業生而會盡
만물의 실재 태허(太虛) : 천지 만물의 근원으로서의 무형(無形)의 도(道)란 뜻이다. 《장자(莊子)》의 〈지북유편(知北遊篇)〉에 나오는 말로, 역(易)의 태극(太極)과 거의 같은 뜻이다. 장자에게 있어 도는 일체의 것, 전체 공간(空間)에 확산되고 명칭도 표현도 초월한 실재(實在)이므로 이를 '태허'라 불렀다. 는 본래 막힘이 없고청정한 삼매 경성(境性) : 마음이 하나로 모여 어지럽지 않고 고요해진 상태인 삼매(三昧)를 가리킨다.에는 백태가 없었네그러나 백태가 낀 눈으로 바라보니결국 허공의 꽃을 보게 된 것이네.
015_0316_a_07L業功莊處巧
由惑生衆相
所執定非眞
界體全虛妄
인식 작용을 풀이함[論識]인식 작용이 마치 등불이 계속 꺼지지 않고 일렁이는 것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
015_0316_a_09L喩幻 以幻喩界假匠起而終無
015_0316_a_01L감각의 작용은 꼬리를 물고 이어져헛된 인식 다함이 없이 일어나네죽을 자리 머물러 움직이지 못하니진실로 인식 작용 때문이로구나.
015_0316_a_10L幻師方便巧
假作衆形相
鞠體固非眞
所見皆虛妄
등불로 비유함[喻燈]등불이 심지를 태워 불을 밝히는 것을 비유로 인식작용도 이처럼 끊임없이 이어져 그침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015_0316_a_12L論身 序身如露體不久停
붙여진 등불 끝없이 일렁이고환한 불빛 한없이 퍼져가네심지를 태워 밤을 밝히니진실로 애착의 기름 때문이구나.
015_0316_a_13L投軀生巘際
寄命死河中
鎭處飄颻夜
還如橐籥風
중생이 거주하는 세계를 풀이함[論界]허깨비를 빌려 중생이 거주하는 세계가 업(業)이 생겨나서 모였다가 사라지는 세계임을 설명한 것이다.
015_0316_a_15L喩露 以露喩身逢風必落
업공(業功)의 장엄한 처소 아름다우나미혹으로 여러 모습 생겨난 것뿐이네집착하여 만들어 낸 것 실재가 아니니중생세계 완전히 실체 없는 허깨비라네.
015_0316_a_16L圓珠停草際
渧淚處花中
悽悽動林夜
索索盡隨風
허깨비로 비유함[喻幻]허깨비로 비유함으로 중생세계가 거짓 장인이 생겨나서 끝없이 만든 세계임을 나타낸 것이다.
015_0316_a_18L論受用 陳用如泡待根境識
마술사의 솜씨가 교묘하여헛되게 여러 형상을 만드네만든 것들 진실로 실재가 아니니보이는 것 모두 허깨비일 뿐이네.
015_0316_a_19L寰中根色積
託此復心行
寔由三觸合
遂令三受生
육신을 풀이함[論身] 육신을 이슬방울과 같다고 하여, 육신이 오래도록 일정한 곳에 머물 수 없음을 서술한 것이다.
015_0316_a_21L喩泡 以泡喩用假渧水風
던져지듯 산자락 끝에 태어난 몸잠시 맡은 목숨 강물에 빠져 죽네머문 곳에 이리저리 밤바람 부니오히려 풀무의 세찬 바람 같네
015_0316_a_22L池中平水積
渧墜看風行
但由三事合
乘使萬泡生
이슬로 비유함[喻露]이슬로 비유함으로 육신이 이슬처럼 바람을 맞으면 반드시 죽는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015_0316_b_01L論過 述過如夢由思而起
이슬방울 풀잎에 머물다가 떨어져 꽃 속에 자리 잡았지만숲을 흔드는 밤바람 구슬피 울면이슬도 바람 따라 쓸쓸히 사라지네.
015_0316_b_02L過去雖無境
尋思意尚通
遂令方寸內
還見九城容
감각의 작용을 풀이함[論受用] 물거품처럼 감각의 작용은 오근[根] 근(根) : 근(根, indriya)이란 ‘인드라 신에 상응하는 힘’을 뜻하며, 인간의 신체 중에서 가장 밝게 빛나며 두드러지게 뛰어난 힘을 가리킨다. 인간에게는 오근(五根)이 있는 데, 곧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등의 식(識)이 발생하게 되는 근거로서, 안근(眼根, cakṣurindriya)·이근(耳根, śrotrendriya)·비근(鼻根, ghrāṇendriya)·설근(舌根, jihvendriya)·신근(身根, kāyendriya)을 말한다."⋅인식 대상[境]⋅인식 작용[識]이 잇달아 일어나는 것임을 진술한 것이다.
015_0316_b_04L喩夢 以夢喩過因憶乃生
세상에서 오근에 여러 형상 쌓이면이 때문에 가지가지 생각 일어나네진실로 세 가지 만나 서로 작용하니드디어 세 감각[三受] 삼수(三受) : 내부의 감각기능과 외부의 감각대상이 대응하면서 느끼는 세 가지 감각을 말한다. 첫째는 괴로운 느낌[苦受], 둘째는 즐거운 느낌[樂受], 셋째는 괴롭지도 않고 즐겁지도 않은 느낌[不苦不樂受]이다.이 생겨났네 
015_0316_b_05L處晝多緣境
良宵記念通
遂令於睡內
重憶本時容
물거품에 비유함[喻泡]물거품으로 비유하여, 감각의 작용이 마치 물방울들이 잇달아 물결을 일으키듯 맞물려 작용함을 나타낸 것이다.
015_0316_b_07L論現 談現如電暫時而有
잔잔한 못에 수면은 고요한데물방울 떨어지자 물결이 출렁이네 원문에는 간(看)으로 되어 있는 데, 유(有)로 고쳐서 번역하였다.이렇듯 세 가지 것들 합쳐지자 삼사(三事) : 오근[根], 인식 대상[境], 인식작용[識], 이 세 가지가 화합하는 것을 말한다.만 가지 물거품 생겨나게 되었네.
015_0316_b_08L萬像如電野
四相等流光
詎知唯一念
妄計有三常
015_0316_b_01L과거를 풀이함[論過] 과거가 꿈과 같이 생각으로 인해 생겨나는 것임을 서술한 것이다.
015_0316_b_10L喩電 以電喩現跾忽便亡
과거는 지나가 인식할 대상이 없지만 깊은 생각과 뜻은 여전히 이어져있네이렇듯 사방 한 치 마음 안에서오히려 아홉 성의 위용이 드러나네.
015_0316_b_11L震雷鳴四野
擊電動千光
㧍那存有念
卽體自無常
꿈에 비유함[喻夢]꿈에 비유함으로 과거가 생각 때문에 생겨난 것임을 나타낸 것이다.
015_0316_b_13L論未 論未如雲本識能持其種
낮엔 여러 인연 대상을 만들고  밤엔 기억과 생각으로 이어지니마침내는 잠자는 동안에도  더욱 예전 모습 생각해내네.
015_0316_b_14L藏識無初結
波情浪後飛
良由有貪愛
帶種定何疑
현재를 풀이함[論現] 현재가 번개와 같다고 하여, 잠깐 동안 있다가 사라지는 것임을 말한 것이다.
015_0316_b_16L喩雲 以雲喩未自體必含於潤
온갖 형상 번개칠 때 드러난 들과 같고현상의 네 모습 사상(四相) : 여러 인연으로 생성되어 변해 가는 모든 현상의 네 가지 모습을 말한다. 첫째는 생상(生相)으로, 여러 인연이 모여 생기는 모습이고, 둘째는 주상(住相)으로, 머무는 모습이며, 셋째는 이상(異相)으로, 변해 가는 모습이고, 넷째는 멸상(滅相)으로, 인연이 흩어져 소멸하는 모습이다. 번쩍이는 빛 같으나어찌 찰나 한순간만 있음을 알았겠는가삼상(三常) 삼상(三常) : 여기서는 인연으로 생긴 모든 현상이 과거, 현재, 미래 모두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이 있다는 건 그릇된 생각일세.
015_0316_b_17L靉靆屯雲結
煥爛景風飛
光華如可愛
含潤理無疑
번개로 비유함[喻電]번개로 비유함으로 현재가 홀연히 나타났다가 곧 사라진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015_0316_b_19L更以一句收事收喩撮其要義而爲一述
천둥소리 사방 들에 울리고  내려친 번개 수많은 빛 흩뿌리네만물은 찰나 원문에 방나(㧍那)로 되어 있으나 찰나(刹那)로 고쳐 번역하였다. 한순간에만 존재하니만물의 본체는 영원한 게 아니네.
015_0316_b_21L見心智滅如星殄
惑境眞亡若瞖除
想起由識如燈焰
界有藉思同幻車
미래를 풀이함[論未]미래는 구름과 같아서 아뢰야식[本識] 본식(本識) : 아뢰야식의 다른 이름이다. 아뢰야식은 육근(六根)의 지각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근원적인 심층 의식으로, 모든 종자(種子)를 담고 주관할 수 있다.이 미래의 종자를 지닐 수 있음을 밝힌 것이다.
015_0316_b_23L一身暫顯同朝露
三受忽現等泡虛
憶念過時空夢發
計執現存奔電舒
旣知雨潤雲中住
未種常依識藏居
아뢰야식은 시작도 끝도 없어일어난 의념 계속해서 이어지니진실로 탐욕과 애착 때문이구나종자를 지니고도 정녕 의심하는가
015_0316_c_03L次下別據三性三身眞俗般若以明觀行九喩解九事云熟觀生界咸如此
智者應可務眞常
眞常實不玄
圓成在目前
구름으로 비유함[喻雲]구름으로 비유함으로 미래의 종자가 반드시 부처의 윤택을 입을 것을 나타낸 것이다
015_0316_c_07L覺二體空蛇索盡
了一非無鏡月懸
鏡月懸時實無慮
但作他緣生福處
두둥실 두둥실 구름들 모여들어아름답고 밝은 모습으로 떠가네빛처럼 영화로워 사랑할 만하니  윤택을 입을 것 의심할 수 없네
015_0316_c_09L唯識初心乍有依
眞如後念還無據
無據卽般若
勝俗亡眞假
福津如筏捐不捐
悲智隨生捨不捨
略明般若末後一頌讚述
癸卯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다시 한마디 말로 위에서 언급한 현상과 비유를 각각 정리하고 그 핵심 의미를 뽑아내어, 하나의 글로 지었다.
별빛이 사라지듯 집착을 지혜로 없애고눈의 백태 제거하듯 미혹의 허상을 없애라등불의 불꽃처럼 인식함이 생각을 일으키니세상은 생각이 만든 것이라 꿈속 수레 같네.
015_0316_c_01L이 한 몸은 잠시 나타나는 아침 이슬과 같고 세 감각은 홀연히 생겨나는 물거품처럼 허망하네과거의 추억은 공허한 꿈을 꾸는 것일뿐이요현재의 집착은 깜빡이는 번개를 좇는 격이네 비를 뿌릴 구름 중에 머문 것을 이미 아니미래 종자는 항상 아뢰야식에 의지해 있구나 .
확히 했다. 삶과 죽음의 세계를 잘 살피면 모두 이와 같으니  지혜로운 자는 당연히 열반[真常]에 힘써야 하네열반[真常]은 실로 깨닫기 어려운 것 아니니눈앞에서도 원만히 이룰 수 있는 것이네.
두 몸이 공임을 알면 뱀과 노끈의 구별도 사라지고진제도 속제도 없음을 깨달으면 거울에 달도 매다니거울에 달도 매달 때 진실로 모든 근심 사라지고다른 인연을 만들어서 비로소 복된 곳에 태어나네.
유식(唯識)은 초심자가 잠시잠깐 의지하는 것이요 진여(眞如)는 깨달은 뒤에도 오히려 기댈 수 없네기댈 것 없으니 곧 반야(般若)이고진속을 초월하니 참과 거짓도 없네  피안의 복락은 나룻배를 버리느냐 버리지 않느냐에 달렸으며자비와 지혜는 중생을 버리느냐 버리지 않느냐에 달린 것이네.약명반야말후일송찬술(略明般若末後一頌讚述)계묘(癸卯)년 고려국(高麗國)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조칙을 받들어 만들었다.
  1. 1)보신(報身)과 응신(應身)을 말한다.
  2. 2)가타(伽陀)는 범어 gāthā의 음역으로 게송(偈頌)을 말한다.
  3. 3)근(勤)이란 75법(法) 또는 백법(百法)의 하나로서 심소(心所)의 이름이다. 즉 악을 끊고 선을 닦는 데 마음을 융통하게 하는 정신작용이니, 사근은 곧 이러한 작용이 삿된 것이다.
  4. 4)세간의 도리나 사물로써 세속지(世俗智)의 대경(對境)이 되는 세속제(世俗諦)와 뛰어난 지혜의 대경이 되는 승의제(勝義諦)를 말한다.
  5. 5)눈을 감으면 아지랑이처럼 아른거리는 동그라미 같은 형상이 눈앞에 오락가락 하는 것을 말한다.
  6. 6)중생을 수용하는 세간이라는 의미로서 우리가 살고 있는 산하(山河)와 대지(大地) 등의 세계를 말한다.
  7. 7)받아들이고[受]ㆍ생각하고[想]ㆍ인연을 맺는[因] 것을 세 가지 일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