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開元釋教錄卷第十七

ABC_IT_K1062_T_017
031_1223_b_01L
개원석교록 제 17 권


지승 지음


2. 별분승장록 ⑧

4) 산략번중록(繁重錄) 147부 408권
「산번록(刪繁錄)」이라는 것은 같은 본인데 이름이 다르거나, 혹은 많은 것 중에서 간략하게 낼 때에 번거롭고 쓸데없는 말이라 생각되면, 이제 모두 깎아내어 지운 것이다. 다만 세월이 오래 지나서 모두 잘못 전해지고 단지 권질(卷帙)만을 채운 것이면, 공로를 허비할 뿐이므로 이제 그 다르고 같음을 자세히 조사하여 마땅함과 마땅하지 않음을 밝히고, 갖추어 조목(條目)을 내었으므로 볼 만한 것이 있다 하리라.

(1) 신괄출별생경(新括出別生經) 67부 185권
허공장소문경(虛空藏所問經) 8권또한 『방등왕허공장경(方等王虛空藏經)』이라 하며, 또는 다만 『허공장경(虛空藏經)』이라고도 한다. 혹은 5권이다.
위 1경은 바로 『대집경(大集經)』 중의 「허공장보살품(虛空藏菩薩品)」을 별초(別抄)하여 유행시킨 경이다. 『대주록(大周錄)』에서 “걸복진(乞伏秦) 때의 사문 성견(聖堅)의 번역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성견이 번역한 경본은 궐본이다.
허공장보살문지경득기복경(虛空藏菩薩問持經得幾福經) 1권
위 1경은 역시 『대집경』의 「허공장품(虛空藏品)」에서 별초(別抄)하여 낸 것이다. 여러 목록에서 모두 이르기를, “요진(姚秦) 시대, 삼장(三藏)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일체시왕소행단바라밀경(一切施王所行檀波羅蜜經) 1권
위 1경은 『육도집경(六度集經)』의 「시도무극(施度無極)」 중에 나온다. 여러 목록[諸錄]에서 모두 “요진시대, 삼장 구마라집의 번역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대방광여래성기미밀장경(大方廣如來性起微密藏經) 2권
위 1경은 곧 구역 『화엄경(華嚴經)』의 「보왕여래성기품(寶王如來性起品)」에서 따로 초출(抄出)하여 유행시킨 경이다. 처음에는 증신서(證信序)를 덧붙였고, 제2회(會)의 첫 연기(緣起)를 취하여 첫머리에 놓았다. 『장방록(長房錄)』 등에서 모두 이르기를 “서진(西晋) 때의 실역(失譯)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수원왕생경(隨願往生經) 1권또한 『관정수원왕생시방정토경(灌頂隨願往生十方淨土經)』이라고도 하며, 또한 『보광보살경(普廣菩薩經)』이라고도 한다.
위 1경은 바로 『대관정경(大灌頂經)』 제11권의 「보광품(普廣品)」이다. 혹 어떤 경본에는 제12권에 있다. 『장방록』 등의 목록에서 모두 “오(吳)나라 때의 우바새 지겸(支謙)의 번역이다”라고 하였으며, 혹은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라고 하기도 하였으나, 두 군데 모두 잘못이다.
약사유리광경(藥師琉璃光經) 1권또한 『관정발제과죄생사득도경(灌頂拔除過罪生死得度經)』이라고도 한다.
위 1경은 바로 『대관정경(大灌頂經)』 제12권에 나온다. 혹 어떤 경본에는 제11권에 있다. 『장방록』에서 모두 “송(宋)나라 때의 녹야사(鹿野寺) 사문 혜간(慧蕑)의 번역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대반야제이회경(大般若第二會經) 78권시속의 표제에는 “신역(新譯) 『대품반야(大品般若)』ㆍ『방광반야(放光般若)』이다”라고 하였다.
대반야제사회경(大般若第四會經) 18권시속(時俗)의 표제에서 “『도행반야(道行般若)』ㆍ『소품반야(小品般若)』이다”라고 하였다.
위 2경은 세간[時俗]에서 다 함께 전하기를 “이 경은 삼장 의정(義淨)의 번역이며, 따로 제목을 고치고 추려내어 베껴서[抄寫] 유행되었다”라고 하였다. 의정 삼장이 번역한 경의 목록[經目]을 조사하여 찾아보았으나 일찍이 이런 경을 따로 번역한 일이 없었으며, 그 문구를 대조하여 보았더니 『대반야경[大般若]』과 다른 데가 없었다. 자세히 알지 못할까봐 일부러 여기에 기술한다.
최승천왕반야경(最勝天王般若經) 8권또한 신역 『승천왕반야경(勝天王般若經)』이라고도 한다.
위 1경은 곧 『대반야경』의 제6회(會)와 옛 『승천왕반야바라밀경[勝天王般若]』과는 동본이역(同本異譯)이다.
만수반야경(曼殊般若經) 2권또한 『문수사리소설반야바라밀경(文殊師利所說般若波羅蜜經)』이라고도 한다.
위 1경은 곧 『대반야경』 제7회(會)의 「만수실리분(曼殊室利分)」과 옛 『문수반야(文殊般若)』와는 동본이역이다.
이취반야경(理趣般若經) 1권
위 1경은 곧 『대반야경』 제10회(會)의 「반야이취분(般若理趣分)」이다.
밀적금강역사경(密迹金剛力士經) 2권
위 1경은 『내전록(內典錄)』 등에서 “실역(失譯)이다”라고 하였으나, 그렇지 않다. 이제 그 본(本)을 찾았는데, 이에 5권의 『밀적역사경(密迹力士經)』에 나온다. 제4권의 처음 네 번째 장[紙]에 있는 오언게(五言偈)와 뒤에서 다섯 번째 줄의 다섯 번째 글자 이하부터 시작하여 제5권의 마지막까지이며, 문구가 완전히 동일하다.
증일아함경(增壹阿含經) 1권3장이다.
위 1경은 『증일아함경』 제21권에 나오고, 2경(經)을 초출(抄出)하였으며 처음은 사범복(四梵福)을 밝혔고, 다음은 사식(四食)을 밝혔으며, 마지막은 사변(四辯)을 밝혔다. 『장방록』에서 “서진(西晋)의 사문 법거(法炬)의 번역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행칠행현보경(行七行現報經) 1권1장이다.
위 1경은 『증일아함경』 제34권에 나온다.
십이인연경(十二因緣經) 1권3장이다.
위 1경은 『증일아함경』 제46권에 나온다. 『주록(周錄)』에는 대승장(大乘藏) 가운데 편입되어 있으며, 『패다수하사유십이인연경(貝多樹下思惟十二因緣經)』과는 동본이역이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계상응법경(戒相應法經) 1권
위 1경은 『잡아함경』 제30권에 나온다. 『장방록(長房錄)』에서 “동진(東晋) 시대, 서역 사문 축담무란(竺曇無蘭)의 번역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비구문불다우바새명종경(比丘問佛多優婆塞命終經) 1권
위 1경은 역시 『잡아함경』 제30권에 나온다. 『장방록』에서 “서진(西晋) 시대, 사문 법거(法炬)의 번역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독부장자경(獨富長者經) 1권
위 1경은 『잡아함경』 제46권에 나온다. 『장방록』에서 “후한(後漢) 시대, 삼장 안세고(安世高)의 번역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유중생삼세작악경(有衆生三世作惡經) 1권
위 1경은 『출요경(出曜經)』 제8권에 나온다. 『장방록』에서 “서진 시대, 사문 법거의 번역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출가공덕경(出家功德經) 1권
위 1경은 『현우경(賢愚經)』 「출가공덕품(出家功德品)」의 첫머리에 나온다. 『장방록』에서 “오(吳)나라 때, 우바새 지겸(支謙)의 번역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불위년소바라문설지선불선경(佛爲年少婆羅門說知善不善經) 1권『잡아함경』 제4권에 나온다. 『장방록』에서 “후한(後漢) 시대, 삼장 안세고(安世高)의 번역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불위나구라장자설근숙경(佛爲那拘羅長者說根熟經) 1권『잡아함경』 제5권에 나온다. 『장방록』에서 “후한 시대, 삼장 안세고의 번역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불위외도수심설리욕경(佛爲外道須深說離欲經) 1권『잡아함경』 제14권에 나온다. 『장방록』에서 “오나라 때, 우바새 지겸의 번역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아육왕시반아마륵과경(阿育王施半阿摩勒果經) 1권『잡아함경』 제25권에 나온다.
선사만족경(禪思滿足經) 1권『잡아함경』 제29권에 나온다. 『장방록』에 의거하면 “전후 두 번의 번역이 있었다”고 한 것은 모두 잘못이다.
이상 5경은 『주록(周錄)』의 궐본경(闕本經) 안에 편입되어 있는데, 이제 그 본(本)을 얻어서 조사해 보니, 모두가 『잡아함경』에 나온다. 이미 이는 별생경(別生經)이었으나, 거기서는 제외하여 기록하지 않았다.
마갈어인연경(摩竭魚因緣經) 1권제9권에 나온다.
존자오타이인도제인예불승경(尊者鄔陀夷引導諸人禮佛僧經) 1권제11권에 나온다.
환본국도부왕경(還本國度父王經) 1권제17권의 끝부터 제18권의 첫부분에 나온다.
수생태자경(水生太子經) 1권제19권에 나온다.
시물법비법경(施物法非法經) 1권제24권에 나온다.
교계라호라경(敎誡羅怙羅經) 1권제25권에 나온다.
오취생사륜전경(五趣生死輪轉經) 1권제34권에 나온다.
선래필추인연경(善來苾蒭因緣經) 1권제42권에 나온다.
칠유사무사복업경(七有事無事福業經) 1권제46권에 나온다.
『마갈어인연경[摩竭魚因緣]』 이하 9경은 모두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根本說一切有部毗奈耶)』에 나온다.
화생장자수보경(火生長者受報經) 1권제2권과 제3권에 나온다.
존자선화호성경(尊者善和好聲經) 1권제4권에 나온다.
오종수라경(五種水羅經) 1권제5권에 나온다.
승만부인본연경(勝鬘夫人本緣經) 1권제7권에 나온다.
승광왕신불경(勝光王信佛經) 1권제8권에 나온다.
주석종수보경(誅釋種受報經) 2권제8권과 제9권에 나온다.
대세주필추니입열반경(大世主苾蒭尼入涅槃經) 1권제10권에 나온다.
불위난타설출가입태경(佛爲難陀說出家入胎經) 2권『보적경(寶積經)』의 제14회(會)에 편입되어 있다. 제11ㆍ제12권에 나온다.
경법사신경(敬法捨身經) 1권제14권의 첫 부분에 나온다.
도이사견동자득과경(度二邪見童子得果經) 1권제14권에 나온다.
청정위의경(淸淨威儀經) 1권혹은 『세정위의경(洗淨威儀經)』이라고도 한다. 제6권에 나온다.
대목련수보경(大目連受報經) 1권제18권에 나온다.
초탄생현대서응경(初誕生現大瑞應經) 1권제20권에 나온다.
도가다연나경(度迦多演那經) 1권제20권에 나온다.
해라발룡왕업보인연경(▼(殹/口)羅鉢龍王業報因緣經) 1권제21권에 나온다.
이 『해라발용왕업보인연경』과 『도가다연나경』의 같고 다름을 밝히면, 다만 앞 경의 첫머리 글에 따로 4장의 연기(緣起)를 보탰을 뿐이고, 그 아래 글들은 모두 같아서 구별이 없다. 그런데 어찌 번거롭게 거듭 초(抄)하여, 2경으로 나누었는가.
안락부인인연경(安樂夫人因緣經) 1권제21권에 나온다.
증양인연경(增養因緣經) 3권제22ㆍ23ㆍ24권에 나온다.
묘광이연경(妙光因緣經) 1권제25권에 나온다.
항복외도현대신통경(降伏外道現大神通經) 1권제26권에 나온다.
대약선교방편경(大藥善巧方便經) 2권제27ㆍ28권에 나온다.
불종천하섬부주경(佛從天下瞻部洲經) 1권제29권에 나온다.
도수구답미경(度瘦瞿答彌經) 1권제30권에 나온다.
하리지모인연경(訶利底母因緣經) 1권제31권에 나온다.
법여니재가득과경(法與尼在家得果經) 1권제32권에 나온다.
수생바라문교만경(樹生婆羅門憍慢經) 1권제34권 끝에서부터 제35권의 처음까지에 나온다.
제자사사경(弟子事師經) 1권제35권에 나온다.
칠종불퇴전경(七種不退轉經) 1권제35권에 나온다.
불위장자설방일경(佛爲長者說放逸經) 1권제36권에 나온다.
지동인연경(地動因緣經) 1권제36권에 나온다.
사종흑백법인경(四種黑白法印經) 1권제37권에 나온다.
불장입열반도선현경(佛將入涅槃度善賢經) 2권제37권의 중간 이후부터 제38권의 중간 이전까지에 나온다.
불반열반행우대신고왕경(佛般涅槃行雨大臣告王經) 1권제38권에 나왔다.
팔대국왕분사리경(八大國王分舍利經) 1권제38권의 끝에서부터 제39권의 처음까지에 나온다.
이상의 2경은 문구가 서로 뒤섞여 있다. 그 『불반열반행우대신고왕경』은 뒤의 경에 비하여 앞의 문구가 2장 남짓 보태졌고, 그 『팔대국왕분사리경』은 앞의 경에 비하여 뒤의 문구가 3장 정도 보태져 있다. 그 밖의 나머지는 모두 차이가 없는데, 베껴서 2경이 되었으므로 번거롭고 마땅하지 않다.
『화생장자수보경[火生長者]』 이하 33경은 모두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根本說一切有部毗奈耶雜事)』에 나온다. 그리고 『마갈어인연경(摩竭魚因緣經)』부터 이하의 42경 49권은 모두 설일체유부율(說一切有部律)의 연기(緣起)이다. 삼장 의정(義淨)이 추려 내어 베껴서 유행시킨 경들인데, 이미 종류가 별생경[別生]이기 때문에 모두 삭제하였다. 그 가운데 『시물법비법경(施物法非法經)』과 『제자사사경(弟子事師經)』은 자세한 경문에 비하면 비록 조금 더하고 덜함의 차이는 있지만, 뜻이 이미 본래의 본과 다르지 않은데 어찌 번거롭게 따로 부권(部卷)을 만들었는가? 종류가 모두 별생경이므로, 역시 모두 삭제하였다.

(2) 신괄출 명이문동경(名異文同經) 20부 52권
보살경계분신법문경(菩薩境界奮迅法門經) 10권
원위(元魏) 시대, 삼장 보리류지(菩提留支)의 번역이다.『보창록(寶唱錄)』에 나온다.
위 1경은 곧 『살차니건자경(薩遮尼乾子經)』의 다른 이름이다. 『주록(周錄)』에는 따로 기재되어 있고, 다시 궐본(闕本)이라 한 것은 잘못이다.
신도행경(新道行經) 7권혹은 10권이다.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장방록(長房錄)』 등에 나온다.
위 1경은 모든 장본(藏本)을 살펴보았더니, 모두 『소품반야경[小品般若]』과 완전히 동일하다고 하였는데, 그 경본에 대한 잘못이다. 축법호가 번역한 『신도행경』은 그 때에는 그 경본이 없었다.동도(東都)에 축법호가 번역한 경본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가서, 경본을 찾아보려 하였으나 찾지 못하였다.
대방등대집경(大方等大集經) 8권
위 1경은 당(唐)나라의 『내전록(內典錄)』과 『대주록(大周錄)』 두 목록에 모두 기재되어 있다. 이제 그 경의 문구를 살펴보았더니, 곧 『합부대집경(合部大集經)』 제6질(帙)이었다. 처음 2권의 이름은 「시방보살품(十方菩薩品)」이며, 곧 『명도오십교계경(明度五十校計經)』이고 뒤의 6권은 바로 『무진의경(無盡意經)』이다. 그 『명도오십교계경』이 무엇 때문에 『대집경[大集]』에 편입되었는지를 모르겠다. 경에 차이가 있으므로, 지금은 별부(別部)에 기록한다. 여기에 다시 기록하면 이 가운데 기록되므로, 지금은 일부러 삭제하였다.
아뇩달용왕경(阿耨達龍王經) 2권
위 1경은 『홍도광현삼매경(弘道廣顯三昧經)』과 문구가 완전히 같다. 다만 이름만 다를 뿐이므로, 이제는 한 본(本)만을 기록한다.
합도신족경(合道神足經) 3권
위 1경은 『도신족무극변화경(道神足無極變化經)』과 문구가 같으며, 이름만이 다르다.
애읍경(哀泣經) 3권혹은 2권이다. 6품(品)이다.
위 1경은 『방등반니원경(方等般泥洹經)』과 문구가 같으며, 이름만 다르다. 그 『방등반니원경』의 초품(初品)이 「애읍품(哀泣品)」이며, 이 품의 이름을 따서 경의 제목을 만든 것이다. 『방등니원경[方等泥洹]』에 비하면 뒤에 3품(品)이 없으므로, 문구가 부족하다.
보전혜인삼매경(寶田慧印三昧經) 1권
위 1경은 『혜인삼매경(慧印三昧經)』과 문구가 완전히 같으며, 이름의 광략(廣略)이 다를 뿐이다. 『장방록』에는 “『혜인삼매경』은 또한 『보전혜인삼매경』이라고도 한다”고 하였으며, 『주록[周]』의 『입장록(入藏錄)』에는 두 본을 모두 기재하면서 하나는 단본(單本)으로 하고, 하나는 중역(重譯)으로 하였다. 잘못이 심하다.
녹자경(鹿子經) 1권
위 1경은 『녹모경(鹿母經)』과는 문구가 같으며, 이름만 다르다. 그 글과 뜻에 의거하여 모(母)자를 따서 이름을 붙인 것이다. 『장방록』에서 “『녹자경』은 오(吳)나라 때, 우바새 지겸(支謙)의 번역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소무량수경(小無量壽經) 1권
위 1경은 『아미타경(阿彌陀經)』과는 문구가 같으며, 이름만이 다르다. 송(宋)나라 때, 삼장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가 번역한 『소무량수경』은 그때에는 그 본(本)이 없었다.
태장경(胎藏經) 1권『장방록』에 나온다.
위 1경은 『무구현녀경(無垢賢女經)』과 문구가 같으며, 이름만이 다르다.
문성십이인연경(聞城十二因緣經) 1권
위 1경은 『패다수하사유십이인연경(貝多樹下思惟十二因緣經)』과 문구가 같으며, 이름만 다르다. 이 『문성경』에는 합쳐진 이본(異本)이 있는데, 찾아보려 하였으나 찾지 못하였다.
대안반경(大安般經) 1권혹은 2권이다. 『내전록』에는 2권이라 하였고, 『장방록』에는 1권이라 하였다.
위 1경은 『대안반수의경(大安般守意經)』과 문구가 완전히 같으며, 이름의 광략(廣略)만 다르다. 여러 목록[群錄]에는 그 두 본(本)을 다 기재하고 있는데, 잘못이 심하다.
신일경(申日經) 1권
위 1경은 대승장(大乘藏) 가운데 『월광동자경(月光童子經)』과 문구가 같으며, 이름만 다르다. 아버지 이름은 신일(申日)이고 아들의 이름은 월광(月光)이었는데, 이것이 같지 않은 데에 결부시켜 경의 이름을 따로 붙였다. 『장방록(長房錄)』에서 “『신일경』은 오나라 때, 우바새 지겸의 번역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윤전오도죄복보응경(輪轉五道罪福報應經) 1권
위 1경은 『죄복보응경(罪福報應經)』과 문구가 완전히 같으며, 이름의 광략(廣略)만 다르다.
전타월경(旃陀越經) 1권
위 1경은 『전타월국왕경(旃陀越國王經)』과 문구가 완전히 같으며, 이름의 광략(廣略)만 다르다. 『주록[周]』 「입장록[入藏]」의 『전타월경』은 단본(單本)에 편입되어 있고 『전타월국왕경』은 중역(重譯)에 편입되어 있는데, 두 군데에 모두 기재한 것은 잘못됨이 심하다.
진위사문경(眞僞沙門經) 1권『장방록』에는 “일명 『마하비구경(摩訶比丘經)』이라고도 하며, 또한 『가섭금계경(迦葉禁戒經)』이라고도 한다”라고 하였다.
위 1경은 곧 『가섭금계경(迦葉禁戒經)』의 다른 이름이며, 문구는 완전히 같다. 어떤 이가 “송(宋)나라 때, 녹야사(鹿野寺) 사문 혜간(慧蕑)의 번역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전법륜경(轉法輪經) 1권
위 1경은 살펴보았으나, 그 본(本)이 없었다. 모든 경장(經藏)에서 『전법륜론(轉法輪論)』으로 바꾸어 놓은 것은 잘못이다.근래에 동도(東都)에서 그 정본(正本)을 찾았으므로, 장경(藏經)에 편입시켰다.
빈두로위왕설법경(賓頭盧爲王說法經) 1권
위 1경은 『빈두로돌라사위우타연왕설법경(賓頭盧突羅闍爲優陀延王說法經)』의 문구와 완전히 같으며, 이름의 광략(廣略)만 다르다.
아란야습선법경(阿蘭若習禪法經) 2권
위 1경은 『좌선삼매경(坐禪三昧經)』과는 문구가 같으며, 이름만 다르다.
선비요경(禪秘要經) 5권
위 1경은 송(宋)나라 때, 삼장 담마밀다(曇摩蜜多)의 번역이라 하였으며, 또 요진(姚秦) 시대, 삼장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한 『선비요법(禪秘要法)』과 동본이출(同本異出)이라고 하였다. 이제 위아래를 살펴 찾아보았더니, 문구가 지극히 뒤섞여 있고 본경(本經)이 아니었다. 처음의 1권은 바로 『치선병비요법(治禪病秘要法)』의 글이었는데, 그것도 다 마치지 못하고 반쯤 되어서 그만두었다. 제2권 이후는 곧 구마라집이 번역한 『선비요법(禪秘要法)』인데, 제1권의 중간 이후부터 시작하여 제3권의 끝까지 이르러 그 글 또한 다 쓰지 않고 10여 장[紙]이 모자랐다. 평균하면 4권이나 앞의 권까지 합쳐 5권이다. 담마밀다가 번역한 본은 그 때에는 궐본이었다.

(3) 신괄출 중상록경(重上錄經) 8부 30권
보살지지경(菩薩地持經) 10권혹은 8권이다. 또한 『보살계경(菩薩戒經)』이라고도 하며, 또 『보살지경(菩薩地經)』이라고도 한다.
위 1경은 또한 『보살지지론(菩薩地持論)』이라고도 한다. 이제 이 목록에는 율(律)에 편입되어 있는데, 그 경의 이름이 있으므로 그 「논록(論錄)」에는 제외시켰다. 『주록(周錄)』에서 “『보살지지경』은 궐본이다”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또 『주록』에는 이 한 본(本)의 이름에 많은 이름이 있으면서, 전후 서로 들쑥날쑥하게 무릇 여섯 곳에서나 겹쳐서 기록하여 놓았는데, 잘못이 심하다.대승경(大乘經)에는 한 곳에 기록되었고, 대승률(大乘律)에는 두 곳에 기록되었으며, 대승론(大乘論)에는 한 곳에 기록되었고, 「궐본록(闕本錄)」에는 두 곳에 기록되어 있다.
그 밖의 다른 경도 거듭하여 기재된 수(數)는 한 군데만이 아니지만, 지묵(紙墨)이 번거로울까봐 일부러 기술을 생략한다.
무외덕녀경(無畏德女經) 1권지금은 『보적경(寶積經)』에 있다.
제일의법승경(第一義法勝經) 1권
미륵보살소문본원경(彌勒菩薩所問本願經) 1권
위 3경은 『대주록[大周]』의 「입장록(入藏錄)」 가운데 단본(單本)과 중역(重譯)의 두 곳에 모두 기재된 것은 잘못이다. 이제는 단본에서 제외시키고 중역에 편입시킨다.
발보리심경(發菩提心經) 2권또한 『발보리심론(發菩提心論)』이라고도 한다.
위 1경이 『주록[周]』의 「입장록(入藏錄)」에서 대승경(大乘經)과 대승론(大乘論)의 두 곳에 모두 기재된 것은 잘못이다. 보살이 지은 것이므로 이제는 경이라는 이름을 지우고, 「논록(論錄)」에 기록한다.
간왕경(諫王經) 1권또한 『대소간왕경(大小諫王經)』이라고도 한다.
위 1경이 『주록』의 「입장록」ㆍ「궐본록(闕本錄)」 두 목록에 모두 함께 기재된 것은 잘못이다.
법구경(法句經) 2권또한 『법구집(法句集)』이라고도 한다.
위 1경이 『주록』 「입장록(入藏錄)」의 대승중역(大乘重譯)과 집(集)ㆍ전(傳)의 두 곳에 모두 기재된 것은 잘못이다. 그 문구를 찾아보았더니, 모두 똑같아서 두 가지로 분리될 수 없었다. 비록 예전에 재차의 번역이 있었기는 하나, 그 한 본(本)은 궐본이다. 이제 경(經)에서는 삭제하고, 집(集) 안에 편입시킨다.
섭대승석론(攝大乘釋論) 12권
이 논(論)은 수(隋)나라 개황(開皇)ㆍ인수(仁壽) 연간의 『중경록(衆經錄)』과 당(唐)나라 때, 『내전록[內典]』과 『대주록(大周錄)』 등에는 모두 두 논본(論本)으로 기록되고 있다. 그리고 “15권의 『섭론(攝論)』과는 동본이출(同本異出)이며, 모두 진조(陳朝)의 삼장 진제(眞諦)가 번역하였다”고 한 것은 잘못이다. 이제 그 문구를 첫머리부터 끝까지 대조해 보았는데, 완전히 같았다. 권수(卷數)에서는 다소 다르지만, 2부(部)로 나눌 수 없다. 다만 15권 본만을 두고, 12권으로 된 본은 삭제한다.

(4) 신괄출 합입대부경(合入大部經) 52부 141권
금광명경(金光明經) 4권18품(品)이다.
북량(北涼) 시대, 삼장 담무참(曇無讖)의 번역이다.
금광명경(金光明經) 7권22품(品)이다. 혹은 6권이다.
진(陳)나라 때, 삼장 진제(眞諦)의 전역(全譯)이다.4품(品)이 합하여서 7권이 되었다.
금광명경갱광수량(金光明經更廣壽量)『대변다라니경(大辯陀羅尼經)』 5권이 4권본(卷本)을 이었다.
주우문씨(周宇文氏) 때, 삼장 야사굴다(耶舍崛多)가 『수량(壽量)』ㆍ『대변(大辯)』의 2품(品)을 이어 번역하였다.
위 1경은 수(隋)나라 때, 흥선사(興善寺) 사문 보귀(寶貴)가 앞의 세 경본과 사나굴다(闍那崛多)가 번역한 「은주(銀主)」ㆍ「촉루(囑累)」의 2품(品)을 취하여, 모두 24품(品)을 합해 8권으로 만들었다. 앞의 세 경본은 모두 합쳐 들어갔으면서도 하나도 더하거나 덜함이 없으며, 그 8권으로 된 경본만 「입장록[入藏]」에 남겨 두고 이상 세 경본은 겹쳐졌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밀적금강역사경(密迹金剛力士經) 7권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
제3회(會)에 있다.혹은 4권 또는 5권 또는 8권이다.
보살몽경(菩薩夢經) 2권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제4회에 있다.새로 이름을 고쳐서 「정거천자회(淨居天子會)」라고 한다.
법계체성무분별경(法界體性無分別經) 2권양(梁)나라 때, 삼장 만다라선(曼陀羅仙)의 번역이다.
제8회에 있다.
십법경(十法經) 1권원위(元魏) 시대, 삼장 불타선다(佛陀扇多)의 번역이다.
제9회에 있다.이름을 덧붙이면 「대승십법회(大乘十法會)」라고 한다.
대보살장경(大菩薩藏經) 20권대당(大唐) 삼장 현장(玄奘)의 번역이다.
제12회에 있다.
불위난타설출가입태경(佛爲難說出家入胎經) 2권『설일체유부율(說一切有部律)』에 나온다. 대당(大唐) 삼장 의정(義淨)의 번역이다.
제14회에 있다.이름을 고쳐서 「입태장회(入胎藏會)」라고 한다.
문수사리수기경(文殊師利授記經) 3권대당 삼장 실차난타(實叉難陀)의 번역이다.
제15회에 있다.
보살견실삼매경(菩薩見實三昧經) 16권고제(高齊) 시대, 삼장 나련제야사(那連提耶舍)의 번역이다.
제16회에 있다.혹은 14권 또는 10권이다.
보살장경(菩薩藏經) 3권일명 『부루나문경(富樓那問經)』이라고도 한다. 요진(姚秦) 시대,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이다.
제17회에 있다.또한 『대비심경(大悲心經)』이라고도 하며, 이름을 고쳐서 「부루나회(富樓那會)」라고 한다. 혹은 2권이다.
호국보살경(護國菩薩經) 2권수(隋)나라 때, 삼장 사나굴다(闍那崛多)의 번역이다.
제18회에 있다.
욱가장자소문경(郁伽長者所問經) 1권조위(曹魏) 시대, 삼장 강승개(康僧鎧)의 번역이다.
제19회에 있다.혹은 2권이다.
가섭경(迦葉經) 2권원위(元魏) 시대, 외국 왕자(外國王子) 월바수나(月婆首那)의 번역이다.
제23회에 있다.
선비보살소문경(善臂菩薩所問經) 2권요진(姚秦) 시대, 삼장 구마라집의 번역이다.
제26회에 있다.혹은 1권이다.
무외덕녀경(無畏德女經) 1권원위(元魏) 시대, 삼장 불타선다(佛陀扇多)의 번역이다.
제32회(會)에 있다.
무구시보살분별응변경(無垢施菩薩分別應辯經) 1권서진(西晋) 시대, 청신사(淸信士) 섭도진(聶道眞)의 번역이다.
제33회에 있다.혹은 2권이다.
대방등선주의천자문경(大方等善住意天子問經) 4권수나라 때, 삼장 달마급다(達摩笈多)의 번역이다.
제36회에 있다.
대승방편경(大乘方便經) 3권동진(東晋) 시대, 외국 거사 축난제(竺難提)의 번역이다.
제38회에 있다.
이식경(移識經) 2권수나라 때, 삼장 사나굴다(闍那崛多)의 번역이다.
제39회에 있다.이름을 고쳐서 「현호장자회(賢護長者會)」라고 한다.
미륵보살소문경(彌勒菩薩所問經) 1권원위(元魏)시대, 삼장 보리류지(菩提留支)의 번역이다.
제41회에 있다.이름을 고쳐서 「미륵문팔법회(彌勒問八法會)」라고 한다.
대보적경(大寶積經) 1권실역(失譯)이다.
제43회에 있다.이름을 고쳐서 「보명보살회(普明菩薩會)」라고 한다.
보량경(寶梁經) 2권북량(北涼) 시대, 사문 도공(道龔)의 번역이다.
제44회에 있다.
문수반야바라밀경(文殊般若波羅蜜經) 1권양(梁)나라 때, 삼장 만다라선(曼陀羅仙)의 번역이다. 혹은 2권이다.
제46회에 있다.반야부(般若部)에도 한 본이 겹쳐서 나와 있는데, 여기에서만 치우치게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제목을 기록한다.
보계보살소문경(寶髻菩薩所問經) 2권또한 『보살정행경(菩薩淨行經)』이라고도 한다. 서진(西晋) 시대,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
제47회에 있다.
위 『밀적역사경(密迹力士經)』 이하의 합 23부 81권은 모두 『대보적경(大寶積經)』의 모든 회諸會의 구역(舊譯)이다. 삼장 보리류지가 범본(梵本)과 같은지 대조하여, 다시 거듭하여 번역하지 않고 곧장 회(會)의 차례에 편입시켰다. 이미 대부(大部)에 합쳐졌으므로, 그 밖의 다른 것은 삭제하였다.
삼률의경(三律儀經) 3권옛 『대방광삼계경(大方廣三戒經)』과 동본(同本)이다.
제1회에 있다.
무변장엄경(無邊莊嚴經) 4권
제2회에 있다.
무량수여래경(無量壽如來經) 2권옛 『대아미타경(大阿彌陀經)』 등과 동본이다.
제5회에 있다.
부동여래경(不動如來經) 2권옛 『아촉불국경(阿閦佛國經)』과 동본이다.
제6회에 있다.
피갑장엄경(被甲莊嚴經) 5권
제7회에 있다.
문수사리보문경(文殊師利普門經) 1권옛 『보문품경(普門品經)』과 동본이다.
제10회에 있다.
출현광명경(出現光明經) 5권
제11회에 있다.
불위아난설처태경(佛爲阿難說處胎經) 2권옛 『포태경(胞胎經)』과 동본이다.
제13회에 있다.
무진복장경(無盡伏藏經) 2권
제20회에 있다.
수환사발타라기경(授幻師跋羅記經) 1권옛 『환사인현경(幻士仁賢經)』과 동본이다.
제21회에 있다.
대신변경(大神變經) 2권
제22회에 있다.
우파리문경(優波離問經) 1권옛 『결정비니경(決定毗尼經)』과 동본이다.
제24회에 있다.
발승지락경(發勝志樂經) 2권옛 『발각정심경(發覺淨心經)』과 동본이다.
제25회에 있다.
선순보살경(善順菩薩經) 1권
제27회에 있다.
근수장자경(勤授長者經) 1권
제28회에 있다.
우타연왕경(優陀延王經) 1권옛 『우전왕경(優塡王經)』과 동본이다.
제29회에 있다.
묘혜동녀경(妙慧童女經) 1권옛 『수마제경(須摩提經)』과 동본이다.
제30회에 있다.
항하상우바이경(恒河上優婆夷經) 1권
제31회에 있다.
공덕보화부보살경(功德寶花敷菩薩經) 1권
제34회에 있다.
선덕천자경(善德天子經) 1권옛 『문수부사의경계경(文殊不思議境界經)』과 동본이다.
제35회에 있다.
아사세왕태자경(阿闍世王太子經) 1권옛 『태자쇄호경(太子刷護經)』 등과 동본이다.
제37회에 있다.
정신동녀경(淨信童女經) 1권
제40회에 있다.
미륵보살소문경(彌勒菩薩所問經) 1권옛 『미륵소문본원경(彌勒所問本願經)』과 동본이다.
제42회에 있다.
무진혜보살경(無盡慧菩薩經) 1권
제45회에 있다.
승만부인경(勝鬘夫人經) 1권옛 『승만경(勝鬘經)』과 동본이다.
제48회에 있다.
광박선인문경(廣博仙人問經) 1권옛 『비야사문경(毗耶娑問經)』과 동본이다.
제49회에 있다.
이상 『삼률의경(三律儀經)』 이하 합 26부 44권은 대당(大唐) 선천(先天) 2년(713)에 남인도(南印度) 삼장 사문 보리류지(菩提流志)당나라 말로는 각애(覺愛)라 한다.가 서숭복사(西崇福寺)에서 번역하였는데, 모두 이는 『보적경(寶積經)』의 회(會)이며, 대부(大部)에 편입되어 있다. 역시 베껴서 별부(別部)로 유행하게 되었는데, 근원(根源)을 알지 못할까봐 일부러 자세히 조목을 나누어 보였다.만약 신역과 구역을 서로 합하면 120권이 되며, 각각 따로 나누면 125권이 된다.

5) 보궐습유록(補闕拾遺錄) 306부 1,111권
「보습록(補拾錄)」이라는 것은 옛 기록에는 제목조차 없고 새로 번역된 경이 아직 기재되지 못한 류(類)이다. 이제는 모두 상세히 고찰하여 갖추어 싣는다. 바라는 바는 법륜(法輪)에 이지러짐이 없고, 지혜의 빛은 더욱 빛나서 영원히 어두운 길을 비춰 주고, 항상 메마른 중생을 적셔 주어 기름지고 윤택하게 하는 것이다.

(1) 대승경 구역(舊譯)
문수사리문보살서경(文殊師利問菩薩署經) 1권
후한(後漢) 시대, 삼장 지루가참(支婁迦讖)의 번역이다.
자서삼매경(自誓三昧經) 1권
후한 시대, 삼장 안세고(安世高)의 번역이다.
온실세욕중승경(溫室洗浴衆僧經) 1권
후한 시대, 삼장 안세고의 번역이다.
불인삼매경(佛印三昧經) 1권
후한 시대, 삼장 안세고의 번역이다.
보살내습육바라밀경(菩薩內習六波羅蜜經) 1권
후한 시대, 사문 엄불조(嚴佛調)의 번역이다.
노여인경(老女人經) 1권
오(吳)나라 때, 우바새 지겸(支謙)의 번역이다.
지구신주경(持句神呪經) 1권
오나라 때, 우바새 지겸의 번역이다.
패경(孛經) 1권
오나라 때, 우바새 지겸의 번역이다.
보살십주행도품(菩薩十住行道品) 1권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
태자목백경(太子沐魄經) 1권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우전왕경(優塡王經) 1권
서진 시대, 사문 석법거(釋法炬)의 번역이다.
관세불형상경(灌洗佛形像經) 1권
서진 시대, 사문 석법거의 번역이다.
문수사리반열반경(文殊師利般涅槃經) 1권
서진 시대, 거사 섭도진(聶道眞)의 번역이다.
이출보살본기경(異出菩薩本起經) 1권
서진 시대, 거사 섭도진의 번역이다.
채련위왕상불수결호묘화경(採蓮違王上佛授決號妙華經) 1권
동진(東晋) 시대, 사문 축담무란(竺曇無蘭)의 번역이다.
타린니발경(陀隣尼鉢經) 1권
동진 시대, 사문 축담무란의 번역이다.
마니라단경(摩尼羅亶經) 1권
동진 시대, 사문 축담무란의 번역이다.
현사발타소설신주경(玄師跋陀所說神呪經) 1권
동진 시대, 사문 축담무란의 번역이다.
마하반야바라밀대명주경(摩訶般若波羅蜜大明呪經) 1권
요진(姚秦) 시대, 삼장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이다.
수마제보살경(須摩提菩薩經) 1권
요진 시대, 삼장 구마라집의 번역이다.
신일아본경(申日兒本經) 1권
송(宋)나라 때, 삼장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의 번역이다.
아난타목거니가리타경(阿難陀目佉尼呵離陀經) 1권
송나라 때, 삼장 구나발타라의 번역이다.
미륵보살소문경(彌勒菩薩所問經) 1권지금은 『보적경(寶積經)』에 편입되어 있다.
원위(元魏) 시대, 삼장 보리류지(菩提留支)의 번역이다.
문수사리소설반야바라밀경(文殊師利所說般若波羅蜜經) 1권
양(梁)나라 때, 삼장 승가바라(僧伽婆羅)의 번역이다.
대승십법경(大乘十法經) 1권
양나라 때, 삼장 승가바라의 번역이다.
종종잡주경(種種雜呪經) 1권
주(周)나라 삼장 사나굴다(闍那崛多)의 번역이다.
대집비유왕경(大集譬喩王經) 2권
수(隋)나라 때, 삼장 사나굴다의 번역이다.
입법계체성경(入法界體性經) 1권
수나라 때, 삼장 사나굴다의 번역이다.
이구혜보살소문예불법경(離垢慧菩薩所問禮佛法經) 1권
대당(大唐) 삼장 나제(那提)의 번역이다.
대승변조광명장무자법문경(大乘遍照光明藏無字法門經) 1권
대당 삼장 지바하라(地婆訶羅)의 번역이다.
대승백복장엄상경(大乘百福莊嚴相經) 1권
대당 삼장 지바하라의 번역이다.
보살수행사법경(菩薩修行四法經) 1권
대당 삼장 지바하라의 번역이다.
불정최승다라니경(佛頂最勝陀羅尼經) 1권
대당 삼장 지바하라의 번역이다.
최승불정다라니정제업장경(最勝佛頂陀羅尼淨除業章經) 1권
대당 삼장 지바하라의 번역이다.
조탑공덕경(造塔功德經) 1권
대당 삼장 지바하라의 번역이다.
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千手千眼觀世音菩薩廣大圓滿無㝵大悲心陀羅尼經) 1권
천축(天竺) 사문 가범달마(伽梵達摩)의 번역이다.
천수천비관세음보살다라니신주경(千手千臂觀世音菩薩陀羅尼神呪經) 2권혹은 1권이다.
대당 사문 석지통(釋智通)의 번역이다.
천전다라니관세음보살주경(千囀陀羅尼觀世音菩薩呪經) 1권
대당 사문 석지통의 번역이다.
관자재보살수심주경(觀自在菩薩隨心呪經) 1권
대당 사문 석지통의 번역이다.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1권
대당 시대, 계빈(罽賓) 사문 불타다라(佛陀多羅)의 번역이다.
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不空羂索陀羅尼自在王呪經) 3권
대당 삼장 보사유(寶思惟)가 장수(長壽) 2년(693)에 번역하였다.
살담분타리경(薩曇分陀利經) 1권
실역(失譯)이다.
부사의공덕제불소호념경(不思議功德諸佛所護念經) 2권
실역이다.
보살본행경(菩薩本行經) 3권
실역이다.
대금색공작왕주경(大金色孔雀王呪經) 1권
실역이다.
불설대금색공작왕주경(佛說大金色孔雀王呪經) 1권
실역이다.
천왕태자벽라경(天王太子辟羅經) 1권
실역이다.
금강삼매경(金剛三昧經) 2권
실역이다.
마리지천경(摩利支天經) 1권
실역이다.
육자신주왕경(六字神呪王經) 1권
실역이다.
허공장보살문불경(虛空藏菩薩問佛經) 1권혹은 『문칠불다라니경(問七佛陀羅尼經)』이라고도 한다.
실역이다.
삼겁삼천불명경(三劫三千佛名經) 3권
실역이다.
모리만다라주경(牟梨曼羅呪經) 1권
실역이다.
아미타고음성왕다라니경(阿彌陀鼓音聲王陀羅尼經) 1권
실역이다.
아타바구귀신대장상불다라니경(阿吒婆拘鬼神大將上佛陀羅尼經) 1권
실역이다.
대보현다라니경(大普賢陀羅尼經) 1권
실역이다.
대칠보다라니경(大七寶陀羅尼經) 1권
실역이다.
육자대다라니경(六字大陀羅尼經) 1권
실역이다.
장자녀암제차사자후요의경(長者女菴提遮師子吼了義經) 1권
실역이다.
이상 대승경 59부는 「습유록(拾遺錄)」에 편입시킨다.

(2) 대승율(大乘律) 구역
보살계본(菩薩戒本) 1권
북량(北涼) 시대, 삼장 담무참(曇無讖)의 번역이다.
수십선계경(受十善戒經) 1권
실역(失譯)이다.
이상 대승률 2부는 「습유록(拾遺錄)」에 편입시킨다.

(3) 대승론(大乘論) 구역
법화경론(法華經論) 2권혹은 1권이다.
원위(元魏) 시대, 삼장 보리류지(菩提留支)의 번역이다.
유교경론(遺敎經論) 1권
진(陳)나라 때, 삼장 진제(眞諦)의 번역이다.
유식삼십론(唯識三十論) 1권
대당(大唐) 삼장 현장(玄奘)의 번역이다.
이상 대승론 3부는 「습유록(拾遺錄)」에 편입시킨다.

(4) 소승경 구역
바라문자명종애념불리경(婆羅門子命終愛念不離經) 1권
후한(後漢) 시대, 삼장 안세고(安世高)의 번역이다.
바라문피사경(婆羅門避死經) 1권
후한 시대, 삼장 안세고의 번역이다.
매의경(罵意經) 1권
후한 시대, 삼장 안세고의 번역이다.
분별선악소기경(分別善惡所起經) 1권
후한 시대, 삼장 안세고의 번역이다.
부모은난보경(父母恩難報經) 1권
후한 시대, 삼장 안세고의 번역이다.
폐마시목련경(弊魔試目連經) 1권
오(吳)나라 우바새(優婆塞) 지겸(支謙)의 번역이다.
재경(齋經) 1권
오나라 때, 우바새 지겸의 번역이다.
수마제녀경(須摩提女經) 1권
오나라 때, 우바새 지겸의 번역이다.
흑씨범지경(黑氏梵志經) 1권
오나라 때, 우바새 지겸의 번역이다.
제구경(猘狗經) 1권
오나라 때, 우바새 지겸의 번역이다.
이수경(離睡經) 1권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
수세경(受歲經) 1권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낙상경(樂想經) 1권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존상경(尊上經) 1권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의경(意經) 1권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응법경(應法經) 1권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앙굴마경(鴦崛摩經) 1권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분별경(分別經) 1권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신관경(身觀經) 1권
서진 시대, 삼장 축법호의 번역이다.
고음인사경(苦陰因事經) 1권
서진 시대, 사문 석법거(釋法炬)의 번역이다.
첨파비구경(瞻波比丘經) 1권
서진 시대, 사문 석법거의 번역이다.
복음경(伏婬經) 1권
서진 시대, 사문 석법거의 번역이다.
수경(數經) 1권
서진 시대, 사문 석법거의 번역이다.
상응상가경(相應相可經) 1권
서진 시대, 사문 석법거의 번역이다.
만법경(慢法經) 1권
서진 시대, 사문 석법거의 번역이다.
법해경(法海經) 1권
서진 시대, 사문 석법거의 번역이다.
아사세왕문오역경(阿闍世王問五逆經) 1권
서진 시대, 사문 석법거의 번역이다.
선생자경(善生子經) 1권
서진 시대, 사문 지법도(支法度)의 번역이다.
철성니리경(鐵城泥犁經) 1권
동진(東晋) 시대, 사문 축담무란(竺曇無蘭)의 번역이다.
아뇩풍경(阿耨風經) 1권
동진 시대, 사문 축담무란의 번역이다.
범지알라연문종존경(梵志頞羅延問種尊經) 1권
동진 시대, 사문 축담무란의 번역이다.
사니리경(四泥犁經) 1권
동진 시대, 사문 축담무란의 번역이다.
수말소표경(水沫所漂經) 1권
동진 시대, 사문 축담무란의 번역이다.
중심경(中心經) 1권
동진 시대, 사문 축담무란의 번역이다.
해팔덕경(海八德經) 1권
요진 시대, 삼장 구마라집의 번역이다.
문타갈왕경(文陀竭王經) 1권
북량(北涼) 시대, 삼장 담무참(曇無讖)의 번역이다.
비마숙경(鞞摩肅經) 1권
송(宋)나라 때, 삼장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의 번역이다.
사인출현세간경(四人出現世間經) 1권
송나라 때, 삼장 구나발타라의 번역이다.
십일상사념여래경(十一想思念如來經) 1권
송나라 때, 삼장 구나발타라의 번역이다.
진학경(進學經) 1권
송나라 때, 거사(居士) 저거경성(沮渠京聲)의 번역이다.
팔관재경(八關齋經) 1권
송나라 때, 거사 저거경성의 번역이다.
제자사부생경(弟子死復生經) 1권
송나라 때, 거사 저거경성의 번역이다.
불모반니원경(佛母般泥洹經) 1권
송나라 때, 사문 석혜간(釋慧蕑)의 번역이다.
기세인본경(起世因本經) 10권
수(隋)나라 때, 삼장 달마급다(達摩笈多)의 번역이다.
고음경(苦陰經) 1권
실역(失譯)이다.
아구류경(阿鳩留經) 1권
실역이다.
도조경(兜調經) 1권
실역이다.
사위국왕몽견십사경(舍衛國王夢見十事經) 1권
실역이다.
옥야녀경(玉耶女經) 1권
실역이다.
효자경(孝子經) 1권
실역이다.
귀자모경(鬼子母經) 1권
실역이다.
범마난국왕경(梵摩難國王經) 1권
실역이다.
범지계수정경(梵志計水淨經) 1권
실역(失譯)이다.
삼귀오계자심염리공덕경(三歸五戒慈心厭離功德經) 1권
실역이다.
전유경(箭喩經) 1권
실역이다.
만원자경(滿願子經) 1권
실역이다.
출가공덕경(出家功德經) 1권
실역이다.
불위황죽원노바라문설학경(佛爲黃竹園老婆羅門說學經) 1권
실역이다.
사견경(邪見經) 1권
실역이다.
이상 소승경 59부는 「습유록(拾遺錄)」에 편입시킨다.

(5) 소승율 구역
오분비구니계본(五分比丘尼戒本) 1권
양(梁)나라 때, 사문 석명휘(釋明徽)가 수집하여 번역하였다.
사분잡갈마(四分雜羯磨) 1권결계장(結戒場)을 첫머리로 삼았다.
동위(東魏) 시대, 삼장 강승개(康僧鎧)의 번역이다.
범계보응경중경(犯戒報應輕重經) 1권
후한(後漢) 시대, 삼장 안세고(安世高)의 번역이다.
사미니계경(沙彌尼戒經) 1권
실역이다.
오백문사경(五百問事經) 1권
실역이다.
이상 소승률 5부는 「습유록(拾遺錄)」에 편입시킨다. 소승론(小乘論)에는 「습유록(拾遺錄)」에 편입된 것이 없다.

(6) 현성집전(賢聖集傳) 구역
도지경(道地經) 1권
후한(後漢) 시대, 삼장 안세고(安世高)의 번역이다.
가섭결경(迦葉結經) 1권
후한 시대, 삼장 안세고의 번역이다.
아비담오법행경(阿毗曇五法行經) 1권
후한 시대, 삼장 안세고의 번역이다.
소도지경(小道地經) 1권
후한 시대, 삼장 지요(支曜)의 번역이다.
잡비유경(雜譬喩經) 1권
후한 시대, 삼장 지루가참(支樓迦讖)의 번역이다.
구잡비유경(舊雜譬喩經) 2권
오(吳)나라 때, 삼장 강승회(康僧會)의 번역이다.
불의경(佛醫經) 1권
오나라 때, 사문 축율염(竺律炎)의 번역이다.
찬집백연경(撰集百緣經) 10권
오나라 때, 우바새 지겸(支謙)의 번역이다.
유일잡난경(惟日雜難經) 1권
오나라 때, 우바새 지겸의 번역이다.
법관경(法觀經) 1권
서진(西晋) 시대, 삼장 축법호(竺法護)의 번역이다.
십이유경(十二遊經) 1권
동진(東晋) 시대, 사문 가류가타(迦留伽陀)의 번역이다.
문수사리발원경(文殊師利發願經) 1권
동진 시대, 삼장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의 번역이다.
오문선경요용법(五門禪經要用法) 1권
송(宋)나라 때, 삼장 담마밀다(曇摩蜜多)의 번역이다.
권발제왕요게(勸發諸王要偈) 1권
송나라 때, 삼장 승가발마(僧伽跋摩)의 번역이다.
분별업보략(分別業報略) 1권혹은 집(集)자를 더 붙이기도 한다.
송나라 때, 삼장 승가발마의 번역이다.
아육왕경(阿育王經) 10권
양(梁)나라 때, 삼장 승가바라(僧伽婆羅)의 번역이다.
아육왕식괴목인연경(阿育王息壞目因緣經) 1권
부진(符秦) 시대, 삼장 담마난제(曇摩難提)의 번역이다.
사아함모초해(四阿含暮抄解) 2권
부진 시대, 삼장 구마라불제(鳩摩羅佛提)의 번역이다.
사유략요법(思惟略要法) 1권
요진(姚秦) 시대, 삼장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이다.
잡비유경(雜譬喩經) 1권
요진 시대, 삼장 구마라집의 번역이다.
마명보살전(馬鳴菩薩傳) 1권
요진 시대, 삼장 구마라집의 번역이다.
용수보살전(龍樹菩薩傳) 1권
요진 시대, 삼장 구마라집의 번역이다.
제바보살전(提婆菩薩傳) 1권
요진 시대, 삼장 구마라집의 번역이다.
바수반두법사전(婆藪槃豆法師傳) 1권
양(梁)나라 때, 삼장 진제(眞諦)의 번역이다.
찬관세음보살송(讚觀世音菩薩頌) 1권
대당(大唐) 사문 석혜지(釋慧智)의 번역이다.
선요가욕경(禪要呵欲經) 1권
실역(失譯)이다.
내신관장구경(內身觀章句經) 1권
실역이다.
잡비유경(雜譬喩經) 2권
실역이다.
육보살명(六菩薩名) 1권
실역이다.
불치신경(佛治身經) 1권
실역이다.
치의경(治意經) 1권
실역이다.
아육왕비유경(阿育王譬喩經) 1권
실역이다.
찬집삼장급잡장전(撰集三藏及雜藏傳) 1권
실역이다.
무명나찰집(無明羅刹集) 1권
실역(失譯)이다.
삼혜경(三慧經) 1권
실역이다.
가정비구설당래변경(迦丁比丘說當來變經) 1권
실역이다.
이상 현성(賢聖) 집(集)ㆍ전(傳) 36부는 「습유록(拾遺錄)」에 편입시킨다.
이상 『문수사리문보살서경[文殊問署經]』이하 164부 도합 205권은 모두 구역(舊譯)의 경(經)ㆍ율(律)ㆍ논(論) 등이다. 『대주록(大周錄)』의 「광록(廣錄)」에는 제목이 있으나, 입장(入藏)에는 모두 없다. 또 「궐본록(闕本錄)」에는 기재되어 있는 것도 있고, 기재되지 않은 것도 있다. 혹은 『대주록』에는 빠져 있지만, 여러 다른 목록에 있는 것은 이제 모두 빠진 것을 보충하여 「입장록(入藏錄)」에 편입시킨다.

(7) 신역(新譯) 대승경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花嚴經) 80권
대당 삼장 실차난타(實叉難陀)의 번역이다.
문수사리수기경(文殊師利授記經) 3권지금은 『보적경(寶積經)』에 편입되어 있다.
대당 삼장 실차난타의 번역이다.
대방광입여래지덕부사의경(大方廣入如來智德不思議經) 1권
대당 삼장 실차난타의 번역이다.
대방광여래부사의경계경(大方廣如來不思議境界經) 1권
대당 삼장 실차난타의 번역이다.
대방광보현보살소설경(大方廣普賢菩薩所說經) 1권
대당 삼장 실차난타의 번역이다.
대승입능가경(大乘入楞伽經) 7권
대당 삼장 실차난타의 번역이다.
관세음보살비밀장신주경(觀世音菩薩秘密藏神呪經) 1권
대당 삼장 실차난타의 번역이다.
묘비인당다라니경(妙譬印幢陀羅尼經) 1권
대당 삼장 실차난타의 번역이다.
백천인다라니경(百千印陀羅尼經) 1권
대당 삼장 실차난타의 번역이다.
구면연아귀다라니신주경(救面燃餓鬼陀羅尼神呪經) 1권
대당 삼장 실차난타의 번역이다.
우요불탑공덕경(右繞佛塔功德經) 1권
대당 삼장 실차난타의 번역이다.
대승사법경(大乘四法經) 1권
대당 삼장 실차난타의 번역이다.
불공견삭다라니경(不空羂索陀羅尼經) 1권
대당 바라문(婆羅門) 이무첨(李無諂)의 번역이다.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1권
대당 삼장 미타산(彌陀山) 등의 번역이다.
문수사리근본일자다라니경(文殊師利根本一字陀羅尼經) 1권
대당 삼장 보사유(寶思惟)의 번역이다.
육자신주경(六字神呪經) 1권
대당 삼장 보리류지(菩提流志)의 번역이다.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 10권
대당 삼장 의정(義淨)의 번역이다.
능단금강반야바라밀경(能斷金剛般若波羅蜜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입정부정인경(入定不定印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미륵하생성불경(彌勒下生成佛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만수실리일자주왕경(曼殊室利一字呪王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장엄왕다라니경(莊嚴王陀羅尼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선야경(善夜經) 1권
대당 삼장 의정(義淨)의 번역이다.
대승유전제유경(大乘流轉諸有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묘색왕인연경(妙色王因緣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이상 모두 천후대(天后代)의 번역이다.
욕상공덕경(浴像功德經) 1권
대당 삼장 보사유(寶思惟)의 번역이다.
교량수주공덕경(挍量數珠功德經) 1권
대당 삼장 보사유의 번역이다.
관세음보살여의마니다라니경(觀世音菩薩如意摩尼陀羅尼經) 1권
대당 삼장 보사유의 번역이다.
대다라니말법중일자심주경(大陀羅尼末法中一字心呪經) 1권
대당 삼장 보사유의 번역이다.
약사유리광칠불본원공덕경(藥師琉璃光七佛本願功德經) 2권
대당 삼장 의정(義淨)의 번역이다.
불위승광천자설왕법경(佛爲勝光天子說王法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욕상공덕경(浴像功德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수주공덕경(數珠功德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관자재보살여의심다라니주경(觀自在菩薩如意心陀羅尼呪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칭찬여래공덕신주경(稱讚如來功德神呪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대공작주왕경(大孔雀呪王經) 3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불정존승다라니경(佛頂尊勝陀羅尼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향왕보살다라니주경(香王菩薩陀羅尼呪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일체공덕장엄왕경(一切功德莊嚴王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발제죄장주왕경(拔除羅障呪王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불위해룡왕설법인경(佛爲海龍王說法印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대보적경(大寶積經) 120권
대당 삼장 보리류지(菩提流志) 등의 번역이다.
불공견삭신변진언경(不空羂索神變眞言經) 30권
대당 삼장 보리류지의 번역이다.
천수천안관세음보살모다라니신경(千手千眼觀世音菩薩姥陀羅尼身經) 1권
대당 삼장 보리류지의 번역이다.
여의륜다라니경(如意輪陀羅尼經) 1권
대당 삼장 보리류지의 번역이다.
광대보루각선주비밀다라니경(廣大寶樓閣善住秘密陀羅尼經) 3권
대당 삼장 보리류지의 번역이다.
일자불정륜왕경(一字佛頂輪王經) 5권
대당 삼장 보리류지의 번역이다.
문수사리보장다라니경(文殊師利寶藏陀羅尼經) 1권
대당 삼장 보리류지의 번역이다.
금강광염다라니경(金剛光焰陀羅尼經) 1권
대당 삼장 보리류지의 번역이다.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大毗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 7권
대당 삼장 수파가라의 번역이다.
소바호동자경(蘇婆呼童子經) 3권
대당 삼장 수파가라의 번역이다.
소실지갈라경(蘇悉地羯羅經) 3권
대당 삼장 수파가라의 번역이다.
허공장보살능만제원최승심다라니구문지법(虛空藏菩薩能滿諸願最勝心陀羅尼求聞持法) 1권
대당 삼장 수파가라의 번역이다.
칠구지불모준니대명다라니경(七俱胝佛母准泥大明陀羅尼經) 1권
대당 삼장 금강지(金剛智)의 번역이다.
금강정유가중략출염송법(金剛頂瑜伽中略出念誦法) 4권
대당 삼장 금강지의 번역이다.
금강정경만수실리보살오자심다라니품(金剛頂經曼殊室利菩薩五字心陀羅尼品) 1권
대당 삼장 금강지의 번역이다.
관자재여의륜보살유가법요(觀自在如意輪菩薩瑜伽法要) 1권
대당 삼장 금강지의 번역이다.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10권
대당 사문 회적(懷迪)이 광주(廣州)에서 번역하였다.
설묘법결정업장경(說妙法決定業障經) 1권
대당 사문 석지엄(釋智嚴)의 번역이다.
출생무변문다라니경(出生無邊門陀羅尼經) 1권
대당 사문 석지엄의 번역이다.
사자소타사왕단육경(師子素馱娑王斷肉經) 1권
대당 사문 석지엄(釋智嚴)의 번역이다.
이상 대승경(大乘經) 61부는 신역(新譯)이며, 「보궐록(補闕錄)」에 편입시킨다.

(8) 신역 대승율
십선업도경(十善業道經) 1권
대당 삼장 실차난타(實叉難陀)의 번역이다.
이상 대승률 1부는 신역(新譯)이며, 「보궐록」에 편입시킨다.

(9) 신역 대승론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2권
대당 삼장 실차난타의 번역이다.
장중론(掌中論) 1권
대당 삼장 의정(義淨)의 번역이다.
취인가설론(取因假設論)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육문교수습정론(六門敎授習定論)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십선업도경(十善業道經)』 이하는 천후대(天后代)의 번역이다.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론송(能斷金剛般若波羅蜜多經論頌)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론석(能斷金剛般若波羅蜜多經論釋) 3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인명정리문론(因明正理門論)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성유식보생론(成唯識寶生論) 5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관소연론석(觀所緣論釋)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관총상론송(觀總相論頌)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지관문논송(止觀門論頌) 1권
대당 삼장 의정(義淨)의 번역이다.
수장론(手杖論)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이상 대승론(大乘論) 12부는 신역(新譯)이며, 「보궐록」에 편입시킨다.

(10) 신역의 소승경
무상경(無常經) 1권
대당 삼장 의정(義淨)의 번역이다.
팔무가유가경(八無暇有暇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장조범지청문경(長爪梵志請問經) 1권
대당의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무상경(無常經)』 등의 3경은 천후대(天后代)의 번역이다.
오온개공경(五蘊皆空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삼전법륜경(三轉法輪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비유경(譬喩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요치병경(療痔病經) 1권또한 치루(痔瘻)라고도 한다.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약교계경(略敎誡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이상 소승경(小乘經) 8부는 신역(新譯)이며, 「보궐록(補闕錄)」에 편입시킨다.

(11) 신역 소승율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根本說一切有部毗柰耶) 50권
대당 삼장 의정(義淨)의 번역이다.천후대의 번역이다.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根本說一切有部苾蒭尼毗柰耶) 20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根本說一切有部毗柰耶雜事) 40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근본설일체유부니타나목득가(根本說一切有部尼陀那目得迦) 10권혹은 8권이다.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천후대의 번역이다.
근본설일체유부계경(根本說一切有部戒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계경(根本說一切有部苾蒭尼戒經)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근본설일체유부백일갈마(根本說一切有部百一羯磨) 10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천후대의 번역이다.
근본살바다부율섭(根本薩婆多部律攝) 20권혹은 14권이다.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천후대의 번역이다.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송(根本說一切有部毗柰耶頌) 5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섭송(根本說一切有部毗柰耶雜事攝頌)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니타나목득가섭송(根本說一切有部毗柰耶尼陀那目得迦攝頌)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이상 소승률(小乘律) 11부는 신역(新譯)이며, 「보궐록(補闕錄)」에 편입시킨다.

(12) 신역 현성집전
일백오십찬불송(一百五十讚佛頌)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용수보살권계왕송(龍樹菩薩勸誡王頌) 1권
대당 삼장 의정의 번역이다.
대승수행보살행문제경요집(大乘修行菩薩行門諸經要集) 3권
대당 사문 석지엄(釋智嚴)의 번역이다.
이상 현성집ㆍ전 3부는 신역(新譯)이며, 「보궐록(補闕錄)」에 편입되어 있다.
위의 『화엄경(花嚴經)』 이하 96부 528권은 모두 『대주간정록(大周刊定錄)』 이후의 신역(新譯)이다. 그 때문에 전의 목록[前錄]에는 기재되지 못했으나, 이제는 모두 빠진 것을 채워 「입장록(入藏錄)」에 편입시킨다.소승론(小乘論)의 목록 뒤에는 신역(新譯)은 없다.

(13) 소승율계갈마(小乘律戒羯磨)
사분비구계본(四分比丘戒本) 1권
대당 사문 회소(懷素)가 율(律)에 의거하여 편집하였다.
사분비구니계본(四分比丘尼戒本) 1권
대당 사문 회소가 율에 의거하여 편집하였다.
사분승갈마(四分僧羯磨) 3권
대당 사문 회소가 율에 의거하여 찬술하였다.
사분니갈마(四分尼羯磨) 3권
대당 사문 회소가 율에 의거하여 찬술하였다.
사분율산보수기갈마(四分律刪補隨機羯磨) 1권
대당 사문 석도선(釋道宣)이 찬술하였다.
오분갈마(五分羯磨) 1권또한 『미사색갈마(彌沙塞羯磨)』라고도 한다.
대당 사문 석애동(釋愛同)이 찬술하였다.
이상 『사분비구계본』 이하는 모두 소승의 계율이며, 도합 6부 10권이다. 모두 찬술(撰述)에 근거가 있고, 그 시대에 성행(盛行)하였다. 그러므로 먼저 누락된 것을 보충하며, 현록(見錄)에 편입시킨다.

(14) 차방소찬집전(此方所撰集傳)
석가보(釋迦譜) 10권
소제(簫齊) 시대, 사문 석승우(釋僧祐)가 찬술하였다.
석가씨약보(釋迦氏略譜) 1권혹은 약(略)자가 없다.
대당 사문 석도선(釋道宣)이 찬술하였다.
석가방지(釋迦方志) 2권
대당 사문 석도선이 찬술하였다.
경률이상(經律異相) 50권
양(梁)나라 때, 칙명[勅]으로 사문 보창(寶唱) 등이 찬술하였다.
다라니잡집(陀羅尼雜集) 10권
찬술한 이가 확실하지 않으며, 『구록(舊錄)』에 역시 기재되어 있다.
제경요집(諸經要集) 20권
대당 사문 석현운(釋玄惲)이 찬술하였다.
출삼장기집(出三藏記集) 15권
양(梁)나라 때, 사문 석승우(釋僧祐)가 찬술하였다.
중경목록(衆經目錄) 7권
수(隋)나라 때, 칙명으로 사문 법경(法經) 등이 찬술하였다.
개황삼보록(開皇三寶錄)15권내의 제목에는內題云 『역대삼보기(歷代三寶紀)』라 하였다.
수나라 번경학사(翻經學士) 비장방(費長房)이 찬술하였다.
중경목록(衆經目錄) 5권
수나라 때, 칙명으로 번경사문(翻經沙門)과 학사(學士) 등이 찬술하였다.
대당내전록(大唐內典錄) 10권
대당 사문 석도선(釋道宣)이 찬술하였다.
속대당내전록(續大唐內典錄) 1권
대당 사문 석지승(釋智昇)이 찬술하였다.
고금역경도기(古今譯經圖紀) 4권
대당 사문 석정매(釋靖邁)가 찬술하였다.
속고금역경도기(續古今譯經圖紀) 1권
대당 사문 석지승이 찬술하였다.
대주간정중경목록(大周刊定衆經目錄) 15권
대당 천후(天后)의 칙명으로, 사문 검(儉)1)등이 찬술하였다.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 20권
대당 사문 석지승(釋智昇)이 찬술하였다.
일체경음의(一切經音義) 25권
대당 사문 석현응(釋玄應)이 찬술하였다.
신역화엄음의(新譯花嚴音義) 2권
대당 사문 석혜원(釋慧苑)이 찬술하였다.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 12권
대당 삼장 현장(玄奘)이 찬술하였다.
집고금불도론형(集古今佛道論衡) 4권혹은 3권이다.
대당 사문 석도선(釋道宣)이 찬술하였다.
속집고금불도론형(續集古今佛道論衡) 1권
대당 사문 석지승(釋智昇)이 찬술하였다.
동하삼보감통록(東夏三寶感通錄) 3권
대당 사문 석도선(釋道宣)이 찬술하였다.
집사문불배속의(集沙門不拜俗議) 6권
대당 사문 석언종(釋彦)이 찬술하였다.
대당자은사삼장법사전(大唐慈恩寺三藏法師傳) 10권
대당 사문 석혜립[慧立] 등이 찬술하였다.
대당서역구법고승전(大唐西域求法高僧傳) 2권
대당 삼장 의정(義淨)이 찬술하였다.
법현전(法顯傳) 1권또한 『역유천축기전(歷遊天竺記傳)』이라고도 한다.
동진(東晋) 시대, 사문 법현(法顯)이 스스로 기술하였다.
고승전(高僧傳) 14권1권은 목록(目錄)이다.
양(梁)나라 때, 사문 석혜교(釋慧皎)가 찬술하였다.
속고승전(續高僧傳) 30권
대당 사문 석도선(釋道宣)이 찬술하였다.
변정론(辯正論) 8권
대당 때, 용전사(龍田寺)의 석씨(釋氏)가 찬술하였다.
파사론(破邪論) 2권혹은 1권이다.
대당 때, 용전사의 석씨가 찬술하였다.
견정론(甄正論) 3권
대당 사문 석현의(釋玄奘)가 찬술하였다.
십문변혹론(十門辯惑論) 2권혹은 3권이다.
대당 사문 석복례(釋復禮)가 찬술하였다.
홍명집(弘明集) 14권
양(梁)나라 때, 사문 석승우(釋僧祐)가 찬술하였다.
광홍명집(廣弘明集) 30권
대당 사문 석도선(釋道宣)이 찬술하였다.
집제경예참의(集諸經禮懺儀) 2권
대당 사문 석지승(釋智昇)이 찬술하였다.
대당남해기귀내법전(大唐南海寄歸內法傳) 4권
대당 삼장 의정(義淨)이 찬술하였다.
비구니전(比丘尼傳) 4권
양(梁)나라 때, 사문 석보창(釋寶唱)이 찬술하였다.
별설죄요행법(別說罪要行法) 1권
대당 삼장 의정(義淨)이 찬술하였다.
수용삼수요법(受用三水要法) 1권
대당 삼장 의정이 찬술하였다.
호명방생궤의(護命放生軌儀) 1권
대당 삼장 의정(義淨)이 찬술하였다.
위의 『석가보(釋迦譜)』 이하의 도합 40부 368권은 모두 이 나라에서 편찬된 전기(傳記)이다. 그러나 큰 법[大法]을 도와주었고 빛내면서 드러내었기 때문에, 먼저 누락된 것을 보충하며 「현록(見錄)」에 편입시킨다.
031_1223_b_01L開元釋教錄卷第十七 別錄之七 庚午歲西崇福寺沙門智昇撰別錄中刪略繁重錄第四 一百四十七部四百八卷刪繁錄者謂同本異名或廣中略出以爲繁賸今竝刪除但以年歲久淹共傳訛替徒盈卷帙有費功勞者詳挍異同甄明得失具爲條目可觀焉新括出別生經六十七部 一百八十五卷虛空藏所問經八卷 亦云方等王虛空藏經或直云虛空藏經或五卷右一經是大集經中虛空藏菩薩品別抄流行大周錄云乞伏秦代沙門聖堅譯者謬也彼聖堅譯者闕本虛空藏菩薩問持經得幾福經一卷右一經亦是大集虛空藏品中別文抄出諸錄皆云秦三藏鳩摩羅什譯者謬也一切施王所行檀波羅蜜經一卷右一經出六度集經施度無極中諸錄皆云姚秦三藏鳩摩羅什譯者誤也大方廣如來性起微密藏經二卷右一經卽是舊華嚴經寶王如來性起品別出流行初加證信序及取第二會初緣起置之於首長房等錄竝云西晉失譯者謬也隨願往生經一卷 亦名灌頂隨願往生十方淨土經亦云普廣菩薩經右一經是大灌頂經第十一卷普廣品或有經本第十二長房等錄皆云代優婆塞支謙譯或云西晉三藏竺法護譯者二俱謬也藥師琉璃光經一卷 亦名灌頂拔除過罪生死得度經右一經是大灌頂經第十二或有經本在第十一房等錄皆云宋代鹿野寺沙門慧蕑譯者謬也大般若第二會經七十八卷 時俗題云新譯大品放光般若大般若第四會經一十八卷 時俗題云新譯道行小品般若右二經時俗共傳云是三藏義淨所譯別改題目抄寫流行撿尋淨公經目不曾別此經及勘其文乃與大般若無異恐不知委故述之最勝天王般若經八卷 亦云新譯勝天王般若右一經卽大般若第六會與舊勝天王般若同本異譯曼殊般若經二卷 亦云新譯文殊般若右一經卽大般若第七會曼殊室利分與舊文殊般若同本異譯理趣般若經一卷右一經卽大般若第十會般若理趣分密迹金剛力士經二卷右一經內典錄云失譯者今尋其本乃出五卷迹力士經中從第四卷第四紙五言偈後第五行第五字下生起至第五卷文句全同增壹阿含經一卷 三紙右一經出增壹阿含經二十一卷抄出二經初明四梵福次明四食後明四長房錄云西晉沙門法炬譯者誤也行七行現報經一卷 一紙右一經出增壹阿含經第三十四卷十二因緣經一卷 三紙右一經出增壹阿含經四十六卷周錄編在大乘藏中云與貝多樹下思惟十二因緣經同本異譯者謬也戒相應法經一卷右一經出雜阿含經第三十卷長房錄云東晉西域沙門竺曇無蘭譯者謬也比丘問佛多優婆塞命終經一卷右一經亦出雜阿含經第三十卷長房錄云西晉沙門法炬譯者謬也獨富長者經一卷右一經出雜阿含經第四十六卷長房錄云後漢三藏安世高譯者謬也有衆生三世作惡經一卷右一經出出曜經第八卷房錄云西晉沙門法炬譯謬也出家功德經一卷右一經出賢愚經出家功德品初長房錄云吳代婆塞支謙譯者謬也佛爲年少婆羅門說知善不善經一出雜阿含經第四卷長房錄云後漢三藏安世高譯者謬佛爲那拘羅長者說根熟經一卷 出雜阿含經第五卷長房錄云後漢三藏安世高譯者謬也佛爲外道須深說離欲經一卷 出雜 阿含經第十四卷長房錄云吳代優婆塞支謙譯者謬也阿育王施半阿摩勒果經一卷 出雜阿含經第二十五卷禪思滿足經一卷 出雜阿含經第二十九卷據長房錄前後兩譯者竝謬也右上五經周錄之中編在闕經內今撿得其本竝出雜阿含中旣是別生除之不錄摩竭魚因緣經一卷 出第九卷尊者鄔陁夷引導諸人禮佛僧經一卷 出第十一卷還本國度父王經一卷 出第十七卷末第十八卷初水生太子經一卷 出第十九卷施物法非法經一卷 出第二十四卷教誡羅怙羅經一卷 出第二十五卷五趣生死輪轉經一卷 出第三十四卷善來苾芻因緣經一卷 出第四十二卷七有事無事福業經一卷 出第四十六卷摩竭魚因緣下九經竝出根本說一切有部毘柰耶中火生長者受報經一卷 出第二第三卷尊者善和好聲經一卷 出第四卷五種水羅經一卷 出第五卷勝鬘夫人本緣經一卷 出第七卷勝光王信佛經一卷 出第八卷誅釋種受報經二卷 出第八第九卷大世主苾芻尼入涅槃經一卷 出第十卷佛爲難陁說出家入胎經二卷 編入寶積第十四會出第十一十二卷敬法捨身經一卷 出第十四卷初度二邪見童子得果經一卷 出第十四卷淸淨威儀經一卷或云洗淨威儀 出第十六卷大目連受報經一卷 出第十八卷初誕生現大瑞應經一卷 出第二十卷度迦多演那經一卷 出第二十卷㗨羅鉢龍王業報因緣經一卷 出第二十一卷此㗨羅鉢龍王經與度迦多演那經明同異者但前經初文別賸四紙緣起下文竝同無別何繁重鈔分爲二經安樂夫人因緣經一卷 出第二十一卷增養因緣經三卷 出第二十二二十三二十四卷妙光因緣經一卷 出第二十五卷降伏外道現大神通經一卷 出第二十六卷大藥善巧方便經二卷 出第二十七二十八卷佛從天下贍部洲經一卷 出第二十九卷度瘦瞿答彌經一卷 出第三十卷訶利底母因緣經一卷 出第三十一卷法與尼在家得果經一卷 出第三十二卷樹生婆羅門憍慢經一卷 出第三十四卷末第三十五卷初弟子事師經一卷 出第三十五卷七種不退轉經一卷 出第三十五卷佛爲長者說放逸經一卷 出第三十六卷地動因緣經一卷 出第三十六卷四種黑白法印經一卷 出第三十七卷佛將入涅槃度善賢經二卷 出第三十七卷半後三十八卷半前佛般涅槃行雨大臣告王經一卷 出第三十八卷八大國王分舍利經一卷 出第三十八卷末第三十九卷初此上二經文相錯涉其大臣告王經比於後經前文賸兩紙餘其分舍利經比於前經後文可賸三紙餘竝無異鈔爲二經繁而未當火生長者下三十三經竝出根本說一切有部毘柰耶雜事中從摩竭魚因緣經下四十二經四十九竝是說一切有部律中緣起三藏義淨鈔出流行旣類別生竝刪削於中施物法非法經子事師經比於廣文雖少增減義旣不異於本豈繁別爲部卷諸別生亦竝刪也新括出名異文同經二十部五十二卷菩薩境界奮迅法門經十卷元魏三藏菩提留支譯 出寶唱錄右一經卽薩遮尼乾子經之異名周錄別載復云闕本者誤也新道行經七卷 或十卷西晉三藏竺法護譯 出長房等錄右一經撿諸藏本竝與小品般若文句全同者其本錯也護公所譯新道行經時無其本 承聞東都有護譯本尋之未獲大方等大集經八卷右一經唐內典錄及大周錄二錄俱載今撿其文卽是合部大集經第六帙也之二卷名十方菩薩品是明度五十挍計經後之六卷乃是無盡意經其明度五十挍計經不知何故編入大集以有差殊今存別部之者此旣重載今故刪除阿耨達龍王經二卷右一經與弘道廣顯三昧文句全同但名別異存一本合道神足經三卷右一經與道神足無極變化文同名異哀泣經三卷或二卷六品右一經與方等般泥洹經文同名異其方等泥洹初名爲哀泣乃取此品名以作經題比於方等泥後闕三品文不足矣寶田慧印三昧經一卷右一經與慧印三昧經文句全同名廣略異長房錄云慧印三昧經亦名寶田慧印三昧經周入藏錄二本俱載一單一重誤之甚也鹿子經一卷右一經與鹿母經文同名據其文義合從母立名長房錄云鹿子經吳代婆塞支謙譯者謬也小無量壽經一卷右一經與阿彌陁經文同名異其宋代三藏求那跋陁羅所譯小無量壽經無其本胎藏經一卷 出長房錄右一經與無垢賢女經同名異聞城十二因緣經一卷右一經與貝多樹下思惟十二因緣經文同名異聞城經合有異本尋之未獲大安般經一卷 或二卷內典錄云二卷長房錄云一卷右一經與大安般守意經文句全同名廣略異群錄之中存其二本者誤之甚也申日經一卷右一經與大乘藏中月光童子經文同名異父名申子號月光約此不同經名別長房錄云申日經吳代優婆塞支謙譯者謬也輪轉五道罪福報應經一卷右一經與罪福報應經文句全同名廣略異栴陁越經一卷右一經與栴陁越國王經文句全同名廣略異周入藏中栴陁越經編在單本栴陁越國王經在於重譯二處載者誤之甚也眞僞沙門經一卷 長房錄云一名摩訶比丘經亦名迦葉禁戒經右一經卽迦葉禁戒經之異名文句全同或云宋代鹿野寺沙門慧蕑譯者謬也轉法輪經一卷右一經撿無其本諸經內皆以轉法輪論替之者誤也近於東都尋得正本編入藏訖賓頭盧爲王說法經一卷右一經與賓頭盧突羅闍爲優陁延王說法經文句全同名廣略異阿蘭若習禪法經二卷右一經與坐禪三昧經同名異禪秘要經五卷右一經云是宋代三藏曇摩蜜多譯云與姚秦三藏鳩摩羅什所譯禪秘要法同本異出今撿尋上下極交錯非是本經初之一乃是治禪病秘要法文仍不盡至半而止第二卷已去卽是羅什所譯禪秘要法從第一卷過半生起至第三卷末文亦不盡十餘紙均爲四卷通前成其曇摩蜜多譯者時闕其本新括出重上錄經八部三十卷菩薩地持經十卷 或八卷亦名菩薩戒經又名菩薩地經右一經亦名菩薩地持論今此錄中編之爲律存其名除其論錄周錄中云菩薩地持經闕本者誤也又周錄中此一本經旣有多前後差互凡六處重上錯之甚也 大乘經中一處上大乘律中二處上大乘論中一處上闕本錄中二處上餘經重載其數非一恐繁紙墨故略述之無畏德女經一卷 今編入寶積第一義法勝經一卷彌勒菩薩所問本願經一卷右三經大周入藏錄中單本重譯二處俱載者誤也除單本編重譯中發菩提心經二卷 亦名發菩提心論右一經周入藏錄大乘經中及大乘論二處俱載者今以菩薩所造除其經名存於論錄諫王經一卷 亦名大小諫王經右一經周入藏闕本二錄俱載者誤也法句經二卷 亦云法句集右一經周入藏錄大乘重譯及集傳內二處俱載者尋文竝同不可分二雖曾再譯一本闕無今經中除編於集內攝大乘釋論十二卷右一論隋開皇仁壽中衆經錄及唐內典大周錄等皆存二本云與十五卷攝論同本異出俱是陳朝三藏眞諦所譯者誤也今勘文句首末全同卷雖多少有不可分爲二部但存十五卷本十二成者除之新括出合入大部經 五十二部一百四十一卷金光明經四卷 一十八品北涼三藏曇無讖譯金光明經七卷 二十二品或六卷陳三藏眞諦全譯 四品合成七卷金光明經更廣壽量 大辯陁羅尼經五卷續四卷本周宇文氏三藏耶舍崛多續壽量大辯二品右隋興善寺沙門寶貴取前三本及闍那崛多所銀主囑累二品摠二十四品合成八卷前之三本竝合入中一無增減其八卷成者留之入藏上之三旣重故略密迹金剛力士經七卷 西晉三藏竺法護譯在第三會 或四卷 或五卷或八卷菩薩夢經二卷 西晉三藏竺法護譯在第四會 新改名淨居天子會法界體性無分別經二卷 梁三藏曼陁羅仙譯在第八會十法經一卷元魏三藏佛陁扇多譯 在第九會加名大乘十法會大菩薩藏經二十卷 大唐三藏玄奘譯在第十二會佛爲難陁說出家入胎經二 卷出說一切有部律大唐三藏義淨譯 在第十四會改名入胎藏會文殊師利授記經三卷 大唐三藏實叉難陁譯在第十五會菩薩見實三昧經十六卷 高齊三藏那連提耶舍譯在第十六會 或十四卷或十卷菩薩藏經三卷 一名富樓那問經姚秦鳩摩羅什譯在第十七會 亦名大悲心經改名富樓那會或二卷護國菩薩經二卷 隋三藏闍那崛多譯在第十八會郁伽長者所問經一卷 曹魏三藏康僧鎧譯在第十九會 或二卷迦葉經二卷元魏外國王子月婆首那譯 在第二十三會善臂菩薩所問經二卷 姚秦三藏鳩摩羅什譯在第二十六會 或一卷無畏德女經一卷元魏三藏佛陁扇多譯  在第三十二會無垢施菩薩分別應辯經一卷 西晉淸信士聶道眞譯在第三十三會 或二卷大方等善住意天子問經四卷 隋三藏達摩笈多譯在第三十六會大乘方便經三卷 東晉外國居士竺難提譯在第三十八會移識經二卷 隋三藏闍那崛多譯在第三十九會 改名賢護長者會彌勒菩薩所問經一卷 元魏三藏菩提留支譯在第四十一會 改名彌勒問八法會大寶積經一卷 失譯在第四十三會改名普明菩薩會寶梁經二卷北涼沙門道龔譯 在第四十四會文殊般若波羅蜜經一卷 梁三藏曼陁羅仙譯或二卷在第四十六會 般若部中重出一本此在次不可偏除故存其目寶髻菩薩所問經二卷 亦名菩薩淨行經西晉竺法護譯在第四十七會右密迹力士經下合二十三部共八十一卷竝是大寶積經諸會舊譯三藏菩提流志勘梵本同更不重翻直編會次旣合入大部別者刪之三律儀經三卷與舊大方廣三戒經同本 在第一會無邊莊嚴經四卷 在第二會無量壽如來經二卷與舊大阿彌陁經等同本 在第五會不動如來經二卷與舊阿閦佛國經同本 在第六會被甲莊嚴經五卷 在第七會文殊師利普門經一卷 與舊普門品經同本在第十會出現光明經五卷 在第十一會佛爲阿難說處胎經一卷 與舊胞胎經同本在第十三會無盡伏藏經二卷 在第二十會授幻師跋陁羅記經一卷 與舊幻士仁賢經同本在第二十一會大神變經二卷 在第二十二會優波離問經一卷與舊決定毘尼經同本 在第二十四會發勝志樂經二卷與舊發覺淨心經同本 在第二十五會善順菩薩經一卷 在第二十七會勤授長者經一卷 在第二十八會優陁延王經一卷 與舊優塡王經同本在第二十九會妙慧童女經一卷 與舊須摩提經同本在第三十會恒河上優婆夷經一卷 在第三十一會功德寶花敷菩薩經一卷在第三十四會善德天子經一卷 與舊文殊不思議境界經同本在第三十五會阿闍世王太子經一卷 與舊太子刷護經等同本在第三十七會淨信童女經一卷 在第四十會彌勒菩薩所問經一卷 與舊彌勒所問本願經同本在第四十二會無盡慧菩薩經一卷 在第四十五會勝鬘夫人經一卷 與舊勝鬘經同本在第四十八會廣博仙人問經一卷 與舊毘耶娑問經同本在第四十九會右三律儀經下合二十六共四十四卷大唐先天二年南印度三藏沙門菩提流志唐云覺愛 於西崇福寺竝是寶積諸會編在大部之中亦有鈔寫別部行恐不知根源故具條示若新舊相合共成一百二十卷若各別分之則成一百二十五卷矣別錄中補闕拾遺錄第五 三百六部一千一百一十一卷補拾錄者謂舊錄闕題新翻未載之類今竝詳而具之也所冀法輪無玷慧日增暉永燭幽途恒霑沃潤者矣文殊師利問菩薩署經一卷後漢三藏支婁迦讖譯自誓三昧經一卷後漢三藏安世高譯溫室洗浴衆僧經一卷後漢三藏安世高譯佛印三昧經一卷後漢三藏安世高譯菩薩內習六波羅蜜經一卷後漢沙門嚴佛調譯老女人經一卷 吳優婆塞支謙譯持句神呪經一卷 吳優婆塞支謙譯孛經一卷 吳優婆塞支謙譯菩薩十住行道品一卷西晉三藏竺法護譯太子沐魄經一卷西晉三藏竺法護譯優塡王經一卷 西晉沙門釋法炬譯灌洗佛形像經一卷西晉沙門釋法炬譯文殊師利般涅槃經一卷西晉居士聶道眞譯異出菩薩本起經一卷西晉居士聶道眞譯採蓮違王上佛授決號妙華經一卷東晉沙門竺曇無蘭譯陁鄰尼鉢經一卷東晉沙門竺曇無蘭譯摩尼羅亶經一卷東晉沙門竺曇無蘭譯玄師颰陁所說神呪經一卷東晉沙門竺曇無蘭譯摩訶般若波羅蜜大明呪經一卷姚秦三藏鳩摩羅什譯須摩提菩薩經一卷姚秦三藏鳩摩羅什譯申日兒本經一卷三藏求那跋陁羅譯阿難陁目佉尼呵離陁經一卷三藏求那跋陁羅譯彌勒菩薩所問經一卷 今編入寶積元魏三藏菩提留支譯文殊師利所說般若波羅蜜經一卷三藏僧伽婆羅譯大乘十法經一卷 梁三藏僧伽婆羅譯種種雜呪經一卷 周三藏闍那崛多譯大集譬喩王經二卷三藏闍那崛多譯入法界體性經一卷三藏闍那崛多譯離垢慧菩薩所問禮佛法經一卷大唐三藏那提譯大乘遍照光明藏無字法門經一卷大唐三藏地婆訶羅譯大乘百福莊嚴相經一卷大唐三藏地婆訶羅譯菩薩修行四法經一卷大唐三藏地婆訶羅譯佛頂最勝陁羅尼經一卷大唐三藏地婆訶羅譯最勝佛頂陁羅尼淨除業障經一卷大唐三藏地婆訶羅譯造塔功德經一卷大唐三藏地婆訶羅譯千手千眼觀世音菩薩廣大圓滿無㝵大悲心陁羅尼經一卷天竺沙門伽梵達摩譯千手千臂觀世音菩薩陁羅尼神呪經二卷或一卷 大唐沙門釋智通譯千囀陁羅尼觀世音菩薩呪經一卷大唐沙門釋智通譯觀自在菩薩隨心呪經一卷大唐沙門釋智通譯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一卷大唐罽賓沙門佛陁多羅譯不空羂索陁羅尼自在王呪經三卷大唐三藏寶思惟長壽二年譯薩曇分陁利經一卷 失譯不思議功德諸佛所護念經二卷失譯菩薩本行經三卷 失譯大金色孔雀王呪經一卷 失譯佛說大金色孔雀王呪經一卷 失譯天王太子辟羅經一卷 失譯金剛三昧經二卷 失譯摩利支天經一卷 失譯六字神呪王經一卷 失譯虛空藏菩薩問佛經一卷 或云問七佛陁羅尼經失譯三劫三千佛名經三卷 失譯牟梨曼陁羅呪經一卷 失譯阿彌陁鼓音聲王陁羅尼經一卷失譯阿咤婆拘鬼神大將上佛陁羅尼經一卷 失譯大普賢陁羅尼經一卷 失譯大七寶陁羅尼經一卷 失譯六字大陁羅尼經一卷 失譯長者女菴提遮師子吼了義經一卷失譯 已上大乘經五十九部拾遺編入菩薩戒本一卷 北涼三藏曇無讖譯受十善戒經一卷 失譯已上大乘律二部拾遺編入法華經論二卷 或一卷元魏三藏菩提留支譯遺教經論一卷 陳三藏眞諦譯唯識三十論一卷 大唐三藏玄奘譯已上大乘論三部拾遺編入婆羅門子命終愛念不離經一卷後漢三藏安世高譯婆羅門避死經一卷後漢三藏安世高譯罵意經一卷 後漢三藏安世高譯分別善惡所起經一卷後漢三藏安世高譯父母恩難報經一卷後漢三藏安世高譯弊魔試目連經一卷優婆塞支謙譯齋經一卷 吳優婆塞支謙譯須摩提女經一卷優婆塞支謙譯黑氏梵志經一卷 吳優婆塞支謙譯猘狗經一卷 吳優婆塞支謙譯離睡經一卷 西晉三藏竺法護譯受歲經一卷 西晉三藏竺法護譯樂想經一卷 西晉三藏竺法護譯尊上經一卷 西晉三藏竺法護譯意經一卷 西晉三藏竺法護譯應法經一卷 西晉三藏竺法護譯鴦崛摩經一卷 西晉三藏竺法護譯分別經一卷 西晉三藏竺法護譯身觀經一卷 西晉三藏竺法護譯苦陰因事經一卷西晉沙門釋法炬譯瞻波比丘經一卷西晉沙門釋法炬譯伏婬經一卷 西晉沙門釋法炬譯數經一卷 西晉沙門釋法炬譯相應相可經一卷西晉沙門釋法炬譯慢法經一卷 西晉沙門釋法炬譯法海經一卷 西晉沙門釋法炬譯阿闍世王問五逆經一卷西晉沙門釋法炬譯善生子經一卷 西晉沙門支法度譯鐵城泥犂經一卷東晉沙門竺曇無蘭譯阿耨風經一卷東晉沙門竺曇無蘭譯梵志頞羅延問種尊經一卷東晉沙門竺曇無蘭譯四泥犂經一卷東晉沙門竺曇無蘭譯水沫所漂經一卷東晉沙門竺曇無蘭譯中心經一卷 東晉沙門竺曇無蘭譯海八德經一卷姚秦三藏鳩摩羅什譯文陁竭王經一卷 北涼三藏曇無讖譯鞞摩肅經一卷三藏求那跋陁羅譯四人出現世閒經一卷三藏求那跋陁羅譯十一想思念如來經一卷三藏求那跋陁羅譯進學經一卷 宋居士沮渠京聲譯八關齋經一卷 宋居士沮渠京聲譯弟子死復生經一卷居士沮渠京聲譯佛母般泥洹經一卷沙門釋慧蕑譯起世因本經十卷三藏達摩笈多譯苦陰經一卷 失譯阿鳩留經一卷 失譯兜調經一卷 失譯舍衛國王夢見十事經一卷 失譯玉耶女經一卷 失譯孝子經一卷 失譯鬼子母經一卷 失譯梵摩難國王經一卷 失譯梵志計水淨經一卷 失譯三歸五戒慈心厭離功德經一卷失譯箭喩經一卷 失譯滿願子經一卷 失譯出家功德經一卷 失譯佛爲黃竹園老婆羅門說學經一卷失譯邪見經一卷失譯 已上小乘經五十九部拾遺編入五分比丘尼戒本一卷沙門釋明徽集出四分雜羯磨一卷 以結戒場爲首東魏三藏康僧鎧譯犯戒報應輕重經一卷後漢三藏安世高譯沙彌尼戒經一卷 失譯五百問事經一卷 失譯 已上小乘律五部拾遺編入小乘論旡遺道地經一卷 後漢三藏安世高譯迦葉結經一卷 後漢三藏安世高譯阿毘曇五法行經一卷後漢三藏安世高譯小道地經一卷 後漢三藏支曜譯雜譬喩經一卷後漢三藏支樓迦讖譯舊雜譬喩經二卷三藏康僧會譯佛醫經一卷 吳沙門竺律炎譯撰集百緣經十卷優婆塞支謙譯惟日雜難經一卷優婆塞支謙譯法觀經一卷 西晉三藏竺法護譯十二遊經一卷東晉沙門迦留伽陁譯文殊師利發願經一卷東晉三藏佛陁跋陁羅譯五門禪經要用法一卷三藏曇摩蜜多譯勸發諸王要偈一卷三藏僧伽跋摩譯分別業報略一卷或加集字三藏僧伽跋摩譯阿育王經十卷三藏僧伽婆羅譯阿育王息壞目因緣經一卷符秦三藏曇摩難提譯四阿含暮抄解二卷符秦三藏鳩摩羅佛提譯思惟略要法一卷姚秦三藏鳩摩羅什譯雜譬喩經一卷姚秦三藏鳩摩羅什譯馬鳴菩薩傳一卷姚秦三藏鳩摩羅什譯龍樹菩薩傳一卷姚秦三藏鳩摩羅什譯提婆菩薩傳一卷姚秦三藏鳩摩羅什譯婆藪槃豆法師傳一卷三藏眞諦譯讚觀世音菩薩頌一卷大唐沙門釋慧智譯禪要呵欲經一卷 失譯內身觀章句經一卷 失譯雜譬喩經二卷 失譯六菩薩名一卷 失譯佛治身經一卷 失譯治意經一卷 失譯阿育王譬喩經一卷 失譯撰集三藏及雜藏傳一卷 失譯無明羅剎集一卷 失譯三慧經一卷 失譯迦丁比丘說當來變經一卷 失譯已上賢聖集傳三十六部拾遺編入右文殊問署經下一百六十四部合二百五卷竝是舊論等大周廣錄有入藏之內竝無闕本有載不載或有周錄遺漏諸錄有者今竝拾遺編入藏錄大方廣佛花嚴經八十卷大唐三藏實叉難陁譯文殊師利授記經三卷今編入寶積大唐三藏實叉難陁譯大方廣入如來智德不思議經一卷大唐三藏實叉難陁譯大方廣如來不思議境界經一卷大唐三藏實叉難陁譯大方廣普賢菩薩所說經一卷大唐三藏實叉難陁譯大乘入楞伽經七卷大唐三藏實叉難陁譯觀世音菩薩秘密藏神呪經一卷大唐三藏實叉難陁譯妙臂印幢陁羅尼經一卷大唐三藏實叉難陁譯百千印陁羅尼經一卷大唐三藏實叉難陁譯救面燃餓鬼陁羅尼神呪經一卷大唐三藏實叉難陁譯右繞佛塔功德經一卷大唐三藏實叉難陁譯大乘四法經一卷大唐三藏實叉難陁譯不空羂索陁羅尼經一卷大唐婆羅門李無諂譯無垢淨光大陁羅尼經一卷大唐三藏彌陁山等譯文殊師利根本一字陁羅尼經一卷大唐三藏寶思惟譯六字神呪經一卷大唐三藏菩提流志譯金光明最勝王經十卷大唐三藏義淨譯能斷金剛般若波羅蜜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入定不定印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彌勒下生成佛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曼殊室利一字呪王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莊嚴王陁羅尼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善夜經一卷 大唐三藏義淨譯大乘流轉諸有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妙色王因緣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 已上竝於天后代譯浴像功德經一卷大唐三藏寶思惟譯挍量數珠功德經一卷大唐三藏寶思惟譯觀世音菩薩如意摩尼陁羅尼經一卷 大唐三藏寶思惟譯大陁羅尼末法中一字心呪經一卷大唐三藏寶思惟譯藥師琉璃光七佛本願功德經二卷大唐三藏義淨譯佛爲勝光天子說王法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浴像功德經一卷 大唐三藏義淨譯數珠功德經一卷 大唐三藏義淨譯觀自在菩薩如意心陁羅尼呪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稱讚如來功德神呪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大孔雀呪王經三卷大唐三藏義淨譯佛頂尊勝陁羅尼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香王菩薩陁羅尼呪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一切功德莊嚴王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拔除罪障呪王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佛爲海龍王說法印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大寶積經一百二十卷大唐三藏菩提流志集譯不空羂索神變眞言經三十卷大唐三藏菩提流志譯千手千眼觀世音菩薩姥陁羅尼身經一卷大唐三藏菩提流志譯如意輪陁羅尼經一卷大唐三藏菩提流志譯廣大寶樓閣善住秘密陁羅尼經三卷 大唐三藏菩提流志譯一字佛頂輪王經五卷大唐三藏菩提流志譯文殊師利寶藏陁羅尼經一卷大唐三藏菩提流志譯金剛光焰陁羅尼經一卷大唐三藏菩提流志譯大毘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七卷大唐三藏輸波迦羅譯蘇婆呼童子經三卷大唐三藏輸波迦羅譯蘇悉地羯羅經三卷大唐三藏輸波迦羅譯虛空藏菩薩能滿諸願最勝心陁羅尼求聞持法一卷大唐三藏輸波迦羅譯七俱胝佛母准泥大明陁羅尼經一卷大唐三藏金剛智譯金剛頂瑜伽中略出念誦法四卷大唐三藏金剛智譯金剛頂經曼殊室利菩薩五字心陁羅尼品一卷大唐三藏金剛智譯觀自在如意輪菩薩瑜伽法要一卷大唐三藏金剛智譯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十卷大唐沙門懷迪於廣州譯說妙法決定業障經一卷大唐沙門釋智嚴譯出生無邊門陁羅尼經一卷大唐沙門釋智嚴譯師子素馱娑王斷肉經一卷大唐沙門釋智嚴譯 已上大乘經六十一部新譯補闕編入十善業道經一卷大唐三藏實叉難陁譯 已上大乘律一部新譯補闕編入大乘起信論二卷大唐三藏實叉難陁譯掌中論一卷 大唐三藏義淨譯取因假設論一卷 大唐三藏義淨譯六門教授習定論一卷大唐三藏義淨譯 十善經下天后代譯能斷金剛般若波羅蜜多經論頌一卷大唐三藏義淨譯能斷金剛般若波羅蜜多經論釋三卷大唐三藏義淨譯因明正理門論一卷大唐三藏義淨譯成唯識寶生論五卷大唐三藏義淨譯觀所緣論釋一卷大唐三藏義淨譯觀摠相論頌一卷大唐三藏義淨譯止觀門論頌一卷大唐三藏義淨譯手杖論一卷大唐三藏義淨譯 已上大乘論十二部新譯補闕編入無常經一卷 大唐三藏義淨譯八無暇有暇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長爪梵志請問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 無常等三經天后代譯五蘊皆空經一卷 大唐三藏義淨譯三轉法輪經一卷 大唐三藏義淨譯譬喩經一卷 大唐三藏義淨譯療痔病經一卷 亦云痔瘻大唐三藏義淨譯略教誡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 已上小乘經八部新譯補闕編入根本說一切有部毘柰耶五十卷大唐三藏義淨譯 天后代譯根本說一切有部苾芻尼毘柰耶二十卷 大唐三藏義淨譯根本說一切有部毘柰耶雜事四十卷 大唐三藏義淨譯根本說一切有部尼陁那目得迦十卷或八卷 大唐三藏義淨譯天后代譯根本說一切有部戒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根本說一切有部苾芻尼戒經一卷大唐三藏義淨譯根本說一切有部百一羯磨十卷大唐三藏義淨譯 天后代譯根本薩婆多部律攝二十卷 或十四卷大唐三藏義淨譯 天后代譯根本說一切有部毘柰耶頌五卷大唐三藏義淨譯根本說一切有部毘柰耶雜事攝頌一卷 大唐三藏義淨譯根本說一切有部毘柰耶 尼陁那目得迦攝頌一卷大唐三藏義淨譯 已上小乘律十一部新譯補闕編入一百五十讚佛頌一卷大唐三藏義淨譯龍樹菩薩勸誡王頌一卷大唐三藏義淨譯大乘修行菩薩行門諸經要集三卷大唐沙門釋智嚴譯 已上賢聖集傳三部新譯補闕編入右花嚴經下九十六部合五百二十八卷竝是大周刊定錄後新譯所以前錄未載今竝補闕編入藏錄小乘論錄後無新譯四分比丘戒本一卷大唐沙門懷素依律集四分比丘尼戒本一卷大唐沙門懷素依律集四分僧羯磨三卷大唐沙門懷素依律撰四分尼羯磨三卷大唐沙門懷素依律撰四分律刪補隨機羯磨一卷大唐沙門釋道宣撰五分羯磨一卷 亦云彌沙塞羯磨大唐沙門釋愛同撰右四分戒本下竝小乘律合六部十卷然竝撰述有據時代盛行故補先闕編之見錄釋迦譜十卷簫齊沙門釋僧祐撰釋迦氏略譜一卷 或無略字大唐沙門釋道宣撰釋迦方忘二卷大唐沙門釋道宣撰經律異相五十卷勅沙門寶唱等撰陁羅尼雜集十卷未詳撰者舊錄亦載諸經要集二十卷大唐沙門釋玄惲撰出三藏記集十五卷沙門釋僧祐撰衆經目錄七卷 隋勅沙門法經等撰開皇三寶錄十五卷 內題云歷代三寶紀翻經學士費長房撰衆經目錄五卷勅翻經沙門學士等撰大唐內典錄十卷大唐沙門釋道宣撰續大唐內典錄一卷大唐沙門釋智昇撰古今譯經圖紀四卷大唐沙門釋靖邁撰續古今譯經圖紀一卷大唐沙門釋智昇撰大周刊定衆經目錄十五卷大唐天后勅沙門儉等撰開元釋教錄二十卷大唐沙門釋智昇撰一切經音義二十五卷大唐沙門釋玄應撰新譯花嚴音義二卷大唐沙門釋慧苑撰大唐西域記十二卷大唐三藏玄奘撰集古今佛道論衡四卷或三卷大唐沙門釋道宣撰續集古今佛道論衡一卷大唐沙門釋智昇撰東夏三寶感通錄三卷大唐沙門釋道宣撰集沙門不拜俗議六卷大唐沙門釋彦悰撰大唐慈恩寺三藏法師傳十卷大唐沙門慧立等撰大唐西域求法高僧傳二卷大唐三藏義淨撰法顯傳一卷 亦云歷遊天竺記傳東晉沙門法顯自述高僧傳十四卷 一卷是目錄沙門釋慧皎撰續高僧傳三十卷大唐沙門釋道宣撰辯正論八卷 大唐龍田寺釋氏撰破邪論二卷或一卷 大唐龍田寺釋氏撰甄正論三卷 大唐沙門釋玄嶷撰十門辯惑論二卷 或三卷大唐沙門釋復禮撰弘明集十四卷 梁沙門釋僧祐撰廣弘明集三十卷大唐沙門釋道宣撰集諸經禮懺儀二卷大唐沙門釋智昇撰大唐南海寄歸內法傳四卷大唐三藏義淨撰比丘尼傳四卷 梁沙門釋寶唱撰別說罪要行法一卷大唐三藏義淨撰受用三水要法一卷大唐三藏義淨撰護命放生軌儀一卷大唐三藏義淨撰右釋迦譜下合四十部三百六十八卷竝是此方所撰傳記然於大法裨助光揚故補先闕編之見錄開元釋教錄卷第十七 別錄之七乙巳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다른 장경본(藏經本)에는 ‘명전(明佺)’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