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甄正論卷中 集

ABC_IT_K1078_T_002
033_0118_a_01L견정론 중권


현의 지음
이한정 번역


공자가 말했다.
“천상에는 땅이 없다는데, 정말로 이러하다면 천존의 위신력(威信力)도 거짓이 아니라 하겠습니다. 경문(經文)에 의하면 천존이 사람을 제도하고자 경을 설할 때에 7일 7야1) 동안 여러 천상의 일월과 선(璿)ㆍ기(璣)ㆍ옥형(玉衡)2)이 일시에 윤전을 멈췄고, 신풍(神風)도 고요해지고, 산해(山海)가 구름을 감추었기에 하늘에 떠서 가리는 것이 없어 4기(氣)가 맑았다고 하는데, 이는 위신력에서 그리된 것입니다. 성덕이 영감(靈感)하기 때문에 일월이 경(景)에 머물러 운행을 그쳤고, 바람이 구름과 안개를 거두어 맑게 하였으니, 대성(大聖)이 아니고서야 누가 그럴 수 있겠습니까?”
선생이 말했다.
“하늘이 없다고 했더니, 도리어 하늘이 있다고 알아듣는구나. 땅이 없어도 땅에 서듯이 하고, 일월이 붓끝에 따르고, 풍운이 가리키는 대로 움직인다는 것도, 사실을 따져 논하자면 그런 일은 없다. 선(璿)ㆍ기(璣)가 돌아가며 금혼(金渾)이 4상(象)에 응하는 것은 3백65도(度)의 4분의 1도이니, 열두 번 교차하고 주야(晝夜)로 백각(百刻)인데, 주위를 돌면서 왕복하는 것을 어찌 잠시라도 멈추겠는가? 춘분과 추분의 2분(分)과 동지와 하지의 2지(至)가 연이어 차고 기울기에 대수(大數)에는 모자람이 없다. 일식이나 월식으로 박야(薄夜)하여 시간이 어긋나거나 운행의 차제가 도수(度數)를 잃으면 사책(史策)에 반드시 이를 써서 천사(天事)를 기록하였다. 일도(日度)가 약간만 길더라도 길조라 하여 오히려 사책(史策)에 써서 후대에 알렸는데, 하물며 하늘이 한 번에 7백 각이나 돌지 않았다면 천지가 생긴 이래로 이와 같이 큰 서응(瑞應)이 없었을 것이니, 이는 사적을 별도로 꾸며낸 것이다. 여러 간첩(簡牒)에 비춰 보더라도 전재되어 기록된 것이 없으니, 분명히 이는 거짓이다. 혹 이 같은 선기ㆍ일월ㆍ풍운ㆍ산해 따위를 논하여, 이는 천상의 하늘이지 인간의 하늘이 아니라고도 말하는데, 도리어 천상 세계에는 일월이 없고 자연의 광명으로 멀거나 가깝거나 서로 비추면서 꽃이 피고 지는 것으로 주야로 삼는 것이 이 땅과는 서로 같지 않다. 송문명 등이 단지 이 땅의 일월과 산해를 보고 천상도 이와 같다고 여겨서 일월ㆍ풍운ㆍ산해 따위의 물건이 있다고 하였으나, 여러 하늘 위에는 원래 이 같은 것이 없다는 것이 거룩한 가르침에 상세히 나와 있음을 몰랐으니, 이는 대략이나마 그 거짓됨을 분명하게 드러낸 것이다.”
공자가 말했다.
“하늘 위에 일월 따위가 없다고 선생께서 말씀하시나, 천존이 경을 설하는 이익은 실로 막대합니다. 경전에서는 천존이 사람을 제도하고자 경전을 설하자, 한 번은 한 나라의 남녀로써 귀머거리였던 이들이 모두 들리게 되었다 하며, 두 번째는 장님의 눈이 밝아지고, 세 번째는 벙어리가 말을 하고, 네 번째에 절름발이가 걸었다 하니, 이렇게 열 번을 채우기까지 임신을 못한 부인(婦人)이 잉태를 하고, 새나 짐승이 새끼를 배고, 이미 태어났거나 태어나지 않았거나 모두 무사히 태어나 자라고, 땅 속에서 숨겨져 있던 금과 옥이 그 형체를 드러내고, 백골이 모두 살아나 다시 사람이 되었다 하니, 이를 빌미하여 신공(神功)이 크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선생이 말했다.
“그대도 어떤 사람이 잠자면서 꿈을 꾸다가 꿈속에서 또 꿈을 풀이했다는 얘기를 들었을진대, 과연 지금이 그 꼴이구나. 아무리 말해도 그대가 여전히 고집을 부리니, 어찌 꿈속에서 꿈을 풀이하는 것과 다르겠는가. 내가 그대에게 하늘 위와 하늘 아래의 경계가 뛰어나고 열악한 것이 같지 않다고 말했는데, 어찌 장님ㆍ귀머거리ㆍ벙어리ㆍ절름발이의 병이 있겠는가? 또한 묘지나 해골의 더러움도 없다. 비록 죽고 사는 일이 있다 하나, 모두 변화에서 일어나는지라 출산 없이 태어나고 시체 없이 죽는 것이다. 지금 이 경전에서는 천존이 시청천(始靑天)에서 설법하였다고 하면서, 한 나라의 남녀를 거론하는데, 천상에 어찌 나라가 있으며 또 장님ㆍ귀머거리 따위의 병이 있겠는가? 실로 천상에는 이러한 질병이 없다. 이 경문의 근거가 원래 천상에 의탁한 것이 아니라, 선하고 악한 것을 자신의 생각으로 꾸며서 이 같은 위경을 날조하였으므로, 이는 저자 거리에서나 떠드는 헛소리일 뿐이지 근거 있는 고상한 말이라 할 수 없어서, 그 날조된 경위가 또 한 번 드러나는 것이다.”
공자가 말했다.
“선생께서 거짓 아닌 것이 없다 하시나 도가의 법은 전파되고서 세월이 오래되었기에 가르침의 자취가 한 가지 이치가 아니라 여러 가지 문으로 갈라졌습니다. 삼세의 인과와 육도(六道)의 업연(業緣)과 지옥ㆍ천당의 죄복(罪福)의 보응(報應)은 분명하여 어둡지 않으니, 이 어찌 헛된 말이겠습니까?”
선생이 말했다.
“이 또한 거짓이다. 천존의 일과 영보의 경이 처음부터 끝까지 날조되어 증거할 수 없는데, 본시 도가의 종지란 것이 『노자도덕경(老子道德經)』에 불과하고, 그 다음이 장주(莊周)의 책인데 여기에 더하여 열어구(列禦寇)의 글을 보아도, 끝내 삼세에 대한 말이 없다. 또한 인과라는 글도 없는 데다 육도(六道)의 근본조차 밝히지 않았는데, 어찌 업연의 이치를 기술하였겠는가? 지옥과 천당도 언급하는 대목이 없고, 죄와 복의 보응도 연유를 밝힌 것이 없다. 여타의 잡스러운 경전은 모두가 육수정(陸修靜) 등이 불경을 표절하여 망령되게 안치한 것으로, 비록 명목은 있을지라도 지귀(指歸)가 없는 것이다. 내가 다시 다른 예를 들어 논해 보겠다. 도가에서는 천존이 경을 설한 것이 요순 이전의 상황(上皇)의 시대라는데, 그때에는 풍속이 질박하여 술 마시는 습관조차 없었고, 남을 망령되이 속인다는 마음도 없었으니, 바로 이때가 ‘무위(無爲)의 화(化)’이다. 노자가 경을 설하던 당시에는 이미 주나라가 쇠퇴하는 말엽이었고 제왕의 말세였으니, 위로는 임금이 우매하고 아래로는 신하가 어지럽혔다. 정벌(征伐)이 천자(天子)에 연유하지 않고 예악(禮樂)조차 제후(諸侯)에게서 나왔으며, 대국(大國)은 강한 것을 믿고 소국(小國)을 침범하였으니, 사람의 마음이 간사해지고 풍속이 변하여 경박해졌다.
어떤 이유에서 천존은 순박한 시대에 임해서도 지옥ㆍ천당의 죄와 복의 인과와 삼세육도(三世六道)의 응보와 업연을 설했으며, 노자는 경박한 시대를 당해서도 단지 무위무사(無爲無事)하여 태평스럽게 마음 비워 유유자적하며 욕심없이 기회를 기다리는 이치만 설했으니, 어찌 상쾌하다 하겠는가? 이치로서 미루어 보면 이 또한 거짓이니, 어찌 기만이 아니겠는가?”
공자가 말했다.
“선대의 천존을 선생께서 거짓이라 말씀하셨으니 후대의 정신(靜信)도 어찌 망령되지 않겠습니까? 조금이라도 이를 상세히 밝히셔서 허망함이 없게 하십시오. 도가의 경전에 의거하면, 악정신(樂靜信)은 숙세에 선재(仙才)를 이루어 일찍이 덕의 근본을 심은 데다, 공(功)이 원만해지고 행(行)이 이루어지자 도를 깨우쳐 천존이 되고서, 가르침의 자취를 크게 펴고자 경론을 널리 연설했다는데, 이것이 어찌 거짓이겠습니까?”
선생이 말했다.
“상고(上古)라는 것도 원래 없는데, 어찌 원시(元始)라는 것을 거짓으로라도 이룰 수 있겠는가? 하대(下代)란 것도 똑같이 거짓인데, 어찌 천존이 거짓으로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지 못하는가? 그대가 앞서는 근본에 미혹하더니, 지금은 말단에서 헤매는구나. 근원을 속이면서 유파를 따르는 것이 어찌 가능하겠는가? 이처럼 송문명 등이 원시천존(元始天尊:도교에서 제일 높은 신)을 세운 것도, 본시 근거 없음을 알 수 있으리라. 불경은 석가가 왕위를 버리고 출가 수도하여 불과(佛果)를 증득한 것을 설한 것인데, 이를 빗대어 거짓으로 악정신이 도를 닦아 천존을 증득하였다고 날조한 것이다. 아울러 경전의 가르침에 인과 따위의 일을 함께 논했다고 설하였으나, 해를 따라 그림자를 숨기면서 되풀이하여 배우더라도 마음만 피로해지고, 숨기려 해도 드러나서 거짓된 자취가 날로 뚜렷해진다. 단지 바깥으로 속가의 학문이 없는 것만이 아니기에, 성(姓)을 얻은 이유조차 모르는 데다 안으로도 식지(識智)조차 없어서 교주를 내세운 것이 허위임을 깨닫지도 못한다. 악씨(樂氏)란 성은 악장(樂正) 자춘(子春)에게서 나왔으나, 자춘은 은(殷)나라에서 음악을 담당하던 관리였다. 관직에 기인하여 씨(氏)를 부여받은 후에 악씨란 성을 가졌으므로, 그 햇수가 가깝고 먼 것은 고증해 보면 알 수 있다. 만약 정신(靜信)이 실제로 천존을 성취하였다면, 마땅히 은나라의 말엽에서 주나라 초년에 해당하는데, 『상서(尙書)』와 『주서(周書)』에는 어찌 실리지 않았는가? 『사기(史記)』와 『통기(洞記)』에는 어째서 씌어져 있지 않은가? 또한 정신이 교화한 지역을 살펴보더라도 종당엔 그 장소가 없으니, 동으로는 일굴(日窟)에 이르고, 서쪽으로는 월취(月竁)를 다하고, 북쪽으로는 현주(玄洲)를 가리키고, 남쪽으로는 단포(丹浦)에 이르렀다 하나, 그 경계가 되는 땅을 조사해 보면, 정신이 머무른 곳이 없다. 차라리 향초(香草)가 길게 자랐다고 말하면 혹 놀라서라도 그 설법을 보고 들으려 하겠으나, 부용꽃이 교목(喬木)에 피었다는 격이니 상도에 벗어난 말은 도리어 혐오하는 마음을 품게 하니, 스스로 함정에 빠져 죽는 것을 어지 알기나 하였겠는가?”
공자가 말했다.
“원시법신(元始法身)은 정신에게 보응된 과(果)입니다. 모두 날조인지라 한 가지도 실한 존재가 없다 하시나 저의 어리석음으로는 다른 미혹이 없지 않습니다. 서(書)와 사(史)를 표절하였더라도 모두가 실다운 종지를 세우고자 한 것입니다. 높으신 뜻을 가벼이 여기시면 엎드려 용서로 빌어야 할 것입니다.”
선생이 말했다.
“그대의 말이 어찌 이리 심한가? 나는 어려서 삼분(三墳:三皇의 책)ㆍ오전(五典:五帝의 책)을 열독하고 장성하여서는 명(名)과 이(理)를 연구하였으므로, 햇수가 지남에 명(命)을 알고 기미(幾微)를 연찬하면서도 피곤한 줄을 몰랐다. 이 우주 사이를 둘러보면서 말 상대가 없음을 한탄하다가, 시대를 거슬러 살펴보고 지음(知音)이 드문 것이 한스러웠는데, 그대와 담론하여도 회포를 풀지 못하겠다. 만약 헛된 것으로 실다운 것을 이루고 거짓으로 참다움을 변화시킨다면, 이 또한 그 공이 조화하는 공을 꾀하고, 그 힘이 도균(陶鈞)의 힘에 이르는 것이니, 한 번 귀를 씻어냈으면, 그대는 이처럼 말을 가벼이 하지 않기를 바란다.”
공자가 말했다.
“선생께서 천존이 서ㆍ사에 실리지 않은 것을 빌미로 허망하다 하셨는데 저 역시도 참으로 그런가 합니다. 그러나 영보(靈寶)의 경전은 전(典)ㆍ기(記)에 모두 실려 있으니, 이 어찌 허위이겠습니까? 오(吳)ㆍ초(楚)의 『춘추(春秋)』나 월(越)ㆍ절(絶)의 서(書)에 따르면, 모두 우(禹)가 홍수를 다스리고 목덕산(牧德山)에 이르자, 여기서 신인(神人)을 만났는데, 우에게 ‘그대가 몸을 지치게 하고, 그대가 심려를 고달프게 하면서 홍수를 다스리되 게을리 하지 않는구나’라고 말하자, 우는 저이가 신인임을 알고 거듭 절하면서 가르침을 청하였습니다. 신인이 ‘나에게 영보(靈寶)의 5부(符)가 있어 교룡(蛟龍)과 수표(水豹)를 부릴 수 있으니, 그대가 이를 지니면 머지않아서 이룩되리라’고 말하자, 우가 머리를 조아리며 다시 청하였기에, 이를 내주면서 우에게 ‘일이 끝나면 영산(靈山)에 감춰서 사람에게 대를 이어 전하지 말라’고 훈계했으므로 우가 이를 써서 그 공을 크게 이룩하였다 합니다. 일이 끝나자 동정(洞庭) 포산(苞山)의 동굴에 숨겨두었는데, 오왕(吳王) 합려(闔閭)의 때에 용위장인(龍威丈人)이 동정의 포산에서 이 5부를 얻고 오왕 합려에게 바치자 오왕이 이를 얻고서 여러 신하들에게 보였으나 모두 알지 못하였다 합니다. 노 나라 공구(孔丘)라는 이가 박식하고 옛 것을 많이 안다는 것을 듣고 사람을 시켜 5부를 가지고 공구에게 묻게 하면서, ‘오왕이 한거(閑居)하다가 붉은 까마귀가 이 책을 물어다 왕의 처소에 놓았으나 그 글을 알지 못하기에 여쭤보고자 멀리서 왔습니다’라고 말하였습니다. 공구가 이를 보고서 사자에게 ‘내가 듣자 하니, 우임금이 홍수를 다스릴 적에 목덕산에서 신인을 만나 영보의 5부를 받았으나 나중에 동정의 포산에 감춰두었는데, 그대의 임금이 얻은 것이 바로 이것 아니겠는가? 붉은 까마귀의 일은 나도 상세하지 않으나, 예전에 강좌에서 아이들이 노래 부르면서, ≺우가 홍수를 다스리고 5부를 얻어 동정의 포산에 감췄으니 호수의 용위장인이 우(禹)의 서(書)을 훔쳤으되 내 서를 얻는 자는 나라를 잃으리라≻고 말했다’고 전하는데, 과연 뒤이어 오나라가 멸망하였습니다. 이 같은 사적은 분명하게 서ㆍ사에 실려 있는데도 이를 허구라고 이르니, 그 말에 어찌 하자가 없겠습니까?”
선생이 마침내 크게 웃으면서 공자에게 말했다.
“그대에게 하한(河漢)의 언사(言詞)를 쏟아내고, 뇌정(雷霆)의 울림을 발하고, 견백(堅白)의 변론으로 일러주더라도, 여전히 저자에서 염색하는 얘기뿐이구나. 이로 보면 말하기란 얼마나 쉬운가. 그대에게 『영보경』이 거짓인 것을 논하였으나 아직 영보의 부적이 그릇된 것을 말하지 않았으니, 만약 부적을 인용하여 경을 증명하더라도, 이는 불을 가리켜 물이라 하는 것이다. 하물며 오(吳)ㆍ초(楚)의 『춘추』는 근대에야 찬술되었고 월(越)ㆍ절(絶)의 서(書)가 편수된 것도 오래지 않으니, 제 아무리 실답다 하더라도 경의 실례(實例)가 되지 못한다. 또한 부적을 영보라 제호하였으니, 이 같은 부적이 영험함을 나타내어 효험을 볼 수 있다면 참으로 귀중하다 하겠다. 이같이 부적의 공을 표창하더라도 그 쓰임새가 경전의 묘종(妙宗)을 적시하지 못한다. 본래가 귀신의 녹(籙)이나 술법(術法)의 일인데, 어찌 장도릉이 부적을 망령되게 노자(老子)가 내렸다거나, 하후(夏后)의 부(符)라 이를 수 있는가? 원래 억지로 노자의 부(符)라 하는 것은 『영보경』의 성립을 바라는 의도이니, 사실에 그 유를 비교한다면 충분히 알 수 있으리라.
또 『삼분(三墳)』ㆍ『오전(五典)』은 당우(唐虞) 이전의 일이니, 역(易)을 찬술하고 시(詩)를 편수한 것도 공구(孔丘)가 희조(姬朝) 때에 찬술하였는데, 어찌 분(墳)ㆍ전(典)을 모두 속서(俗書)라 이르면서 선니(宣尼)가 지은 것을 증명하겠는가? 이것을 저것으로 비교해 보면 확연하게 알 수 있다. 또 영보의 일에는 두 가지 이치가 있으니, 만약 절ㆍ월 따위의 서라 하더라도 송문명이 이전에 날조한 것이 들어 있으니, 송문명 등이 부적을 취하고서 영보라고 거짓으로 제목을 붙여 찬술한 것이다. 만약 송문명 이후에 이 같은 두 가지 서가 편수되었다면 모두 거짓이다. 망령되게 5부(符)의 자취를 창작하여 영보의 경 제목을 증거 삼고자 하였으니, 사실로써 전후를 따지면 모두가 거짓이다. 또 오왕이 부적을 얻고서 그 나라를 잃었다면 이것은 요망한 서(書)이지 어찌 자비의 가르침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몸을 망치고 나라를 망친 것이 영보의 부(符) 때문인데도, 한갓 이를 빛내고 드러내고자 하나 어찌 그 재앙을 은폐할 수 있겠는가? 말을 꾸며 헛되게 숭상하면서 여의주를 얻은 것같이 하여도, 그 근본을 따지고 본원을 찾아보면 물고기 눈알에 불과하니3), 이처럼 말이 그릇되었다 함은 도리어 그대에게나 해당되는 것이다.”
공자가 말했다.
“영보(靈寶)의 가르침이 거짓된 것이 말씀과 같더라도 노자의 서(書)도 어찌 거짓이라 칭하겠습니까? 호인(胡人)으로 화현하여 부처를 이룬 것까지 그 사적이 확연하니, 『윤희전(尹喜傳)』에서 관문(關門)을 나갔다고 말하는 것까지 모두 적혀 있는 데다, 『원시내전(元始內傳)』이나 『화호경(化胡經)』에도 등재되어 모두 그 연유를 기술하고 있으니, 이는 무고(無故)가 아니라 실다운 것입니다.”
선생이 말했다.
“이 또한 영보에서 날조한 것이다. 노자가 주나라에 봉직하며 주하사(柱下史)로 있다가 나중에 서쪽의 유사(流沙)로 가서 함곡관(函谷關)에 다다르자 관령(關令) 윤희(尹喜)에게 황제(皇帝)의 서(書)를 부연하였으니, 그 글을 다시 넓힌 것이 『도덕경』 2편의 상하 양 권이다. 수신(修身)하여 치국(治國)하고 강한 것을 경계하여 부드러움을 지키고 예봉을 꺾어 분란을 풀어내고 자비를 행하고 물러서서 낮추는 도를 논하여 5천여 마디를 이루었는데, 윤희가 또다시 노자가 희에게 담론한 말의 요지를 적어서 『서승기(西昇記)』를 지었다. 그 가운데 후세 사람이 그 문장을 늘려 부처님의 이치와 한데 섞었으니, 대체적인 요지는 『도덕경』과 거의 같다. 인신(人身)의 심정(心情)과 성품(性品)이 생겨나는 일을 말하고 수양의 이치와 일찍 죽고 오래 사는 연유를 설한 것인데도, 후세 사람이 다시 개작하여 경으로 삼았다. 이 같은 경의 첫 장[首章]에는 노자가 서쪽으로 가면서, ‘도를 배우고자 하니, 축건(竺乾)에 고선생(古先生)이 있어서, 나지도 죽지도 않으며 무위(無爲)에 들어가 그대로 오래 산다’고 하였다. 경전의 말단에는 노자가 윤희에게 ‘고선생이란 내 스승이다. 무명(無名)으로 되돌아가셨으니, 내가 지금 찾아가서 한 줄기 근원이라도 반조(返照)하리라’고 말했다 하니, 이 같은 말을 참작해 보면, 노자가 석가를 알았다는 것을 밝히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까닭에 관직을 버리고 서쪽으로 간 것이다. ‘무명(無名)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열반의 이치이고, ‘한 줄기 근원을 반조한다는 것’은 불이(不二)를 호칭하는 것이고, ‘일중(一中)의 본(本)’이란 진여(眞如)의 체(體)이다. ‘나의 스승’이란 노자가 석가를 찾아가 예배드리고 도를 배우고자 한 것인데, 이처럼 도를 배우고자 한 까닭에 멀리서도 이를 존중하여 스승이라 부른 것이다. 아울러 노자가 『서승경(西昇經)』의 글에서 부처님은 자기의 스승이라고 불렀는데 어떻게 호인으로 화현하여 부처가 되었다고 거꾸로 말하는가? 만약 노자가 천축(天竺)으로 가서 호인으로 화현하고자 하였다면 어째서 말을 둘러대어 ‘도를 배우고자 함이니, 축건(竺乾)에 고선생이 있어 무위에 들었다’고 말하였겠는가? 호인으로 화현하였다는 이치도 이리하여 허망한 것이다. 단지 그 글에서 축건이라 이른 것은 건(乾)이란 천(天)이다. 그러므로 역(易)에서 건삼련(乾三連) ≡≡의 두 괘(卦)를 중첩하여 천지를 표상(表象)하기에, 건이란 하늘을 이른 것임을 충분히 알 수 있다. 후세 사람이 이를 베껴쓰다가 승축(昇竺)이란 글자를 건(乾) 자 위에 잘못 베꼈기에, 마침내 축건이라 말하게 된 것이다. 또 서번(西蕃)의 총령(葱嶺)을 기점으로 서쪽으로는 서해에 다다르게 되고, 동ㆍ서ㆍ남ㆍ북에 단지 5천축국(天竺國)만이 있지 축건이라는 나라는 없다. 분명히 후대로 전해지면서 잘못 필사한 것이니, 노자가 호인으로 화현하지 않은 자취 또한 이러함을 알 수 있다. 저 『윤희전』이나 『노자출새기(老子出塞記)』 및 『문시내전(文始內傳)』은 근대의 도사들이 불법이 흥성하자 속인들이 도교를 업신여기는 것을 보고, 투기하는 마음을 품어 이와 같은 문(文)ㆍ서(書)를 날조하여, 노자가 호인으로 화현하여 성불하였다고 말하는 것이다. 지금 호인으로 화현하였다는 글을 직접 근거하더라도 경전이 원래 날조된 것임을 충분히 드러낼 수 있다. 『사기』나 『전한서(前漢書)』의 「서이전(西夷傳)」에 따르면, 여러 번(蕃)의 부락이 각각 달라서 하나의 번 가운데에도 다시 몇 개의 부(部)로 나눠진다. 서번의 국가들은 모두가 성곽에 머물기에 국호를 번(蕃)이라 이름한 것도 그 수효가 아주 많기 때문이다. 월지(月支)ㆍ소륵(疏勒)ㆍ쇄엽(碎葉)ㆍ철륵(鐵勒)ㆍ대하(大夏)ㆍ대완(大宛)ㆍ거연(居延)ㆍ휴도(休屠)ㆍ파사(波斯)ㆍ천축(天竺)은 대략 큰 나라만을 세어본 것으로 작은 나라는 아주 많다. 천축에도 동ㆍ서ㆍ남ㆍ북 및 중앙으로 나뉘어 있는 5개국의 국호를 천축이라 하는데, 그 인민들을 바라문(婆羅門)이라 하여, 호(胡)의 경계와 서로 만 리나 떨어져 있다. 만약 노자가 몸소 바라문으로 화현하여 성불하였다면, 경전에서 호인으로 화현하였다고 말해서는 안 된다. 더구나 석가는 원래가 중천축국의 태자로만 있었지, 본시 왕위에 오른 적이 없는데, 어떻게 경전에서는 ‘부처님은 호나라의 왕이다’ 이르는가? 이 같은 경문을 증험하되 두세 번을 거듭하더라도 모두가 망령된 것이다. 참으로 송문명 등은 불법이 이 땅에 이르자 백성들이 모두 귀의하는 것에 연유하여 호인으로 화현하였다고 경전을 날조하였는데, 이는 부처님이 노자가 화현한 것이라 말하여 귀먹은 속인들을 속여 자신들을 받들게 하려는 것이다. 또 송문명 등은 장강(長江)의 기슭에 태어나 서역 사정을 알지 못했으므로, 서쪽에 호나라가 있다는 말을 전해 듣고 부처님이 호나라 사람이 아닌가 의심하다가, 다시 부처님이 왕족이란 말을 전해 듣자, 부처님은 국왕이라고 말하였다. 소문만 듣고 이같이 경문을 날조하여 호인으로 화현하였다는 일을 말하였으나 나라 이름이나 왕의 시호가 서로 맞아 떨어지지 않으니, 초(楚)ㆍ월(越)을 간담(肝膽)이라 하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경전으로 증험하더라도 그 나라가 날조되었다는 것은 자명하니, 말하지 않아도 헛되다는 것을 가릴 수 있으리라.”
공자가 말했다.
“만약 이 같은 경전이 날조된 것이라면, 어떻게 노자가 호나라의 왕과 군신들에게 『열반경(涅槃經)』ㆍ『법화경(法華經)』ㆍ『화엄경(華嚴經)』ㆍ『금광명경(金光明經)』 등을 설할 수 있었겠습니까? 그 경이 지금도 실제로 소견되는데, 어찌하여 모두 거짓이겠습니까?”
선생이 말했다.
“호인으로 화현하였다는 것이 원래 허망한데, 경전을 설했다는 것은 그대로 거짓이니, 이것은 의심할 바가 못 된다. 그대는 어째서 숨기려고만 하는가? 『열반경』 등은 모두 부처님의 말씀이니, 각각 연기(緣起)가 있어 법상(法相)을 상세히 논증하고, 3세(世)에 대한 인과를 풀이하며, 6도(道)에 대한 죄복을 가르치고, 보응(報應)하는 업을 밝혀서, 진여(眞如)의 이치를 현시한 것이다. 그 이치 가운데 호인으로 화현하였다는 것은 논하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노자의 설과 관련이 있겠는가? 송문명 등이 원래 불법을 표절한 것이 아니라 도가 경전의 이치가 이렇다고 말하면서 망령되게 노자가 설한 것이라고 주장하나, 근본 자취를 짚어 본다면 도대체 어느 쪽이 거짓말을 하는 것이겠는가? 대체로 저술하는 데는 반드시 그 유래와 단서가 있다. 그러므로 쌍림(雙林)에서 열반을 보이시자, 삼장(三藏)을 열어 종지를 결집한 것이다. 양영(兩楹)에 몽전(夢奠)하고서야4) 10철(十哲:10명의 제자)이 그 말을 엮어 논(論)으로 찬술하면서, 주나라의 문화를 치켜세워 명이(明夷)의 이치를 펴게 되었다. 또 사마천이 하옥되고서야 태사(太史)의 서(書)가 바야흐로 지어졌으니. 대체로 이유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바가 없다. 육수정 등의 무리가 강좌(江左)에 비루하게 흘러 다니며 사견을 길렀으므로, 그 마음이 이미 삐뚤어진 것을 알 수 있는데, 저들이 깨달았다는 자취 또한 어찌 헛되지 않겠는가? 『전한서』에 따르면 무제(武帝) 원수(元狩) 연간에 곽거병(霍去病)을 파견하여 흉노(匈奴)를 토벌케 하였으므로, 고란(皐蘭)에 이르러 거연(居延)을 지나서 우두머리를 베는 큰 공을 세웠는데, 곤야왕(昆耶王)이 휴도왕(休屠王)을 죽이고 장차 그 나라 사람 5만여 명을 데리고 투항하면서 금으로 빚은 사람을 바치자, 황제가 신령스럽게 여겨 감천궁(甘泉宮)에 안치하였다. 아울러 서역(西域)을 개척하고자 장건(張騫)을 대하국(大夏國)에 사신으로 보냈고, 돌아오면서 그 옆에 신독국(身毒國)이 있다고 전했는데, 신독은 바로 천축을 이름하는 것이다. 비로소 ‘부도(浮圖)의 가르침’이 있는 것을 처음 들었고, 애제(哀帝) 원수(元壽) 원년(元年)에 박사(博士) 경헌(景憲)이 대월씨(大月氏)의 사신인 이존(伊存)이 구술하는 부도의 경전을 전수받으면서, 불법이 차츰 동쪽으로 전파되었는데, 대체 무슨 연유로 노자가 호인으로 화현하였다는 일을 말하지 않았겠는가? 만약 호인으로 화현한 것이 거짓이 아니라면 사(史)ㆍ전(傳)에도 자연히 기록되었을 터이나 실로 이 같은 일이 없으므로 그 경위를 날조하여 망령되게 써서는 안 된다.”
공자가 말했다.
“『화호경』을 선생께서 날조라고 말씀하시는데, 어째서 당조(唐朝) 호천관(昊天觀)의 도사 윤문조(尹文操)가 칙명을 받아 노자의 성기(聖紀)를 편수하면서 『화호경』 따위의 경전에서 노자가 몸을 나투어 육아백상(六牙白象)을 타고 그날로 정반왕(淨飯王)의 궁전에 하강하여 마야(摩耶)부인의 태중으로 들어갔고, 태어나서 부처가 되었다는 대목을 인용하였습니까? 이 같은 설에 근거하면 부처는 바로 노자의 응신(應身)이며, 경을 설했다는 것도 어찌 사실에 어긋나겠습니까?”
선생이 부지불식간에 혀를 차다가 개탄하면서 말했다.
“이 같은 말이 한번 나오게 되면, 바로 그대 같은 이들이 이에 현혹되는구나. 단지 노자가 관문을 지나던 날에 스스로 축건에 고선생이 있다고 말하면서 바야흐로 철륵(轍勒)의 금하리(金河裏)에서 옥문관(玉門關)을 지나 사막을 건너고 산천을 지나쳐 백방으로 다니면서도 피곤함을 잊고 한결같은 마음으로 도를 찾고자 하였으며, 멀리 성덕(聖德)을 기리면서 늦게라도 이를 존중하여 ‘스승’이라 불렀다. 지금 『화호경』에서는 자신이 부처가 되었다 하나, 이는 앞뒤가 맞지 않는지라, 도대체 내가 누구를 따라야 하겠는가? 『서승기』의 첫 장을 징험하여 호인으로 화현하였다는 마지막 구절을 비교해 보면, 저 이가 말한 것과 이 이가 설하는 것이 끝내 엇갈리는데, 이는 말을 헛되이 꾸미려다가 착오가 많아진 것이다. 노담(老聃)이 축건으로 가고자 한 것도 저 석가의 성덕에 근거하였으며, 이로써 부처님께서 탄생하신 것이 이미 오래되어, 그 소식이 멀리 동주(東周)에까지 이르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노담이 그 이치를 기리고 그 풍도를 그리며 수레를 몰고 서쪽으로 갔는데도, 이것을 저 이의 후신(後身)이 잉태한 것이라 이르니, 이는 참으로 눈에 그대로 드러나는 거짓인지라, 그대가 번거로운 말로 변명하여 날조하더라도 마음만 피곤하고 그 종적이 환히 드러나게 된다. 코끼리를 타고 태중에 들어 그 몸을 변화시켜 부처가 되었다고 말하는데, 어찌하여 노자가 호인으로 화현하였다고 다시 말하는가? 반드시 태중에 들은 것이 헛되지 않아서 화생한 것이 사실이라 해도 노자가 자신이 부처를 이루었는데 누구를 보내 서로 교화하였겠는가? 이는 백양(伯陽)이 태어나 부처님이 되었다 하더라도 저 백양이 호인으로 화현하여 성불했다 한들 무슨 상관이겠는가? 이에 따르면 호인으로 화현하여 태중에 들었다는 것은 양쪽 모두 허망한 일이며, 경전을 설했다는 것도 모두 날조된 것이다. 설사 노자가 실제로 모태로 들어가 생을 받아 부처가 되었다면, 부처님은 노자의 응신(應身)이기에 즉시 도가의 도문(道門)에도 종조(宗祖)가 되시며, 도사(道士)들도 스스로 삭발하고 가사를 입고 스님들을 따라야만 한다. 올빼미의 소리를 변조하여 그 명성을 더럽히고, 가면 쓴 이리의 삿된 마음으로 틈을 엿보면서, 5승(乘)의 성스러운 글을 훼손하고, 3장(張)의 비루한 가르침만을 기려서 미혹의 길로 접어들어 발을 적시는구나. 욕해(慾海)에 떠 있는 배를 가라앉히면 다시는 근본을 돌이켜 종지(宗旨)에 귀의하지 못하니, 참으로 이 같은 경전이야말로 으뜸가는 날조라 하겠다.”
공자가 말했다.
“이를 다시 날조라 말씀하시더라도, 제가 어떻게 이를 말이 있겠습니까? 단지 도가의 법이 흥기한 것은 수고(邃古:往古)인지라. 교문(敎門)이 넓어서 종지가 깊은 데에 이르렀으며, 그 읊조리는 바가 중현(中玄)이고, 귀의하는 바가 삼보(三寶)이고, 정진대도(正眞大道)가 무상(無上)의 복전(福田)이기에, 닦으면서 행하면 모두 이익을 얻게 됩니다. 난새[鸞:靈鳥의 일종]를 잡고 은한(銀漢)을 오르거나 혹은 백학을 타고 충천(沖天)에 오른거나 기(氣)를 부려서 널리 다니되, 구름 사이를 밟고 날아다니는 이와 같은 것은 사(史)ㆍ전(傳)에 실려 있는데, 저나 선생이나 어찌 이를 그르다 하겠습니까?”
선생이 얼굴을 찡그리며 대답하였다.
“그대가 지금껏 내세운다는 것이 모두 실다운 것을 버리고 헛된 것에 근거하는 것이고, 바른 것을 등지고 거짓된 것만 의지하는 것이구나. 내가 그대에게 말하겠는데, 이전에 현혹되었더라도 나중에는 깨달을 줄 알아야 하며, 오늘은 옳더라도 어제는 글렀다는 것을 가려야 하는데, 도리어 반딧불을 받들어 햇빛을 가리려 하고, 절름발이를 채찍질하여 준마와 나란히 하려고 하는구나. 이처럼 논의하는데 어찌하여 자기 힘을 헤아릴 줄 모르는가?
도가의 가르침이라는 게 참으로 도탄(塗炭)이 많은지라, 본래 하나의 기(氣)가 파생하여 만휘(萬彙)를 이룬다 하니, 그대가 수고(邃古)라 일러도 이는 거짓된 말이 아니다. 자고로 2의(儀)가 형상을 분명히 하면 삼재(三才)가 자리잡은 형태(形態)가 한 가지 도에 함께 부여되니, 허박(虛博)하여야만 통할 수가 있다. 이를 가리는 것은 사람에게 달렸으므로 사람을 떠나서는 도가 없다. 이를 쓰면 보게 되고 이를 버리면 감춰지니, 이 같은 이치를 깨달아야 도를 얻었다고 말하게 된다. 이 같은 이치를 체득하는 이는 재난을 면하여 생(生)에 순응하여 장수하고, 이 같은 이치를 어기는 이는 반드시 횡액이 펼쳐져 생이 어긋나서 일찍 죽는다. 그러므로 노자가 ‘그 몸을 벗어나야 몸이 보존된다’고 일렀고, 장자는 ‘삶을 죽이는 자에게 죽음은 없다’고 일렀으니, 이것이 ‘삶에 순응하는 것’이다. 노자는 ‘내가 근심하는 이유는 나에게 몸이[有身] 있기 때문이다’라고 일렀고, 장자는 ‘삶을 살려고 하는 자에겐 삶이 없다’고 일렀는데, 이것이 삶을 역행하는 것이다. ‘몸을 벗어난다는 것’이란 자기 몸을 스스로 귀하게 여기지 않고, 남을 업신여기거나 물건을 함부로 대하지 않으면서 소리ㆍ색ㆍ인아(人我)의 재미 따위의 법을 탐하지 않는 것을 말하므로, 모두 함께 이뤄가야만 이 환난을 면하고 마침내 그 수명을 마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삶을 죽이는 자에겐 죽음이 없다’는 것이다. ‘몸이 있는 것’이란 자기 몸을 스스로 귀하게 여겨서 남을 업신여기고 물건을 함부로 대하고 소리와 색과 재물과 이익을 탐하여 그 몸을 봉양하되 생으로 생을 두터이 하면 물건마다 걱정거리가 되어 그 몸으로 굴욕을 맛보고 재난이 연이어 천수(天壽)를 다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삶을 살려고 하는 자에겐 삶이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람의 행실로써 도를 논한 것이다. 만약 나라로써 논하자면 군주가 사치를 없애고 소리와 색을 막고 궁실을 줄이고 세금을 낮추고 부역을 줄여서 농잠업(農蠶業)을 권면한다면, 위에 있는 임금은 팔을 펴고 한가로워질 것이고 아래 있는 신하는 배를 두드리며 즐거워할 것이다. 상하가 서로 편안하니, 바람과 비도 때맞춰 내리고 일월도 반듯하게 빛나서 조력(祚歷)이 장구하게 된다. 이처럼 그 몸을 바깥에 두어 몸을 보존한 이가 요(堯)와 순(舜)이다. 군주가 사치스럽고 교만하며 궁실을 장식하고 소리와 색에 탐닉하고 부역을 무겁게 하되 그 머리마다 세금을 매겨서 산 사람을 힘들게 하는 데다 법령이 복잡해져서 죄없는 이를 살육하면, 비바람도 때를 어기고 별자리도 도수를 잃으며 위에서는 임금이 우매하고 밑에서는 신하가 어지럽히기에 도적이 사방에서 일어나 종사(宗社)가 무너지게 된다. 이와 같이 ‘몸이 있는 것’을 행한 이가 걸(傑)과 주(紂)이다. 이같이 수행하여 몸에 행하는 것을 신도(身道)라 이름하고, 나라에 행하는 것을 화도(化道)라 이름한다. 그러므로 공안국(孔安國)이 복희(伏羲)ㆍ신농(神農)ㆍ황제(黃帝)의 설을 삼분(三墳)이라 이르면서 대도(大道)를 말한다 하였고, 소호(少昊)ㆍ전욱(顓頊)ㆍ고신(高辛)ㆍ당우(唐虞)의 설을 오전(五典)이라 이르면서 상도(常道)를 말한다 하였다. 그러므로 『도덕경』에서 ‘도를 도라고 할 수 있으면 상도(常道)가 아니다’라고 일렀고, 다시 ‘대도가 황폐해지면 인의(仁義)가 생겨난다’고 일렀으니, 바로 도가의 도를 밝히자면 곧 이것을 이르는 것이다. 임금이 도를 체득하여 함이 없으면 바로 그때에 민속이 태평해지고, 사람이 도를 체득하여 무위(無爲)에 이른다면 생을 온전히 하여 수명을 다할 것이다. 수명에도 세 등급이 있어서 상수(上壽)는 1백20살이고, 중수(中壽)는 1백살이고, 하수(下壽)는 80살이다. 불사(不死)라 말하는 것은 이 같은 세 가지 수(壽)를 늘여서 요절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대가 이르는 ‘중현(重玄)을 읊조린다는 것’도 『도덕경』에서 ‘아득하고 또 아득하니[玄之又玄]’라고 이르는 것이다. 이같이 묘하게 2관(觀)을 밝히더라도 모두 한 가지 마음의 허망함에서 나오는 것으로 이를 보고 저를 보면 변별하는 마음이 생겨난다. 그 변별하는 마음을 되짚어 보면 종당에는 합당한 주체가 없는지라, 이 같은 일은 아득하여 알 수가 없으니 이러한 까닭에 현(玄)이라 한 것이다. ‘아득하고[玄]’란 심원(深遠)이 명매(冥眛)한 것을 말하고, ‘또 아득하니[又玄]’도 명매(冥眛)의 이치이니, 이 또한 불가득(不可得)이다. 다시 명매가 심원하기 때문에도 ‘또 아득하니’라고 이르는 것이니, 이처럼 노자에게는 지혜로운 마음이나 성스러운 지혜가 없어서, 유현(幽玄)을 비추지도 못하고 미묘(微妙)에 통달하지도 못하였다. 그러므로 이같이 의심내는 것이다. 그대가 말하는 ‘삼보에 귀의한다는 것’은 도가의 위경에는 삼보의 이치가 없고, 오직 『도덕경』의 글에만 삼보가 있으니, 경에서 ‘나에게 세 가지 보물이 있으니, 이를 보배로 지닌다. 첫 번째는 인자함이고, 두 번째는 검소함[儉]이고, 세 번째는 천하와 그 앞을 다투지 않는 것이다’고 이르렀는데, 여기서 인자함이란 자비로 가엽게 여기는 이치이고, 검소함이란 앙보하여 탐하지 않는 이치이고, 천하와 앞을 다투지 않는 것이란 겸양하여 남을 존중하는 행이다. 만약 이 같은 세 가지에 의지하여 행하면 진실로 유익한 행실로, 이는 세속에서의 인서겸양(仁恕廉讓)의 도이고 겸광제물(謙光濟物)의 덕인데, 이 같은 보배에 귀의하는 이는 참으로 사람 가운데 선인(善人)이라 하겠으나, 종당에는 인과와 업보의 이치가 없다. 도가가 아침마다 이같이 삼보를 예배하는데, 과연 어떤 공덕이 있는지 알 수 없다. 또 정진대도(正眞大道)라 이르는 것도, 여기서 정(正)이란 편중되지 않는다는 이치이고, 진(眞)이란 거짓되지 않은 모양이고, 대(大)란 크고 넓은 것의 이름이고, 도(道)란 허통(虛通)의 이치이다. 이같이 행하는 것을 도라 이름하며 올바르면서 편중되지 않고 참되면서 거짓되지 않기에 장대하여 넓다는 것이다. 이를 미루어 증험해 보면 모두 헛된 구호이다. 도란 이치를 통하는 것으로 본래 헤아리는 성품이 없으나, 사람이 행하는 바에 따라 편중되기도 하고 바를 수도 있다. 그러므로 도는 왼쪽이라거나 오른쪽이라고도 말하기에, 확정된 정이 없는 것이 분명해진다. 참되고 거짓된 모양은 사람의 눈에나 있는 것이지, 이치 가운데에서 어떤 때는 참되고 어떤 때는 거짓이라면 이것은 진이 아니다. 넓고 좁은 모양도 마음에 달려 있으므로, 마음을 떠나서 도가 없다면 또한 대(大)도 없다. 그러므로 도대(道大)ㆍ천대(天大)ㆍ지대(地大)ㆍ왕대(王大)라 하는 것이다, 이 역(域) 중에 4대(大)가 있으니 왕이 그 하나에 머문다고 이른다. 여기서 역(域)이란 경계의 역이다. 소위 사람이 거주하는 경계인데, 도는 정해진 바탕이 없어서 사람에 따라 그 행이 드러나기에 사람의 경계를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므로 천(天)ㆍ지(地)ㆍ인(人) 삼재(三才)가 함께 그 대소를 가지런히 하여 생사의 역(域)에서 윤회하며, 단지 세제(世諦) 가운데 떠돌면서 망령되게 정진(正眞)이라 구호하고, 헛되게 대도(大道)라 이름하는데, 그 유명무실한 것이 어찌 거짓이 아니겠는가? 또 무상복전(無上福田)이라 이르는 것도, 대체로 도는 쓰고 버리는 것이 다름 아닌 사람에 연유하는 것으로, 주재(主宰)가 주선(周旋)하더라도 사람의 경계를 넘지 못하는데, 어떻게 무상(無上)의 능(能)이 있겠는가? 또 복전이란 이름도 도가의 서책에는 실리지 않고 그 일이 석가의 전적에서 나온 것을 훔쳐다가 거짓되게 안치하였으므로 도가에서 이에 따라 행을 닦더라도 생사를 여의지 못한다. ‘학을 타고 충천에 오른다는 것’도 5천자[千字]에는 원래 이 같은 말이 없고, ‘난새를 잡고 은한(銀漢)에 오른다는 것’은 7편(篇)에서도 일찍이 말조차 꺼낸 적이 없다. 이것은 『신선전 (神仙傳)』 가운데서 출전된 것인데, 어찌 노장의 이치와 관련 있겠는가? 단지 신선은 약초의 힘에 연유하되 단액(丹液)의 공을 겸하여 보충하는 것으로 이는 수행을 익히는 것이 아닌데 어찌 도에 관계되겠는가? 또 『신선전』에는 거짓된 것도 많이 섭렵되어 있으니, 한조(漢朝)의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은 죄를 짓고 하옥되어 자살하였는데도, 『신선전』에서는 8공(公)의 술법을 얻어 백일승천(白日昇天)하였다고 말한다. 또 진조(晉朝)에 혜숙야(嵇叔夜)가 종회(鍾會)에게 무고당해 거리에서 참수당했는데도, 『신선전』에서는 신선이 되었다고 말한다. 『한서』와 『진서(晉書)』가 모두 「열전(列傳)」에서 신선의 부류를 거론하는데, 이 같은 유(類)는 근거로 삼기가 충분치 않다. 또 그대가 말하는 ‘기를 부려서 널리 다닌다는 것’도 『장자』의 「소요편(逍遙篇)」에서 오래 사는 것을 흠모하는 마음을 깨뜨리고 신선의 술법을 배척하고자 한 것이다. 비록 열자(列子)가 바람을 부린다고 하였으나, 바람이 없으면 그대로 멈춰서 기다릴 수조자도 없는데, 하물며 신룡(神龍)이나 봉황(鳳凰)이겠는가? 스스로 천지에 올바른 것을 타지 않고 6기(氣)를 다스린다고 변호하면서 바야흐로 기다림이 없으니, 이것은 장주(莊周)가 우화(寓話)에 가탁하여 헛된 것을 바라는 마음을 막고자 설한 것이지 실제로 그렇다는 것이 아니다. ‘구름 사이를 밟는다는 것[步]’이란 영보(靈寶)의 옥경산(玉京山)이 거짓이듯이, 경에서 이르는 보허(步虛)라는 것도 헛된 말이다. 날아가되 구름 사이를 밟고, 허(虛)를 타고 현기(玄紀)를 걷는다는 이와 같은 것은 장도릉과 육수정 등이 꾸며내어 말한 것이다. 천존이 현도(玄都)의 옥경산에서 설법을 마치고 여러 천상의 진인들이 천존을 에워싸고 구름 노을을 밟고 위로 올라가 찬양하며 떠났다고 이르면서, 이를 가리켜 보허(步虛)라 말하나 이 또한 거짓된 경전임을 앞서 이미 논파했는데, 어떻게 날조된 것을 끌어다가 다시 거짓을 증거하겠는가?”
공자가 다시 말했다.
“이것이 헛되다는 그 명(命)만은 받들지 못하겠습니다. 실다운 경전에 근거하여 증명할 터이니, 선생께서 이를 허락해 주십시오.”
선생이 말했다.
“어찌 허락하지 않겠는가?”
공자가 말했다.
“『서승경(西昇經)』이 노자가 설하는 것과 같지 않고, 영보천존이 허구더라도, 이는 불경의 사적과 대체로 맞아 떨어집니다. 경전에서 노자가 도를 배워 성인을 이루고자 온갖 고행을 쌓았다고 이르고, 또 움직이되 겁(劫)을 되풀이하여 지나쳤으니 스스로 고생스럽게 닦았다고 이르는데, 이 또한 겁수(劫數)의 일을 모두 논하는 것이니, 어떻게 이것을 다르다고 하겠습니까?”
선생이 말했다.
“『서승기(西昇記)』가 진실로 노자가 설한 것이더라도 후세 사람이 부처님의 일을 보태어 그 글과 섞어 놓은 것이다. 노자 『도덕경』 2편에 따르면 원래 겁수라는 이치가 없는데, 어떠한 이유로 『서승기』의 내용에는 겁수란 이름이 있는가? 또 이 땅의 서ㆍ사에는 겁이라는 일조차 없었다. 도가에서 설하는 것이 세속과 대체로 같아서 모두들 천지가 갈라지기 이전에 혼돈하여 형체가 없었으나, 2의(儀)가 열리고 난 후에 물상(物象)이 이루어졌다고 말하며, 원래 겁괴(劫壞)와 성겁(成劫)의 이치는 없다. 또 불법이 동하(東夏)를 교차하기 전에 이 땅에는 오직 겁살(劫殺)하고 겁적(劫賊)하는 일만이 있었지 겁수(劫數)의 겁(劫)을 이름하는 글은 없었다. 이 『서승기』에서 논하는 겁이란, 불경이 이곳에 다다른 이후에 도사 따위가 불경의 겁을 표절하여 『서승기』의 글에 보태서 불가(佛家)의 겁을 섞어 넣어 혼돈(混沌)의 설을 대신코자 한 것이다. 『도덕경』에 따르면, 도에서 1이 생기고 1에서 2가 생기고, 2에서 3이 생기고 3에서 만물이 생긴다고 이른다. 이같이 노자의 설은 천지가 개벽하는 최초가 만물이 형태를 이루는 시작임을 말하며, 도(道)에서 원기(元氣)가 생기고 원기에서 천지가 생기고 천지에서 사람과 음양(陰陽)이 생기고 음양에서 만물이 생긴다고 말한다. 이처럼 1에서 2가 생기고 2에서 3이 생기고 3에서 만물이 생긴다는 것이, 세속의 서책에서 말하는 것과 그 대강이 비슷하다. 노자가 만약 겁초(劫初)의 인(因)을 알았다면, 어째서 겁괴 이전에 겁이 생겼다고 말하지 않고 도에서 1이 생겼다고 말하였는가? 저것으로 이를 증명해보면 이것은 불가의 겁을 섞어 넣은 것이 분명해서 속일 수 없다. 영보(靈寶)의 위경(僞經)에 이르러서도 또한 겁사(劫事)를 논하는데, 이것도 육수정 등이 불경을 훔쳐다 베끼고서 그 수(數)를 보탠 것임을 또한 알 수 있다.”
공자가 말했다.
“『서승기』에서 겁을 논하는 것을, 당신은 후세 사람이 그 설을 늘린 것이라 말하는데, 죄복의 인과와 선(善)을 닦아 재난을 물리치는, 그와 같은 일이 아주 없는 것이 아닙니다. 도를 행하고자 재(齋)를 이룩하고 위의를 정숙히 하는 데는 삼록(三籙)이 있으니, 삼원(三元)의 대헌(大獻)에게 기도하는 것이고, 그 다음에는 명진(明眞)의 도탄(塗炭)과 영보(靈寶)의 자연(自然)이 있으니, 과의(科儀)가 엄밀하여 부처의 가르침에 뒤지지 않습니다. 이것을 거짓이라 하여도 어찌 그 사이를 떼놓을 수 있겠습니까?”
선생이 말했다.
“도가의 인과(因果)를 노자는 설명하지 않았고, 그와 같은 설이 위경인 영보의 부(部)에 있는데, 그러한 일은 도가의 전적의 자취가 아니라 바로 불경이다. 육수정과 송문명이 몰래 표절하였다가 예전에는 그와 같은 일을 논하지 않았는데도 재차 나열하였으니, 삼록의 명진(明眞)이나 삼원의 도탄(塗炭)이나 자연의 재법(齋法)도 영보의 글에서나 나오는 것이지 원래 노장의 가르침이 아니다. 이는 송문명과 육수정 등이 조직한 것으로, 이 같은 일은 모두가 헛되게 꾸민 것이다. 그 정상의 자취는 앞서 드러냈으니, 번거롭게 풀이하지 않겠다. 그러나 그대가 여전히 현혹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그 쌓인 의혹을 깨뜨려야만 하겠다. 날조된 영보의 재의(齋儀)에 따르면, 삼록(三籙)이란, 첫 번째가 옥록(玉籙)이고, 두 번째가 금록(金籙)이고, 세 번째는 황록(黃籙)이라 이른다. 옥록은 천자가 닦는 것이고, 금록은 왕공(王公)이 닦는 것이고, 황록은 서민이 닦는 것으로, 혹 해와 달의 정령(精靈)에게 절하기도 하고, 성진(星辰)의 기상(氣象)에 절하기도 하고, 혹 5악(嶽)의 선궁(仙宮)에 절하기도 하고, 혹 4독(瀆:揚子江ㆍ黃河ㆍ濟水ㆍ淮水)의 수부(水府)에 절하기도 하되 머리로 땅을 치며 애절하게 복을 빌면서 차림새를 넉넉히 하였더라도, 그 마음은 재물의 이익에만 가 있는 것이고, 널리 불을 켜놓는 것도 그 마음이 기름과 양초에 가 있는 것이다. 망령된 행동으로 속이는 것이 지금에 이르렀으니, 대체로 무당이 삿되게 기도하는 것과 무슨 차이가 나겠는가? 삿된 짓을 행하면서 복을 비니, 귀신이라도 어찌 이와 같은 자연의 도탄에 응하겠는가? 모두가 이 같은 부류이다. 3원(元)이란 상원(上元)ㆍ중원(中元)ㆍ하원(下元)이다. 정월 15일을 상원이라 하고, 7월 15일을 중원이라 하고, 10월 15일을 하원이라 하는데, 풀이에는 상원일은 천관(天官)이 심판하는 날이고, 중원일은 지관(地官)이 심판하는 날이고, 하원일은 수관(水官)이 심판하는 날이라 한다. 이처럼 천관ㆍ지관ㆍ수관의 3관이 심판하는 날에 이 천관ㆍ지관ㆍ수관의 3관이 공덕과 허물을 계산한다는 일도 육수정 등이 헛되게 꾸며 왜곡되게 새운 것이지 원래 그와 같은 것이 없었다. 설사 이것이 실다운 일이라 하더라도 본래 명도(冥道)의 귀신이 라는 일은 귀도(鬼道)에 섭수되는 것인데, 도사가 어떻게 이를 참견할 수 있겠는가? 또 이같이 3일에 3관이 인간이 행한 죄업과 복업의 일을 계산하므로 반드시 재를 지내 참회하여 그 죄를 소멸시켜야 한다고 말하는데, 이것은 더더구나 거짓이다. 노자와 장자의 글을 검토해보면, 원래 이 같은 일은 없는데, 이는 영보의 위경에서나 출전되는 것이다. 또 명계(冥界)에서는 사찰(司察)하는 이치가 속세의 법보다 엄하다. 세제법(世諦法) 가운데에서 범부가 죄를 짓되 미처 발각되지 않고 자수하면 용서가 되지만 일이 이미 드러났다면 비록 자수하더라도 천벌을 면치 못하는데, 만야 3관이 심판하지 않는 날 이전에 삼원의 예를 미리 세워서 참회한다면 혹 용서받아 죄를 면할 수도 있겠으나, 심판하는 날에 죄상이 이미 드러났는데 죄가 발각되고서 참회한다면, 이는 그 자리를 면하고자 꾀를 내어 엎드리는 것이기에 반드시 용서받지 못할 것이다. 인간의 법이 성기더라도 죄를 면치 못하는데, 명도의 법이 저같이 세밀하니, 어떻게 사면받겠는가? 거짓되게 재를 지내고 참회문을 읽더라도 종당에는 죄를 면한다는 이치가 없다. 허망하게 행하면서도 비루한 중생이 이를 깨닫지 못하니, 설사 엄급(嚴急)의 과(科)를 진설하더라도 참으로 죄를 씻는 데는 아무런 보탬이 되지 않는다.”
033_0118_a_01L甄正論卷中 集大白馬寺僧玄嶷撰公子曰天上無地誠亦有之天尊神力不無其實案此經文天尊當說度人經時七日七夜諸天日月璿璣玉衡一時停輪神風靜嘿山海藏雲無浮翳四氣朗淸此則神力所致德靈感故得日月駐景以停運風雲斂靄以澄淸若非大聖孰能至此先生曰無天尚解造天無地猶能立日月任其筆削風雲隨其指揮實論之竝無其事且璿璣斡運金渾應象三百六十五度四分度之一二交會晝夜百刻周旋潛轉靡有少停春秋二分冬夏兩至縱有盈縮大數不虧如也簿蝕差時行次失史必書之以表天事但日度稍長猶爲吉應尚書史策以示將來況天一不轉經七百刻自有天地以未有若此之大瑞自合別飾史詞光諸簡牒典載不紀明竝虛焉若言此之璿璣日月風雲山海之等竝論天上之天不是人間之天者且諸天上界咸無日月自然光明遠近相曜以花開合爲晝夜不與此土相同文明等但見此土日月山海謂諸天上還同此境亦有日月風雲山海等不知諸天之上元無此等聖教具此可略示虛又明也公子曰上天無日月等先生辯之如天尊說經利益實廣經云天尊說度人經一遍一國男女聾病耳皆開二遍盲者目明三遍喑者能言遍跛者能行及周十遍乃至婦人懷鳥獸含胎已生未生皆得生成藏發洩金玉露形枯骨更生皆起成以此言之神功大矣先生曰余聞之有人寐而夢者於夢又占其夢果如然也向已具論仍固執何異占夢乎余告子以上天下境勝劣不同豈有盲聾喑跛之疾亦無冢墓骸骨之穢雖有死生之事是變化所爲無產生之生無屍死之今此經云天尊於始靑天中說法乃云一國男女天上豈有國耶又云盲聾等病天上元無此疾案此經文元來不委上天善惡出自胸臆造此僞經乃委巷之浮談非典實之雅論虛僞之狀此又彰焉公子曰先生所詮無非僞也然則道法流行爲日已久教迹匪一義理多祇如三世因果六道業緣地獄天堂罪福報應皎然不昧豈徒言哉先生曰此更虛也天尊之事靈寶之經首尾虛僞不可爲證道家宗旨過老經次有莊周之書兼取列寇之竟無三世之說亦無因果之文明六道之宗詎述業緣之義地獄天堂了無辯處罪福報應莫顯其由餘雜經咸是陸修靜等盜竊佛經妄爲安置雖有名目殊無指歸余更別擧例論之道家稱天尊說經在堯舜以前上皇之代其時淳風尚質醨俗未人無矯妄之心時有無爲之化子說經當衰周之末帝王之季君昏於上臣亂於下征伐不由天子禮樂出自諸侯以大陵小恃强侵弱人懷狙詐俗變澆浮何因天尊當淳朴之乃說地獄天堂罪福因果三世六道應報業緣老子當澆醨之代乃說無爲無事恬淡淸虛雌柔寡欲逗機之義何其爽歟以理推之虛僞非謬公子曰先代天尊先生執僞後之靜信復豈妄哉請少詳之無爲孟浪道經云樂靜信宿稟仙才早殖德本功滿行就道證天尊大弘教迹廣演經論豈竝僞耶先生曰上古本無猶能僞造元始代因僞豈不解假立天尊公子前惑其本今迷其末誣其源而泝其流可得耶此宋文明等爲元始立天尊知無據爲佛經說釋迦棄儲后之位出家修道證得佛果遂僞立樂靜信修道證得天尊兼說經教具信因果等事趍日避影重覺心勞欲隱而彰僞迹逾顯非唯外無俗學不明得姓因由亦乃內無識智不悟立主虛僞且樂氏之姓出自樂正子春子春者殷之掌樂之官因官命氏後爲樂姓年歲近遠撿驗可知若靜信實得天當殷之末代周之首年商書周書爲不載史紀洞紀何故不書又鞫靜信所化之域竟無其所東至日窟西窮月竁北指玄洲南臨丹浦推究境土竝無靜信所都可謂語薜荔於長流足驚視聽之說蔕芙蕖於喬木殊爲理外之談徒懷挾彈之心寧知陷穽之斃公子曰元始法身靜信報果咸云假無一實存在於下愚不無二惑憑書史敢立實宗輕忤高懷伏垂矜恕先生曰子何言之過也余少閱墳典長討名理年過知命硏機不疲傍瞻宇宙之閒嘆言論之無偶俯觀時代之上恨知音之蓋稀向與子談未攄懷抱若能架虛成實變僞爲眞此則功侔造化之功力邁陶鈞之力希一淸耳子薄言焉公子曰先生以天尊書史不載以爲虛妄在於僕也誠亦如然秖如靈寶之經典記具載豈亦僞乎案吳楚春秋及越絕書咸云禹治洪水至牧德之山見神人焉謂禹曰勞子之形子之慮以治洪水無乃怠乎禹知是神人再拜請誨神人曰我有靈寶五以役蛟龍水豹子能持之不日而禹稽首而請因而授之而誡禹曰可秘之於靈山勿傳人代禹遂用其功大就事畢乃藏之於洞庭苞山之穴至吳王闔閭之時有龍威丈於洞庭之苞山得此五符獻之於吳王闔閭吳王得之示諸群臣莫能識之聞魯孔丘者博達好古多所該令使齎五符以問孔丘曰吳王閑有赤烏銜此書以至王所莫識其故令遠問孔丘見之而答使者曰丘聞之禹治洪水於牧德之山遇神人授以靈寶五符後藏之於洞庭之苞山君王所得無乃是乎赤烏之事丘卽未詳先是江左童謠云禹治洪得五符藏之洞庭苞山湖龍威丈人竊禹書得吾書者喪國廬尋而吳果滅矣此則事迹分明書史具載之虛也言何玷歟先生於是咍然而謂公子曰向子瀉河漢之詞發雷霆之嚮謂縱堅白之辯乃肆染素之以此而觀言何容易向共子論靈寶經僞未曾說靈寶符非若得引符證經亦可指火爲水況吳楚春秋近代始撰越絕之書修非尚古縱將爲實不得例經且符題靈寶顯此符之有靈效驗可憑堪爲寶重此表符之用非摽經之妙宗自是鬼神之籙術數之事豈以道陵之符妄云老子所授乃將夏后符本勒爲老子之符冀成靈寶經實比類而說足可知之且三墳五典唐虞以上之事述易修詩孔丘姬朝始撰豈以墳典俱曰俗證是宣尼所作以此喩彼昭然可又靈寶之事有其二義若越絕等在宋文明前造則文明等取符上靈寶之目僞題所撰之經若於文明後修此之二書亦皆虛僞妄創五符之用證靈寶經題以事參之前後咸又云吳王得符俄喪其國此乃凶妖之書豈曰慈悲之教殞身滅國由靈寶之符夫子徒欲光揚詎能掩其災禍飾詞崇僞若得驪珠討本究乃成魚目斯言之玷返屬子焉公子曰靈寶教僞旣如所言老子之書豈亦稱僞至如化胡成佛事迹顯尹喜之傳具陳出塞之說備載元始內傳化胡之經咸述所因非無故實先生曰此又僞於靈寶矣且老子仕周爲柱下史後遂西之流沙至函谷爲關令尹喜演黃帝書重廣其爲道德二篇上下兩卷論修身理誡剛守雌挫銳解紛行慈儉謙下之道成五千餘言尹喜又錄老子與喜談論言旨爲西昇記其中後人更增加其文參糅佛義大旨略與道經微同多說人身心情性稟生之事養之理夭壽之由後人又改記爲經此經首章云老子西昇聞道竺乾有古先生不生不滅善入無爲緜緜長是以昇就經末又云老子謂尹喜古先生者吾之師也還乎無名今昇就亦返一源參驗此言足明老子知有釋迦所以捨官西赴還乎無名涅槃之理返一源者不二之稱中之本眞如之體也吾之師者老子將就釋迦摳衣學道故遙尊曰師竝是老子西昇經文旣稱佛是己師如何翻云化胡爲佛若老子本擬往天竺化胡何所迴避而言聞道竺乾有古先生善入無爲化胡之義此其虛也但其文合云乾竺乾者天也易☰☷二卦以象天地足知乾者天之謂也後人抄寫誤昇竺字於乾字之上故云竺乾又案西蕃蔥嶺以西至于西海東西南北唯有五天無竺乾之國明是後代傳寫誤也老子不化胡之迹居然可知其尹喜傳老子出塞記及文始內傳竝是近代道士等見佛法興盛俗薄其教茍懷姤忌僞造此等文書云老子化胡成佛直據化胡之文足以顯經本僞案史記及前漢書西夷傳諸蕃部落各殊一蕃之中又分數部西蕃之國咸悉城居國號蕃名其數極衆月支疏勒碎葉鐵勒大夏大宛居延休屠波斯天竺略擧大數子細甚多天竺之中東西南北及中分爲五國國號天竺人曰婆羅門與胡境相去向有萬里若老子親化婆羅門成佛不應經云化胡況釋迦本是中天竺國太子自未登王位何得經云佛是胡國王此經文再三皆妄良由宋文明等佛法至此百姓歸依遂僞造化胡之云佛是老子化作誣惑聾俗欲令敬奉又宋文明等生長江濱不諳西域傳聞西是胡國乃疑佛亦是胡復聞佛是王種還謂佛是國王望風僞造此經論說化胡之事國名王號殊不相當何異肝膽楚越以經驗國虛僞自分不待言談方辯假妄公子曰若也此經是僞何得云老子爲胡王及群臣說涅槃法華華嚴光明等經經今見實豈曰虛乎先生曰化胡本妄說經是虛此不合子何蔽也且涅槃等經竝是佛說各有緣起具論法相#詮因果於三世明罪福於六道辯報應之業顯眞如之理旨意不論化胡何關老子所說宋文明等元來未窺佛法謂如道經義趣妄云老子所說推尋本迹何大狂凡所述作須委由緖故雙林示滅三藏開結集之宗兩楹夢奠十哲撰紀言之論#姬文拘羑明夷之義載敷馬遷下獄太史之書方著咸有所以非無表明修靜之輩江左庸流素蓄邪徒知心矯豈悟迹虛案前漢書帝元狩中遣霍去病討匈奴至皐蘭過居延斬首大獲昆耶王殺休屠王將其衆五萬來降獲金人帝以爲神列於甘泉宮及開西域遣張騫使大還傳其傍有身毒國身毒名天竺始聞有浮圖之教至哀帝元壽元年博士景憲受大月氏王使伊存口授浮圖之經此竝佛法東流之漸#何因不說老子化胡之事若化胡不虛史傳自然合錄直以元無此事虛狀不可妄書公子曰化胡之經先生稱僞何爲唐朝昊天觀道士尹文操奉勅修老子聖紀引化胡等經傳云老子化身乘六牙白象從日中下降淨飯王宮摩耶夫人胎中生而作佛據此所說佛卽老子應身何妨實說經也先生不覺盧胡久之而歎曰斯言之過致子惑焉但老子當過關日自云竺乾有古先生方將撤軔金河裹糧玉塞經履砂磧跋涉山川百舍忘疲一心訪道遠慕聖德遙尊曰師今化胡經中自身作佛前後乖謬吾誰的驗西昇之首章類化胡之末句談此說終始參差良爲搆虛詞多舛且老聃之適竺乾藉其釋迦盛德准此佛生已久聲聞遠被東周老聃慕義欽風驅車以之西上而云至彼之後身方入胎僞在目前詎煩言辯作僞心勞蹤迹彰露旣云乘象入胎變身爲佛如何復說老子化胡必其入胎不虛降生有實老子身已作佛遣誰相化卽是伯陽自生爲佛何關伯陽化胡成佛案此化胡入胎兩皆是妄說經之事一槪咸虛設令老子實入母胎受生作佛佛是老子應身卽是道門宗祖道士等自合削髮染宜從緇侶變梟聲於穢嚮革狼顧於邪心而乃毀五乘之聖文譽三張之鄙教踐迷塗而踠足泛慾海以沈不復本以歸宗良爲此經先僞公子曰此又云僞僕何言哉但道法之興基於遂古教門宏遠宗致幽深其談詠者重玄所歸依者三寶正眞大道無上福田修而行之咸蒙利益或控靑鸞於上漢或駕白鶴以沖天御辯氣以宣遊躡雲網而飛步此竝史傳之所載吾子奚可詰焉先生從容而答曰夫子向來所立捨實以憑虛亦背正而扶僞余謂子知前迷而後悟識今是而昨非反乃捧螢光以比日策蹇足以齊駿用茲擬議何不量力者歟道之爲教誠亦多塗本自一氣沠成萬彙子云遂古此不虛談自二儀象著三才位形稟一道虛而能通辯之在人人外無用之則見捨之則隱契會斯理之得道能體之者免於災撗順生而茍違斯理必羅殃咎逆生而夭老子云外其身而身存莊子云殺生者不死此順生也老子云吾所以有大患爲吾有身莊子云生生者不生此逆生也外身者謂不自貴有己身不陵人傲物#不貪聲色人我滋味等衆共推之免於患難終其壽考殺生者不死也有身者自貴有己身陵人傲物貪聲色財利以資奉其身生益其生爲物所患身受折辱於患禍夭其天年此生生者不生也以人行論道若以國論者君主去奢侈屛聲色卑宮室薄賦斂省傜役勸農君上垂拱而逸臣下鼓腹而樂下交泰風雨以時日月貞明祚曆長此外其身而身存堯舜是也君主奢侈憍泰崇飾宮室耽愛聲色傜賦繁重頭會箕斂勞苦生人法令滋章殺戮非罪風雨愆時星辰失度君昏於上臣擾於下盜賊交起宗社傾滅此爲有身桀紂是也#修之於行謂之身道行之於國謂之化道故孔安國伏犧神農黃帝之書謂之三墳大道也少昊顓頊高辛唐虞之書之五典言常道也故老經云道可道非常道又云大道廢有仁義則明道家之道斯之謂矣君能體道無爲則時邕俗泰人能體道無爲則全生保壽壽有三等上壽百二十歲中壽百歲下壽八十歲所言不死者終其三壽不爲夭死子云談詠重玄者老經云玄之又玄此明徼妙兩觀出一心之妄見此見彼識辯心生尋識辯之心竟無的主此事冥昧不可了知故云玄也玄者深遠冥昧之又玄者則此冥昧之理亦不可得更復冥昧深遠故云又玄此老子無慧心聖智不能鑑幽達微故致此疑子云歸依三寶者道家僞經無三寶之義唯老子經文有三寶經有三寶寶而持之一曰慈二曰儉曰不敢爲天下先此意慈者慈悲愍念之理儉者廉恕不貪之義不敢爲天下先者謙退卑敬之行若此三者依而行之誠亦有益於行是俗中仁恕廉讓之道謙光濟物之德歸依此寶實是人中善人竟無因果業報之理道家每朝禮此三寶未知有何功德又云正眞大道正者不偏之義眞者非假之狀大者廣博之名道者虛通之理言此行之道正而不偏而不假大而能廣推而驗之竝是假道者通理本無識性由人行之可偏可正故云道可左可右明無定正眞假之狀人所目之在於理中眞何假此非眞也廣狹之相繫之在心外無道又不大矣故云道大地大王大域中有四大王居一焉域者界域謂人居止之境也道無定因人行顯不出人境故與天地人三才齊其大小輪轉生死之域邅迴世諦之閒妄號正眞虛名大道有名無實何其謬乎又云無上福田者道用捨由人無別主宰周旋不越人何有無上之能又福田之名道書不載事出釋典偸竊僞安道縱修行不離生死駕鶴沖天五千元無此說控鸞上漢七篇曾不涉言此出神仙傳中豈關老莊之旨但仙由芝朮之兼資丹液之功非是薰修何關於且神仙之傳多涉虛誣祇如漢淮南王安坐犯下獄自殺神仙傳說云得八公之術白日昇天又晉朝嵆叔夜被鍾會譖見誅斬於都市神仙傳乃云得仙漢書晉書咸有列傳神仙之類卽此之流不足可憑又子云御辯氣以宣遊者莊周逍遙篇破健羡之情斥神仙之術雖云列子御風風則止不能無待況乎龍鳳哉自非乘天地之正御六氣之辯方始無待此是莊周寓言假託而說用杜希求之心非謂實有然也躡雲網者靈寶玉京山僞經步虛詞云旋行躡雲網乘虛步玄紀此是道陵修靜等僞造天尊在玄都玉京山說法訖諸天眞人圍繞天尊躡雲霞之上讚詠而謂之步虛此是僞經前已破訖得引僞還證僞耶公子又云此僞敢不聞命據實經證先生許乎先生曰焉不許哉公子曰西昇之經老子所說不同寶天尊之僞與佛經事迹頗亦相參經云老子說學道成聖積行艱苦云動則經再劫自惟甚苦勤此則具論劫數之事何可異焉先生曰西昇之記誠老子所說後人加增佛事雜糅其文案老子道德二元無劫數之旨何因西昇記內卽有劫數之名又此土書史竝無劫事道家所說與俗頗同咸云天地未分之前混沌無形二儀開後物象方著本無劫壞劫成之義且佛法未融東夏之前此土唯有劫殺劫賊之事劫數劫名之文此記所論劫者佛經至此之後道士等盜竊佛經之劫增西昇記文欲參亂佛劫以代混沌之說案道德經云道生一一生二生三三生萬物此老子說天地開闢之初萬物著形之始言道生元氣氣生天地天地生人及陰陽陰陽生萬物此一生二二生三三生萬物也則與俗書所說大綱略同老子若知劫初之因何故不說前劫壞而此劫而言道生一以彼證此明是參糅佛劫不惑至於靈寶僞經亦具論劫竝是修靜等盜寫佛經以益其數此亦可知公子曰西昇論劫子謂後人增加所因果罪福修善攘災不無其事於行道建齋威儀整肅則有三籙祈請三元大獻次則明眞塗炭寶自然科儀嚴密不謝佛教欲以爲非詎能離間先生曰道家因果老子不詮說在僞經靈寶之部事非道典迹是佛經靜文明潛爲盜竊前以具辯無事重秖如三籙明眞三元#塗炭自然竝出靈寶之文元非老莊之教明修靜等所造此事咸是僞修狀迹先彰不煩再釋但子仍惑須破積疑案僞靈寶齋儀云三籙者一者玉籙二者金籙三者黃籙玉籙者爲天子修之金籙者爲王公修之黃籙者爲庶人修之或拜日月精靈或拜星辰氣象或拜五嶽仙宮或拜四瀆水府叩頭乞哀搏頰祈福多料紋綵情規於財利廣支燈火意在於油燭相欺以妄行之于今與夫邪巫解禱有何殊異行邪求福神豈嚮諸自然塗炭咸此之類三元者上元中元下元月十五日爲上元七月十五日爲中十月十五日爲下元釋云上元日是天官挍計之日中元日是地官挍計之日下元日是水官挍計之日天地水三官挍計之日此天地水三官挍算功過之事竝是修靜等架虛矯立元無其事設使是實自是冥道鬼神之事鬼道所攝在於道士何得預焉又云此三日三官挍算人閒行業罪福之事故須設齋懺悔以滅其此益虛也撿尋老莊之文本無此竝出靈寶僞經且冥司之理嚴於俗法至如世諦法中凡人犯罪曾未發覺自首卽原事已彰露雖首不免若未三官校筭之日以前預建三元禮懺悔容其免罪至校計之日犯狀已顯罪發方懺此乃伏款希免其坐定不得原人閒麤淺尚不免罪冥道細密如何可赦虛有齋懺之文竟無免罪之理以妄行妄庸情不悟徒設嚴急之科諒無雪愆之益甄正論卷中丙午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7일법과 7야법으로 7일 밤낮이 아니다.
  2. 2)북두칠성의 자리 이름. 2째 3째 5째.
  3. 3)물고기의 눈은 구슬과 비슷하므로 속기 쉬움을 비유한 말이다.
  4. 4)『예기(禮記』「단궁상편(檀弓上篇)」에 공자가 “어젯밤 꿈에 두 기둥[兩楹] 사이에 앉아 궤향을 받는 꿈을 꾸었다.”고 한 뒤 7일 후에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