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十門辯惑論卷中 ...

ABC_IT_K1079_T_002
033_0135_a_01L십문변혹론 중권


석복례 지음
김두재 번역


6. 반경찬도문(反經贊道門)1)

【稽疑】 제바달다가 뒤에 여래(如來)가 된 것은 곧 보살이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찌하여 보살이면서 남에게 제 아비를 죽여 달라고 권유하였습니까? 만약 업장과 맞아 떨어져서 해한 것이라고 한다면 틀림없이 스스로 아사세왕을 해쳤어야 하는데 어째서 남에게 권유하기를 기다려서 해쳤으며, 만약 업장에 따라 해친 것이 아니라면 보살은 애초부터 해칠 마음이 없어야 하고 마땅히 남에게 권유하여 해치게 하지도 않았어야 할 것입니다. 성인의 설교(說敎)가 어찌 이 지경에 이르렀단 말입니까?
【辯惑】산이 스스로 높아진 것이 아니라 그렇게 높게 된 까닭은 못이 낮기 때문이요, 여름이 스스로 더운 것이 아니라 덥게 된 까닭은 겨울이 춥기 때문입니다.
그런 까닭에 물과 불이 서로 혁신(革新)시켜 변화가 생기고 소금과 매실이 서로 섞여서 공효(功效)가 나타납니다. 서로 섞여서 상대방을 달라지게 하였지만 공효가 되는 것은 크기가 같으며, 서로 혁신시켜서 상대방을 바꾸어 놓았지만 변화에 있어서는 모두 순종합니다.
그런 까닭에 가부(可否)는 서로를 구제하고 손익(損益)은 서로를 이루어 주어 그 길은 달라도 돌아가는 곳은 같으니, 어찌 이러한 길을 따르지 않겠습니까?
대체로 큰 방편을 지닌 보살은 생각할 수 없는 경지에 머물러 있어서 사물에 맞추어 노닐면서 사람들의 이해(利害)를 따라 방종한 마음을 움직이되 자기의 득실(得失)은 잊어버립니다. 남이 이익되는 일이라면 비록 자신이 손해가 되더라도 실천하고 남에게 해가 되는 일이라면 자기에게 아무리 이득이 있더라도 하지 않습니다.
큰 지혜[大智]는 마치 어리석은 듯하다는 말은 옳은 말이지만 반대가 되는 것 같아 이것을 보는 사람들은 비방하거나 헐뜯고 이 말을 듣는 이들은 의혹을 일으킵니다. 그렇다면 범부(凡夫)의 행위엔 착하지 못한 것과 착한 것이 있고 성인의 도(道)는 더러 거스르기도 하고 때로 순종하기도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범부의 행위는 좁아서 착하지 못하거나 착한 것으로 시대를 가르치기엔 부족하고, 성인의 도는 넓어서 거스르거나 순종하는 것으로 사물을 모두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 순응해서 사물을 바로잡아 주는 이는 문수(文殊)와 같은 분이요, 거슬러서 남을 바로잡는 이는 조달과 같은 무리입니다.
의혹이 되어 말하였습니다.
“순응하는 것으로 사람들을 교화한다는 것은 오래도록 그 말을 일삼아 왔거니와 거스르는 것으로 세속을 가르친다는 것은 들어왔던 것과 너무도 다릅니다. 모든 사람들에게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가르쳐 주시기 바랍니다.”
이에 대해 해석해 드리겠습니다.
“나를 흥기시키는 사람은 상(商)이구나”2)라고 공자가 말했습니다.
대체로 선(善)을 드러내서 악(惡)을 나타내고 악을 드러내서 선을 밝히는 것은 필연적인 분수요, 어그러뜨릴 수 없는 이치입니다. 그런 까닭에 성인이 권도(權道)를 써서 이미 악을 드러냈으므로 선은 저절로 밝혀지게 된 것입니다. 악함을 드러내어 사람들로 하여금 안으로 살피게 하고 선함을 밝혀 사물로 하여금 그와 같아지기를 생각하게 하는 것입니다.
착한 사람과 같아지기를 생각하게 하였으니 이미 선을 권장한 것이요, 안으로 살펴보게 하였으니 또한 악한 것을 지양시킨 것입니다. 순응해서 도를 널리 편 것도 지양하고 권장한 것이요 거슬러서 일을 시행한 것도 지양하고 권장한 것이니, 지양과 권장이 이미 고르게 되었으니 우열(優劣)을 얻을 수 있겠습니까?
사람들은 사리(師利)가 성인이라는 말을 듣고는 곧 머리를 땅에 대어 마음껏 공경했으나, 제바달다가 보살이라고 말하면 성이 나서 주먹을 불끈 쥔 채 마음을 평정하지 못하니, 이것은 아마도 조삼모사(朝三暮四)와 같은 것이요3) 또한 다섯은 알고 열은 모르는 것으로서 가히 교화를 받아들이는 사람이 될 뿐이니, 어찌 교화의 이치까지 아는 사람이라고 하겠습니까?
공자(孔子)가 말했습니다.
‘세 사람이 길을 가면 거기엔 틀림없이 나의 스승이 있을 것이다. 그 중 착한 사람을 선택하여 그를 따르고, 그 중 착하지 못한 사람을 보고는 스스로의 악을 고칠 수 있다.’4)
남의 선행을 보고 스승으로 삼는다는 이런 이치는 오래도록 드러날 것입니다. 중니(仲尼)가 이미 선(善)을 칭찬하여 사람들을 깨우쳐 주었다면 조달(調達)이 어찌 착하지 않은 방법을 썼겠습니까?
그런 까닭에 경에서 제바달다(提婆達多)를 선지식으로 삼았기 때문에 나로 하여금 육바라밀(六波羅蜜)을 구족하게 하였다고 말한 것이 바로 그 이치입니다.”
어떤 사람이 또 말하였습니다.
“도에 순응해서 선(善)을 권장하지 못한다면 반드시 정상적인 방법과 반대되는 것으로써 권장해야 할 것이요, 도를 순응해서 악을 지양시키지 못한다면 반드시 정상적인 방법과 반대로 하여 악을 지양시켜야 하겠지만, 지금은 순응하여 교화하는 것만으로도 이미 넉넉하거늘 어찌 반대되는 일로써 교화하려 합니까?”
이에 대해 해석하겠습니다.
“대체로 하늘과 땅은 덮어주고 실어주며 4계절은 만물을 생성(生成)시킵니다. 여름의 기운이 장성하면 언덕의 보리가 시들해지고, 가을바람이 서늘해지면 바위틈의 계수나무가 더욱 향기를 풍깁니다. 봄날이 더디 온다고 해서 국화꽃을 오래도록 피어 있게 할 수는 없고, 겨울 서리가 매섭게 춥다고 해서 어찌 소나무의 절개를 꺾어 흔들어 부러지게 할 수 있겠습니까?
대체로 크게 불쌍히 여기는 마음으로 사물을 운용하는 것은 하늘과 땅이 덮어주고 실어주는 것과 같으며, 기미를 인(因)하여 교화를 베푸는 것은 4계절이 생성시켜주는 것과 같으나 품성(稟性)으로 깨닫는 정도가 각기 달라서 여러 가지 사물이 번영하고 시드는 것과 비슷한 것입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비유를 인하여 이해할 수 있어서 거의 얕음을 따라 깊은 데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또 말하였습니다.
“악한 짓을 하여 사람들을 교화할 수 있다고 한다면 악한 사람이 악한 짓을 해도 역시 교화할 수 있겠습니까? 악한 사람이 이미 교화시킬 수 있다면 어찌하여 착한 사람을 이용해서 교화하였겠습니까?”
이에 대해 해석하겠습니다.
“악한 사람이 역죄를 지으면 결과가 혹 먼 훗날에 나타나게 되어 받아들이지 않겠지만, 대사(大士:菩薩)가 방편을 행하면 과보가 당장에 나타나 틀림없이 징험이 있을 것입니다. 당장에 나타나면 이는 반드시 볼 수 있어서 사물이 이를 두려워하고 무서워하여 능히 고치겠지만 먼 훗날에 나타난다면 기억이 어둡고 막막하여 알기 어려우므로 사람들이 요행히 면하기를 기대할 것입니다. 그런 까닭에 악한 사람은 남을 교화할 수 없으며, 반드시 큰 방편[大權]을 기다려서야 교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조달이 처음부터 끝까지 행한 일들은 방편과 실제를 다 함께 분별할 수 있는 것이니, 그런 까닭에 경전에서 ‘악한 친구는 마치 이 방편이라는 이름과 같다’고 하였습니다.
논(論)에 이르기를 ‘대빈(大賓)이 비로소 실제가 된다’ 하였습니다. 그런 까닭에 영취산(靈鷲山) 회상에서 천왕(天王)에게 십호(十號)의 존칭으로 수기(授記)하셨고, 『내국경(柰國經)』에서는 지옥(地獄)을 삼선(三禪)의 즐거움에 견주어 말했습니다. 지극한 어짐[至仁]이 버려지지 않았으니 마땅히 영숙(穎叔)5)과 동일하고, 작은 악함도 범함이 없었으니 어찌 반숭(潘崇)6)이 되겠습니까? 부왕(父王)의 정해진 업이 바뀌지 않음으로 인하여 기어이 그의 반역을 당하게 되었으니 부처님 제자가 그것으로 인하여 권유한 것이 있었으며, 그가 재앙을 당하는 것을 보여주었으니 이것은 실상입니다. 일찍이 사람에게 권유하지 않았다면 방편이었다고 하겠지만 사람을 시켜 권유함을 보였고 이미 사람을 시켜 권유한 것을 보았다면 또한 사람으로 하여금 재앙을 당하는 것도 보게 한 것입니다. 재앙이 권유에서 생겨난 것이니, 권유함을 중지하면 재앙도 쉬어질 것입니다. 권유하였기 때문에 재앙을 두려워하는 것을 보았다면 재앙이 두려워서라도 권유를 중지했어야 할 것이므로 이것은 조달의 권유이지 사람을 시켜 권유한 것이 아닙니다. 사람을 시켜서 권유한 것이 아닌 까닭에 권유는 곧 권유이면서 권유하지 않은 것이 됩니다. 방편으로 권한 것은 오히려 권한 것이 아니니 실제로 권유함이 없었다면 어떻게 권유함이 있을 수 있겠습니까, 이것은 바로 석류(錫類)7)의 뜻이 본래 온전한 것이요 동악(同惡)8)의 의심이 풀릴 만한 것입니다. 인(仁)하다 해서 돌이킬 수 있다면 네 사람 모두를 스승으로 삼을 만하고 행할 수 없는 도를 행할 수 있다면 일승(一乘)을 타고 통달할 것이다. 자하(子夏)도 이미 묵묵히 알았거늘 사리(師利)가 일찍이 무엇 때문에 의심하였겠습니까? 굳기가 돌 같거니, 어찌 종일토록 기다리겠습니까.”

7. 관업구사문(觀業救捨門)9)

【稽疑】 빈바사라(頻婆娑羅)왕이 먼저 부처님을 공양하였었는데 부처님께서 위제희(韋提希:빈바사라 왕후) 부인을 보았을 때는 빈바사리왕은 유폐(幽廢)되어 있었지만 아직 죽지는 않았습니다.
부처님의 크게 자비한 신통력으로는 겨자[芥子]에도 오히려 수미산(須彌山)을 받아들일 수 있다고 하던데 어째서 빈바사라왕을 구제하지 않고 그로 하여금 해를 당하게 하였으며, 아사세(阿闍世)왕에 이르러서는 종창이 생겼을 때 특별히 신비한 광명을 비추어 주셨고 장차 지옥으로 들어가야 할 사람을 마침내 목숨을 늘려주셨으니, 역자(逆子)에겐 어째서 다행스럽게도 유독 목숨을 늘려 주었으며 어진 아비[賢父]에게는 어째서 그렇게도 유독 목숨을 늘려주지 않았습니까?
오직 빈바사라왕은 과(果)을 증득한 어진 왕이니 마땅히 구원해 주어야 하는 데도 구원해 주지 않았고, 아사세왕은 적신(賊臣)이며 역자(逆子)이니 마땅히 구원해 주지 않아야 하는데도 구원해 주었습니다. 무엇을 가지고 장래 사람들을 권장할 것이며 무엇으로써 사람들에게 보이렵니까? 전복되어 부지하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저 아들이 아비를 마음대로 죽이는 것을 두고 부처님께서는 무엇을 하셨습니까?
【辯惑】대체로 업장[業]의 이치는 참으로 큽니다. 너무 심오하여 예측할 수도 없고 넓어서 끝을 다할 수도 없습니다. 또 너무도 작고 미세하며 면면(綿綿)한 조화의 소식입니다. 형상이 없어 보이지도 않으며 소리가 없어 들리지도 않습니다. 형상도 없고 소리도 없는 가운데에서 중생[庶類]들이 생겨나는데 생(生)의 궁극을 명(命)이라 말하고 습기[習]가 이루어지면 성품[性]이라고 말합니다.
그 본체는 없는 것 같으면서 있고 그 작용은 빠르지 않은 것 같으면서도 빠릅니다. 바야흐로 오면 물리칠 수 없고 또한 떠나가면 머물게 할 수도 없습니다.
천지(天地)의 넓음과 음양(陰陽)의 신령함[靈]과 같은 데에 이르러서는 해와 달이 위에서 곧게 비추고 아래에서는 산천(山川)의 기강이 잘 다스려져 있습니다. 또 어둡고 밝은 것이 다르게 성립되는 것을 세상 물정이라 하고 동물과 식물이 길은 다르지만 널리 퍼져 있는 것을 사람들은 모두 보면서도 그렇게 된 까닭을 알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혹은 자연(自然)에서 미루어 보기도 하고 더러는 조화(造化)에 붙여 보기도 하며, 혹은 애초에 원기(元氣)에서 생겼다고 말하기도 하고 더러는 반고(盤古:太古)에서부터 점점 자라난 것이라고 말하기도 하며, 혹은 중간에 신(神)과 내[我]가 있고 곁에서 숱한 물질이 생겨났다고 말하기도 하고, 더러는 위에 범천(梵天)이 있고 아래에는 군류(群類:萬物)가 있다고 고집하기도 하며, 혹은 어두운 것이 자성(自性)이 되어 형상이 없는 것을 따라 형상이 있는 것으로 변한다고 말하기도 하고, 더러는 본체는 곧 미세한 티끌로서 변화하지 않는 것을 따라서 변화하는 것을 만들어 낸다고 헤아리기도 하니, 이것은 다 그 근본은 잃어버리고 그 말단에서 혼미해진 까닭이요, 그 근원에 대해서 깜깜하고 그 말류(末流)에 미혹된 탓입니다.
그런 까닭에 다른 견해들이 어지럽게 치달리고 다른 감정이 다투어 일어나는 것이니, 어찌 업(業)으로 인하여 마음이 일어나고 마음은 업의 작용이 된다는 것을 알겠습니까?
업이 마음을 이끌어서 형체를 받고 마음은 업을 따라서 경계를 만드니 6도(道)에 오르내리면서 재료를 만들면서도 뛰어넘지 못하고, 이의(二儀:하늘과 땅)에 오르내리면서 이렇게 쪼개지고 나누어졌습니다.
그렇다면 업을 인하여 몸을 받고 몸은 다시 업을 지으며, 마음을 따라서 경계를 만들고 경계는 다시 마음을 내어 시작도 없고 끝남도 없으니, 비유하면 돌고 도는 수레바퀴와 같아서 공(空)한 것도 아니요 존재하는 것도 아니어서 비유하면 환화(幻化)와 같은 것입니다.
사생(四生:胎ㆍ卵ㆍ濕ㆍ化)은 쉽게 늘어나고 삼계(三界:欲界ㆍ色界ㆍ無色界)는 근본으로 돌아가기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업(業)은 선과 악으로 나뉘어 흐르고 보(報)는 괴로움과 즐거움으로 다르게 나타납니다. 선행을 쌓으면 경사스러운 일을 남기나니 선행을 하면 그 때문에 즐거움이 이르고, 악행을 쌓으면 재앙을 남기나니 악한 짓을 하면 그 때문에 괴로움이 쌓이기 마련입니다.
마치 그림자가 형체를 따라 굽게 나타나거나 곧게 나타나는 것과 같아서 아무리 이주(離朱:離婁)10) 같은 사람이 먹줄로 바로잡으려 해도 그 정확함에는 비교할 수 없으며, 메아리가 소리를 따라서 크고 작아지는 것과 같아서 아무리 사광(師曠)11) 같은 사람이 거문고의 줄을 고른다 해도 그 균등함에는 비유할 수가 없습니다.
형상이 곧은데 그림자가 기울어진 것은 보지 못했으니 어찌 선행을 닦는 데에 괴로운 과보가 있겠으며, 소리가 작은데 메아리가 들려왔다는 말은 듣지 못했으니 어찌 악업을 이루고서도 즐거운 과보가 있겠습니까? 또한 밭을 힘써 가꾸면 곡식이 밭에 가득하고 농부가 때를 어기면 가시가 들에 널려있게 됨과 같아서 가령 밭을 가는데 그 일을 경솔하게 하거나 김을 매는데 그 업을 멸렬(滅裂)하면 피나 강아지풀 같은 잡초가 없기를 바라지만 마당과 같아지고 언덕처럼 될 것이니, 물속에서 벽려(薜荔)를 캐고 나뭇가지에서 부용(芙蓉)을 따려는 행위와 같게 됩니다.
어떤 사람이 말하였습니다.
“선(善)은 복의 시작이 되고 악(惡)은 바로 죄의 근원이 됨이 마치 그림자나 메아리가 어김이 없는 것과 같고, 밭 갈고 김매면 보답이 따르는 것 같다고 하니 공경하여 명을 받들겠습니다. 그런데 어째서 빈바사라왕은 착한 일을 했는데도 거꾸로 화(禍)를 당해 죽었으며, 아사세왕은 악함을 쌓았는데도 그로 인하여 복을 받았습니까?”
이에 대해 해석하겠습니다.
“이 얼마나 훌륭한가? 그대의 질문이여, 그대는 업(業)을 지으면 과보[報報)가 있다는 말만 들었지 과보에는 시기가 있다는 말은 듣지 못했군요.
대체로 업에 과보가 감응하는 데에는 세 가지 때가 있어서 그 시기가 같지 않습니다. 현보업(見報業)이 있나니 이 몸이 업을 짓고 바로 그 몸이 받는 것이요, 생보업(生報業)이 있나니 지금의 몸이 업을 지어서 다음 생에 받게 되는 것이며, 후보업(後報業)이 있나니 이 생에서 미처 다 받지 못한 것을 후후생(後後生)에 마침내 받게 되는 것입니다. 맨 처음 것은 벼나 콩의 종류와 같으니 시간이 지나면 곧 익게 마련이고, 다음은 보리와 밀 같은 곡식이니 해가 바뀌어야 비로소 익게 되며, 마지막은 복숭아와 자두 같은 것이라서 여러 해가 물러가야 마침내 열매가 맺는 것과 같습니다.
그런 까닭에 옛날엔 부지런했으나 지금은 게으른12) 사람은 들에는 거두어들일 가을 곡식이 없으나 집안에는 해마다 쌓아두었던 곡식이 가득하며, 예전엔 게을렀으나 지금 부지런한 사람은 아침엔 몇 알의 양식도 없으나 저녁엔 양식이 남아 비축할 수 있으니, 어찌 부지런한 사람의 부족함을 보고서 저렇게 부족한 까닭은 예전에 게을러서가 아니다 라고 말할 수 있겠으며, 게으른 사람이 넉넉한 것을 보고 이렇게 넉넉한 것이 예전에 부지런해서가 아니다 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형상으로써 그 뜻을 거듭 펴주기를 바라기에 다시 일을 빌어 그 이치를 밝히겠습니다.
어떤 두 사람이 서로 이웃에 살면서 집을 지은 일이 있는데 한 사람은 먼저는 기술이 부족했지만 뒤에는 솜씨가 좋아졌고, 다른 한 사람은 먼저는 기술이 좋았으나 나중엔 그 솜씨가 사라졌다고 합시다. 먼저 기술이 부족했던 사람은 집을 너무 누추하게 짓고 그 안에 기거하면서 기술을 익혀서 기술이 이루어지자 솜씨가 좀 더 좋아지기를 생각하였고 이미 솜씨가 좋아져서는 그 졸렬했던 모습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으며, 먼저 솜씨가 훌륭했던 사람은 집을 아주 정갈하게 짓고 그 안에 살면서 스스로 제 몸만 보양하였고 보양이 지나쳐 본업을 그만두었으며 이미 본업을 그만두고 나서는 그 솜씨마저 잃어버렸다고 합시다.
아무리 그 솜씨를 잃어버렸다고 해도 그 집은 오히려 정밀하고, 비록 그 졸렬함이 바뀌었다고는 하지만 그 거처는 오히려 누추합니다. 세월의 차례가 면면히 옮겨가고 비바람이 몰아쳐 오래된 집이 이미 무너지고 마침내 새로 집을 짓는데 이르러서는 곧 솜씨 좋은 이와 졸렬했던 사람이 세운 것은 정밀하고 누추함이 다시 뒤바뀔 것입니다.
이로 인하여 이야기하면 몸이란 마음의 집이요, 업(業)의 과보[果]입니다. 업이란 마음의 작용이요 몸의 원인[因]입니다. 솜씨 좋은 이와 졸렬한 이가 서로 교체된 것은 선과 악을 다시 익힌 것에 해당하고 옛 집을 새로 얽어 지은 것은 전생의 몸이 후세에 태어난 것입니다.
빈바(頻婆)왕은 비록 지금은 실수한 행실이 없지만 예전에 착하지 못한 업이 있었고, 아사세(阿闍世)왕은 비록 현재에는 악한 사람으로 보이지만 과거엔 착한 업을 닦았던 것입니다. 착하지 않았던 까닭에 재앙을 만나고 착한 업을 닦았던 까닭에 수명이 연장된 것이니 그 이치를 잘 살펴보면 무슨 괴상함이 많겠습니까?”
보내온 편지에 논란하여 말하였습니다.
“부처님께선 크게 자비한 신통력으로써 겨자씨에도 오히려 수미산을 받아들일 수 있다고 하는데 어째서 빈바왕을 구제하지 못하여 그로 하여금 살해당하게 하셨습니까?”
이에 대해 해석하겠습니다.
“대체로 업장엔 결정된 것이 있고 결정되지 않은 것이 있습니다. 결정되지 않은 것은 쉽게 바꿀 수 있어서 그 업장을 없앨 수 있지만 결정된 것은 바꾸기 어려워서 그 과보를 꼭 받아야만 합니다.
빈바왕의 경우는 결정된 업장이었으니 어떻게 구제할 수 있었겠습니까? 그런 까닭에 훌륭한 의원이라도 수명이 다한 사람을 고칠 수는 없고, 자비로운 어머니라 해도 구금(口噤)병이 든 자식에겐 젖을 먹일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사람에겐 업이 있고 물질에는 마음이 없으니 마음이 없으면 내 마음이 능히 제어할 수 있어서 큰 산도 때로는 작은 곳에 들어가게 할 수 있으며 업이 있으면 그 업장이 주인이 되어 명이 짧아도 늘여서 오래 살게 할 수 없습니다.
지금 곧 마음이 없는 것으로서 마음 있는 것에 예를 들고 업장이 있는 것을 가지고 업장이 없는 것과 같게 하려고 하니 북쪽으로 가려는 수레가 남쪽으로 가는 것과 같아 서로의 거리가 또한 점점 멀어지지 않겠습니까?”
또 말하였습니다.
“역자(逆子)에 대해서는 어찌 다행하게도 유독 목숨을 늘여주었으며, 어진 아비에 대해서는 어찌 불행하게도 유독 목숨을 늘려주지 못했습니까?”
이에 대해 해석하겠습니다.
“『열반경(涅槃經)』을 상고해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빈바사라왕이 비부라산(毘富羅山)에 가서 유행(遊行)하면서 활 쏘고 사냥할 적에 넓은 들판을 두루 돌아다녔으나 하나도 얻은 것이 없었으며, 오직 한 신선을 보았는데 다섯 가지 신통을 구족하고 있었다. 곧바로 측근 신하들에게 칙명을 내려 그를 죽이게 하였더니, 그 신선이 맹세하여 말하기를 ‘나도 미래에 또한 마땅히 이와 같이 네 목숨을 해치겠노라’고 하였다.”
또 경에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아사세왕에게 ‘당신은 옛날에 이미 비바시(毘婆尸)부처님에게서 처음으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의 마음을 내었었습니다’ 고 말씀하셨다.”
이것에 대하여 가만히 생각건대 마음이 치달려서 발광(發狂)하거나 방자하고 사납게 다섯 가지 신통력으로 크게 행동하였으나, 일곱 부처님이 계시던 초기에 그러한 행동을 그치고 마음을 돌렸습니다. 혹은 과거의 선행을 잃지 않고 참회하였으므로 수명이 늘어나게 되었고 혹은 남은 재앙이 다 사라지지 않아서 살역(殺逆)을 당하여 비명(非命)에 죽게도 된 것입니다. 비명에 죽은 것은 방자하고 사나웠기 때문이니, 어찌 이것을 아무 허물도 없으므로 수명을 늘려야 한다고 하겠습니까? 처음에 마음을 귀의하였으나 어찌 다행스러움이 있다고 말하겠습니까?
바라노니 세 가지 과보의 이치를 따라13) 마땅히 한 구석의 의혹을 돌이키십시오.
또 말하였습니다.
“빈바사라는 과(果)를 증득한 어진 왕이니 마땅히 구제해야 할 터인데도 구제해주지 않았고, 아사세왕은 적신(賊臣)이요 역자(逆子)이니 구제해 주지않는 것이 당연하건만 구제해 주었습니까?”
이에 대해 해석하겠습니다.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에서 말하기를 “빈바사라는 일곱 겹이나 되는 실내(室內)에 유폐(幽閉)되었는데도 스스로 그 안에서 증득해 나아가서 아나함(阿那含)을 이루었다” 하였으며, 아울러 여러 경론에 말하기를“아나함은 불환(不還)이라고 말한다. 다시는 욕계(欲界)에 환생(還生)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였습니다.
『열반경』에서 말하기를 “아사세왕은 오직 현재만 보고 미래는 보지 못하였으므로 부왕에게 아무 허물도 없는데 제멋대로 역해(逆害)를 가하였기 때문에 마음에 후회와 번뇌를 일으켜 온몸에 종창[瘡]이 생겼다”고 하였으며, 또 이르기를 “만약 기바(耆婆)의 말을 따르고 순종하지 않으면 다음 달 7일에 아비지옥(阿鼻地獄)에 떨어질 것이다” 하였습니다.
대체로 남몰래 울분을 품었으나 최상의 과위에 오르면 비록 겉모습은 흉하지만 안으로는 길(吉)하며, 눈이 어두워져도 하열한 세계를 초월하면 비록 이름은 죽었다고 해도 실상은 산 것이니 구제해 주면 곧 도리어 손해를 끼지는 것이 되고 그대로 맡겨두면 저절로 유익하게 될 것입니다.
몸에 종기가 나고 마음에 번열이 생겨 회향(廻向)할 길을 모르거나 업장이 깊고 과보가 가까이 다가와 장차 니리(泥犁:地獄)의 성에 떨어질 지경 같은 데에 이르러서는 구제해 주면 이익이 되지만 방임해 버리면 손해가 됩니다. 이것이 곧 관찰해 보고 꼭 구제해 주어야 할 것이면 구제해 주어서 이익이 되게 하고, 관찰해 보아 마땅히 버려야 할 것이면 버려서 이익이 되게 하는 것이거늘 그대는 ‘꼭 구제해 주어야 할 일인데 구제해 주지 않고 구제해 주시 않아야 할 것인데 구제해 주었느냐?’고 말하였으니, 성인의 마음이 아무리 미묘하다 하지만 그것을 아는 데에 어찌 걸림이 있겠습니까? 그러나 결정된 과보는 받아야 하고 바꿀 수 없으며 업은 범하기 어려운 것이 분명하지만 중한 죄는 뉘우치면 가벼워지고 행동은 바꿀 수 있음이 분명합니다.
행동은 고칠 수가 있으므로 악한 사람이 선으로 옮길 때에는 일을 시작할 때처럼 하고, 업은 범하기 어려우므로 착한 사람이 악행을 멈출 때에는 끓는 물을 만지듯이 해야 합니다. 악을 지양하고 선을 행하면 부끄러운 마음이 이르게 되리니, 이것은 대개 덕으로 인도해야지 어떻게 형벌을 가하여 가지런하게 되겠습니까?
부자(父子)가 모두 이미 도에 진입하였으니, 어떻게 거꾸로 된 것을 잡아주지 않겠습니까? 또 어질고 어리석은 이가 모두 교화를 따르는데, 어떻게 와서 권유하지 않겠습니까? 나를 알아주는 이가 드물면 나는 귀한 사람일터이니, 그 이치가 또한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

8. 수교억양문(隨敎抑揚門)14)

【稽疑】 열반장문(涅槃章門)에서 여러 품(品)을 총괄하면서 『열반경』을 의지하지 않고서는 도저히 부처가 되기 어렵다고 해놓고 공덕(功德)을 찬양하는 곳에서는 어째서 『반야경(般若經)』과 『법화경(法華經)』보다 가볍게 여겼습니까? 만약 『반야경』에서 집착을 버려야 한다고 했기 때문에 우월하다고 한다면 『열반경』에서는 반 게(半偈)를 위하여 몸까지 버렸는데,15) 어째서 『반야경』만 못하단 말입니까? 만약 『법화경』이 대승(大乘)을 증득할 수 있어서 우월하다고 한다면 『열반경』은 크게 공(空)한 것으로써 그 문을 삼았는데 어떻게 『법화경』보다 열등하단 말입니까? 법문(法門)은 둘이 아니거늘 어째서 둘이라고 합니까?
【辯惑】진신(眞身)은 적정(寂靜)한 것인데 어찌 언설(言說)이 존재할 것이며, 지극한 이치는 희미(希微)한 것이라서 본래 성품[性]과 모양[相]이 없습니다.
비록 언설이 없다지만 언설의 도리를 어기지 아니하며, 아무리 성품과 모양이 없다 해도 성품과 모양의 요체[津]가 됩니다.
비유컨대 밝은 거울은 아무 작용도 없지만 형제가 오면 그 형상이 나타나며, 깊은 골짜기는 흔들리지 않지만 소리가 미치면 메아리가 가득 찹니다.
그렇다면 많은 소리는 들쭉날쭉 같지 않지만 골짜기가 없으면 메아리가 이를 수 없으며, 모든 물질이 끊임없이 오고 가지만 거울이 없으면 어떻게 그 형상을 나타내겠습니까?
그런 까닭에 형체와 소리는 느낌[感]이 되고 거울과 골짜기는 호응[應]함이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감응(感應)이 한 번 무너지면 보고 듣는 것도 아울러 잃게 됩니다.
가만히 생각해 보건대 여래는 무연대자(無緣大慈:평등한 대자비)가 있으신 분이시니 부사의한 큰 원[弘願]은 맑은 거울과 깊숙한 골짜기와 같고, 중생은 훈습(熏習)의 종자가 있으니 보리의 마음을 내는 것은 마치 여러 가지 형제나 많은 소리와 같은 것입니다.
옥호(玉毫)가 밝으셔서 32상(相)이 나타난 것은 거울 속의 형상과 같은 것이요, 금구(金口)를 열어서 12부(部) 경전을 펴신 것은 골짜기 속의 메아리와 같은 것입니다. 바라원(波羅苑) 안에서 고(苦)ㆍ집(集)ㆍ멸(滅)ㆍ도(道)를 밝힌 것에서부터 견고림(堅固林)에서 상(常)ㆍ낙(樂)ㆍ아(我)ㆍ정(淨)을 설하신 때까지 그 사이에 8장(藏:불법을 8종으로 나눈 것)을 다 열었고 삼승(三乘)이 다투어 치달렸습니다.
감로(甘露)의 맛은 다르지 않고 대운(大雲)의 윤택함도 구별이 없으나 작은 풀과 큰 풀이 받는 것에는 적고 많음이 있으며 인연 있는 이와 인연 없는 이가 복종함에는 삶과 죽음이 있습니다. 점돈(漸頓:점교와 돈교)에 어느덧 백 가지 생각이 따르고 반만(半滿:소승과 대승) 때문에 여러 문이 생겨납니다. 그러나 본래 그 근원에 있어서는 일치(一致)하지 않음이 없으니, 그런 까닭에 그 근본으로부터 관찰해 보면 스러져서[泯然] 평등하며 끝에서부터 관찰해 보면 들쭉날쭉 무성하여[森然] 동일하지 않습니다.
동일하지 않는 까닭에 각각의 이해가 다르고 평등한 까닭에 하나의 소리입니다. 하나의 소리이기 때문에 법문은 둘이 아니며, 이해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가르침의 흔적은 하나가 아닙니다.
6도(度:육바라밀)의 법을 연설하고 사절(四絶:四句分別)의 이치를 말씀하신 일 같은 것도 곧 유(有)로써 공(空)을 밝힌 것이고, 그 공에 의지하여 행(行)을 일으키신 것입니다. 이것이 반야의 이치입니다.
일곱 가지 비유를 들어 밝히고 세 가지 법의 평등함을 밝힌 것과 같은 것은 두 가지를 깨뜨려서 하나에 돌아가게 한 것이며 작은 것을 돌이켜 큰 것을 따르게 한 것입니다. 이것이 법화의 취지입니다
삼점(三點:法身ㆍ般若ㆍ解脫)의 오묘함을 널리 말하고 사덕(四德:常ㆍ樂ㆍ我ㆍ淨)의 미묘함을 열은 것과 같은 것은 다른 손님이 그 집안의 보배를 꺼내오고 새내기 의사가 오래된 젖[乳]을 사용한 것이니 이것이 열반의 이치입니다.
이런 것들은 모두 대승의 비밀한 창고[府]이며 방등(方等)의 미묘한 문이니 현성(賢聖)이 우러러 멈추는 높은 산이요 경론(經論)의 조종(朝宗)이 되는 거대한 바다입니다. 이것을 증득한 사람은 모두 먼 경지에 이를 수 있지만 그것을 잃어버린 사람이라면 어찌 진흙탕에서 벗어날 수 있겠습니까?
아까 보낸 편지에 논하여 말하기를 “『열반경』을 의지하지 않으면 부처를 이루기 어렵다”고 하였는데, 그렇다면 어지신 그대는 『법화경』이나 『반야경』을 의지하지 않고도 부처를 이룰 수 있다고 말하려고 한 것입니까?
그렇다면 『법화경』은 바로 모든 경전의 왕이요 『반야경』은 모든 부처님의 어머니인데, 누가 어미도 없이 자식을 잉태하는 것을 보았으며 왕 없이도 사람을 통솔하는 것을 보았다고 하십니까? 우세하고 하열함이 없는 이치를 단연코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보낸 편지에 논하여 말하기를, “무슨 까닭에 공덕을 찬양하는 곳에서 『반야경』이나 『법화경』보다 가볍게 다루었느냐?”고 하였습니다.
대체로 때를 따른다는 이치는 바뀌는 사물에 그 항상함을 지키지는 말고 오직 알맞은 것을 따라 변해야 하며, 취하거나 버림에 있어서는 올바른 견해를 갖는 것이 반드시 귀하니, 그래서 화타[和:華陀]16)와 편작[扁:扁鵲]17)은 병에 따라서 약을 주고, 공수자[班:公輸子]18)와 공공[倕:共工]19)은 사물에 따라 기술을 베풀었으니 어찌 춥고 더운 것이 변하지 않으며 규구(規矩)에 항상함이 있겠습니까? 더구나 쓰인 글[成文]을 자세히 살펴보건대, 당신의 주장과 다름이 있는 것이겠습니까?
경에 이르기를 “상어(上語)도 또한 훌륭하고 중하(中下)도 또한 훌륭하여 금강(金剛) 보배의 창고가 만족하여 결함이 없다”고 하였고, 또 이르기를 “모든 약 가운데 제호(醍醐)가 제일인 것과 같다”고 하였으며, 또 이르기를 “마치 해가 솟아올라서 1천 광명(光明)을 뿜어내는 것과 같다”고 하였고, 또 이르기를 “비유하면 숱한 냇물이 모두 바다로 돌아가는 것과 같다”고 하였으며, 또 이르기를 “이 경전을 수행하면 곧바로 열 가지 일의 공덕을 구족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대체로 나눠진 흐름[分流:支流]은 험난함을 시설하였으나 바다는 온갖 골짜기의 왕이 되고 늘어선 별들[列曜]이 문채를 이루지만 해가 하늘에서 삼광(三光)의 주인이 되며 금강(金剛)은 보배 중에 제일이요 제호(醍醐)는 약 가운데 최상이듯이 세 경전의 말씀이 모두 훌륭하니 어느 글귀의 뜻이 현묘하지 않겠으며, 열 가지 일을 성취하게 되니 무슨 공업(功業)인들 갖추어지지 않았겠습니까?
그 비흥(比興)이 저와 같고 저 칭양(稱揚)이 이와 같아서 고요하면서도 자세히 헤아렸고 진실하면서도 이미 경솔하지 않습니다. 하물며 『열반경』과 같이 범본(梵本)의 게송이 3만을 넘었건만 진단(震旦)에서 번역한 것은 겨우 십천(十千)만을 내놓아 법의 거울을 열었으나 온전하지 못하고 현묘한 구슬을 얻었으나 겨우 반밖에 되지 않음이겠습니까?
의혹하여 말하였습니다.
“가르침의 자취가 하나가 아닌데 법문(法門)은 둘이 아니라고 하면서 공덕(功德)의 유무(有無)를 분별하고, 경본(經本)의 광략(廣略)을 밝히는 데 있어서는 이연(怡然)히 이치를 따른 것이라고만 하였습니다. 다만 높고 낮아 서로 기울고, 길고 짧아 서로 형상이 다를 뿐이라고 한다면, 이미 『법화경』에서 이 경이 제일이라고 하였는데 다른 경전은 그 다음이 아니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열반경』에서 이 경이 가장 뛰어나다고 하였으니, 다른 경전은 낮고 열등하지 않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반야경』에서 이 법문은 불가사의(不可思議)하다고 하였으니, 다른 법문은 사의(思議)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이 뜻이 분명하지 못하여 앞에 생겼던 의혹이 다시 떨쳐 일어납니다.”
이에 대하여 해석하겠습니다.
“대체로 큰 냇물을 건너는 데 필요한 것은 배와 노가 제일이요, 넓은 대륙을 싣고 치달리기에는 수레와 말이 제일이며, 기거하는 데 편안한 것은 궁실이나 사관(寺觀)이 제일입니다.
아무리 물과 육지의 위치가 다르고 동정(動靜)에 적당한 곳이 다르다지만 온 나라가 한 사람에 그치는 것이 아니요, 구주(九州)가 한 지역에 그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런 까닭에 찬란한 배[畫艗]20)와 좋은 노가 두루 흘러내려도 그치게 할 수 없고 등구(騰駒)처럼 아름다운 수레가 치달려도 그치게 할 수 없으며 치봉(跱鳳)처럼 화려한 거처에 기거해도 어찌 폐지할 수 있겠습니까? 이것은 곧 배와 노가 일찍이 최고가 되지 않음이 없고 수레와 말도 일찍이 제일이 되지 않음이 없으며 궁실과 사관이 일찍이 최고가 되지 않음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물가 마을[水鄕]에 국한된 사람은 수레를 얻으면 곧 깨지고 오로지 산과 들판에서만 사는 사람은 배를 주면 곧 쪼개버리고 맙니다. 몸이 마루를 내려가지 않는 사람은 배와 수레가 쓸모가 있다고 말하지 않으며, 마음으로 힘쓰고 수행에 매진하는 사람은 큰 동량의 집이 적절한 것임을 알지 못하나니, 이와 같은 사람과 어찌 함께 도에 대해 말할 수 있겠습니까?
공자가 말하기를 ‘사람에게 친애(親愛)를 가르치는 데에는 효도보다 더 좋은 것이 없고 사람에게 예순(禮順)을 가르치는 데에는 공경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21)라고 하였고, 또 말하기를 ‘법상(法象)은 천지(天地)보다 더 큰 것이 없고 저명(著明)엔 해와 달보다 더 큰 것이 없다’22)고 하였으니, 이 또한 각각 그 이치를 따라서 그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고들 말하고 또한 보다 더 큰 것이 없다고 말한 것입니다.
모든 경전에서 제일이라고 말하는 것은 아마도 이러한 유(類)를 따라 가다보면 명백해질 것입니다.”
033_0135_a_01L十門辯惑論卷中 集大慈恩寺沙門釋 復禮 撰反經贊道門第六稽疑曰提婆達多後爲如來者則是菩薩也豈有菩薩而勸人害父乎業合害者闍王必應自害何爲待勸而害也若業非害者菩薩初無害心不應勸人令害也聖人設教何至斯哉辯惑曰山非自高所以高者澤下夏非自暑所以暑者冬寒故水火相革而變生鹽梅相糅而功著相糅也者相異也爲功則大同相革也者相反也在變則咸順故可否相濟損益相成殊途而同歸何莫由斯道詳夫大權菩薩住不思議應物而遊從人之利害放情而動忘己之得失人之利矣己雖失而行之人之害矣己雖得而違之而大智若愚正言似反之者誹毀聞之者聽瑩然則凡夫之有否有臧聖人之道或逆或順夫之行褊否臧不足以訓時聖人之道弘逆順咸可以匠物順而匠物文殊之等也逆而匠物者調達之流也惑曰順以化人久事斯語逆而教俗深異所聞將以書紳希更指掌釋曰起予者商也聊爲子言之夫善著則顯惡惡著則明善必然之分理不忒故聖人之用權道也惡旣著善自明矣惡著俾人之內省善明使物之思齊思齊旣可以勸善內省又可以止惡順而弘道者亦以止勸也逆而行事者亦以止勸也止勸旣均矣優劣可得乎而人聞師利是聖人扣頭申敬謂達多爲菩薩卽扼腕不斯蓋朝三暮四識五迷十可爲受化之人耳安知爲化之理哉孔子曰三人行必有我師焉擇其善者而從之其不善者而改之人善爲師理久著仲尼旣稱善誘矣調達何用不臧耶故經云由提婆達多善知識故令我具足六波羅蜜卽其義也惑人又曰若順道不能勸善也可須反經以勸之順道不能止惡也可須反經以止之今順而爲化旣足矣何用反而爲化乎釋曰夫二儀覆載四序生成夏氣長羸隴麥以之憔悴秋風凄緊巖桂以之芳菲春日遲遲未可使菊華榮曜冬霜凛凛詎能遣松貞搖落惟夫大悲運物若兩儀之覆載因機設教猶四序之生成稟悟各殊似數物之榮悴智者因喩而得解庶幾沿淺及深乎又曰爲惡可以化人者人爲惡亦化乎惡人若已能化者用善人爲化乎釋曰惡人爲逆果或賖而未受大士行權報在今而必驗今則斯須可睹物恐怖而能悛賖則冥寞難知人僥倖而冀免故惡人不足以化物必俟大權爲化焉然調達始終行事權實雙辯經云惡友猶是權名論曰大賓方爲實稱故鷲山會上天王記十號之尊奈國經中地獄比三禪之樂至仁不遺應同穎叔惡無犯豈作潘崇固以父王定業移必遇其逆佛弟因之有勸示受其殃實也未始勸人權也令人見勸旣令人見勸也亦令人見殃也殃生於勸勸止則殃息見勸故怖殃怖殃而止勸斯則調達之勸欲令人不勸耳令不勸故勸則勸爲不勸乎權有勸尚爲不勸實無勸安得有勸哉此迺錫類之義本全同惡之疑可息仁而能反兼四子以爲師非道可行駕一乘而通達子夏旣其默識師利曾何致疑介如石焉豈俟終日矣觀業救捨門第七稽疑曰頻婆娑羅首供養佛佛見提希之時頻婆幽而未死以佛大悲神芥子尚納須彌如何不救頻婆其遇害至於闍王瘡痏特照神光入地獄遂延遐壽於逆子何幸獨得延齡於賢父何幸獨不延也但頻婆證果賢王也應救而不救之闍王賊臣逆子也不應救而救之何以勸將何以示人子顚而不扶焉用彼相子害父佛何爲哉辯惑曰夫業之爲理也大矣哉深焉不測廣焉不極眇眇緜緜變化消息夷兮無形希兮無聲無形無聲庶類以生生極之謂命習成之謂性其體若無而有其用也不疾而速方其來也不可排方其謝也不可止至若天地之廣陰陽之靈日月貞明於上山川紀理於下幽顯異致而云爲植殊途而布濩人咸見其然也而莫知所以然也故或推之於自然或付之於造化或言始生於元氣或云稍長於盤古或謂中有神我傍興衆物或執上有梵天下生群類或道冥爲自性從無形而變有形或計體是微從不化而生所化斯皆失其本而迷其末昧其源而惑其流所以異見紛馳殊情競擧豈知業因心起心爲業用業引心而受形心隨業而作境六道昇降財成而不越二儀上下判而斯分然則因業受身身還造業從心作境境復生心無始無終譬之於輪轉非空非有喩之於幻化四生易其滋漫三界難以歸根然而業之以善惡分流報之以苦樂殊應積善餘爲善所以致樂積惡餘殃作惡所以階苦若影隨形而曲直雖離朱督不能比其定若嚮隨聲而大小師曠調軫未可喩其均不見形直而影斜豈有善修而報苦不聞聲小而嚮著詎有惡成而果樂亦猶田畯勉黍稷盈疇農夫失時茨棘徧野使耕而鹵莽其事耘而滅裂其業欲不稂不莠如坻如京採薜荔於水搴芙蓉於木末也或曰善爲福始惡是罪源同影嚮之無違類耕耘之有報敬聞命矣何迺頻婆爲善翻以禍終阿闍積舋仍蒙福末釋曰不亦善乎而問之也子聞業之有報也聞報之有時也夫業之感報有三時不同焉有見報業者此身作業卽身而受也有生報業者今身造業次生而受也有後報業者此生未受後後生方受也初猶禾菽之類也經時卽熟焉次猶䅘麰之等也易歲乃登焉後猶桃李之輩也積年方實焉故昔勤今墯者野無秋實之望家有歲積之盈昔墯今勤者朝無數粒之資有餘糧之畜豈可以見勤者不足謂不足非始於惰乎見墯者有餘謂有餘非始於勤乎冀以象而申意更借事而明理曰有二人相與爲鄰築室一人先拙而後巧一人先巧而後先拙者築室甚陋居而習伎伎成而思巧#旣巧而變其拙矣先巧者室甚精#居而自養養過而業廢旣廢而失其巧矣雖失其巧其屋尚精焉雖變其拙其居猶陋焉及乎歲序緜移風雨飄浸舊宇旣廢新搆聿興卽工拙所營精陋復反矣因斯而談身者心之宅而業之果也業者心之用而身之因也工拙相代者善惡更習也舊宇新搆者前身後生也頻婆雖今無遺行而昔有不臧阿闍雖現是惡人而往修善業不臧所以遇禍修善所以延齡其致可尋何足多怪來論曰以佛大悲神力芥子尚納須如何不救頻婆令其遇害釋曰業有決定也者有不定也者不定則易轉其業可亡決定則難移其報頻婆定業也如何可救乎故良醫不能愈命盡之人慈母不能乳口噤之子矣然則人而有業物也無心心則我心能制山大或可入於小業則彼業爲主命促不可引而長乃以無心而例有心將有業而齊無北轅適越相去不亦漸遙哉又曰於逆子何幸獨得延齡於賢父何幸獨不延也釋曰按涅槃經頻婆娑羅往於毘富羅山遊行射獵周徧曠野悉無所得唯見一仙五通具足卽勅左右而令殺之其仙誓言我於未來亦當如是而害汝命又云佛語闍王汝昔已於毘婆尸佛初發阿耨菩提之心竊以馳騁發狂肆虐於五通之上景行止歸心於七佛之初或宿善不亡懺浣而延壽或餘殃未殄遭殺逆而非命非命由乎肆虐詎是無辜延壽始乎歸心寧稱有幸請修三報之理當反一隅之惑又曰頻婆得果賢王應救而不救之闍王賊臣逆子也不應救而救之釋曰觀無量壽經云頻婆娑羅幽閉置於七重室內自然增進成阿那含諸經論竝云阿那含名爲不還更不還生欲界故涅槃阿闍唯見現在不見未來父王無撗加逆害心生悔熱徧體生瘡若不隨順耆婆語者來月七日墮阿鼻獄詳夫幽憤而昇上果雖外凶而內吉冥目而超下界雖名死而實救之則翻損任之則自益至若身瘡而心熱罔知迴向之路業深而報將墜泥犂之城救之則爲益任之則爲損斯則觀其所應救救之以爲察其所應捨捨之以爲利而曰應救而不救之所不應救而救之聖心雖微知之何陋矣然定報受之而不明業之難犯也重罪悔之而以輕明行之可革也行可革惡人遷善於濫觴業難犯善人止惡於探湯惡止善行卽有恥且格斯蓋導之以德也豈若齊之以刑也父子咸已進於道何顚不扶乎賢愚竝可從於化何來不勸乎知我者希則我貴矣在旃在旃隨教抑揚門第八稽疑曰涅槃章門摠括群品不依涅槃恐難成佛何爲讚功德之處輕於般若法花乎若以般若捨執著爲優則涅槃爲半偈捨身豈劣於般若也若以法花證大乘爲優則涅槃以大空爲門豈劣於法花也法門不二爲二之哉辯惑曰眞身寂靜豈存言說至理希本亡性相雖無言說不違言說之雖無性相而爲性相之津譬夫明鏡無爲形來而像著幽谷不撓聲及而嚮盈然則衆籟參差無谷不能以致群物絡繹無鏡何若而生像故知形聲爲之感鏡谷爲之應感應一虧視聽兼失矣竊以如來有無緣大慈不思弘願者明鏡幽谷也衆生有聞熏習之種發菩提之心者群形衆聲玉毫明而三十二相著鏡中之像金口發而一十二部宣谷中之響自波羅苑內明苦集滅道堅固林說常樂我淨其閒八藏咸闡三乘競馳甘露之味不殊大雲之澤無別然而小草大草受之者少多有緣無緣服之者生死漸頓於焉百慮半滿所以多門本乎其源莫非一致故自本而觀也泯然平等矣自末而觀也森然不同矣不同所以各解平等所以一音一音故法門以之不二各解故教迹以之非一若乃演六度之法談四絕之理卽有以明空依空而起斯般若之爲義也明六種譬喩三法平等破二以歸一迴小以從大斯法花之爲旨也弘三點之奧闡四德之妙異客出其家珍新醫用其舊斯涅槃之爲致也此竝大乘之秘方等之妙門賢聖仰止之崇山論朝宗之巨海得之者咸可以致遠失之者誰能以不泥來論云不依涅恐難成佛仁欲謂不依法花般若而可成佛者乎然則法花是衆經之般若爲諸佛之母孰見無母而孕無王而統人哉義無優劣斷可知來論又云何因讚功德之處輕於般若法花乎夫以隨時之義沿革不可守其常唯變所適取捨必貴存其和扁隨病而授藥班倕任物而施豈寒溫不變規矩有恒哉況尋繹成文有異來旨經云上語亦善亦善金剛寶藏滿足無缺又云如諸藥中醍醐第一又云亦如日出放千光明又云譬如衆流皆歸於海又云修行是經卽得具足十事功德夫以分流設險海君爲百谷之王列曜成文日天作三光之主金剛寶中之第一醐藥中之最上三語僉善何句義而非玄十事以成何功業而不備其比興也如彼其稱揚也如此靜而詳校諒已非輕矧如涅槃梵本偈逾三萬震旦所譯纔出十千法鏡開而未全玄珠得而方半也惑曰教迹非一門不二辯功德之有無明經本之廣怡然理順矣但高下相傾長短相旣法花云此經第一餘經得非其亞乎涅槃云此經尊勝餘經得非卑劣乎般若云此法門不可思議餘法門得非可思議者乎斯義不明前疑復振也釋曰夫以利涉大川舟楫爲之最載馳廣陸車騎爲之先燕處超宮觀爲之長雖水陸殊位動靜異而萬國非止一人也九州非止一地也故畫鷁芳橈周流而莫輟騰駒繡轂馳騁而未已跱鳳華居寢處而寧廢斯則舟楫未嘗不爲最車騎未嘗不爲先宮觀未嘗不爲長也其有局於水鄕者得車卽破之專於山野與舟卽剖之身不下堂者莫辯舟車之所用心務行邁者罔知棟宇之所適若斯人者何足與言於道哉子曰教人親愛莫善於孝教人禮順莫善於悌又曰法象莫大乎天地明莫大乎日月此亦各隨其義以稱莫善也以云莫大也諸經言乎第一盍亦從此而明歟十門辯惑論卷中丙午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불도를 반대하거나 찬양한다는 내용이다.
  2. 2)『논어』, 「팔일(八佾)」편에 “나를 흥기시키는 사람은 상(商)이로구나[起予者商也]”라는 말이 나온다. 상은 공자 제자 자하(子夏)의 이름. 성은 복(卜), 이름은 상(商), 자하는 그의 자(字)이다.
  3. 3)저공(狙公)이 원숭이게 상수리를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 주겠다고 하니 화를 내자 그럼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 주겠다고 하니 기뻐했다는 고사. 즉 당장 보이는 차이만을 알고 결과가 똑같음을 모른다는 뜻이다.
  4. 4)『논어』, 「술이(述而)」편 제21장에 나오는 말이다.
  5. 5)춘추전국시대의 향인(鄕人)으로서 영곡(穎谷)에 봉해졌던 사람 영고숙(穎考叔)을 말한다.
  6. 6)춘추전국시대 초(楚)나라 성왕(成王) 때에 세자였던 상신(商臣)의 스승이 되어 상신을 꾀어 성왕을 시해하고 상신을 왕으로 세운 인물이다.
  7. 7)그 자손으로 하여금 대대로 선행을 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시경』 「대아(大雅)」편 ‘문왕지십(文王之什)’ 장의 기취(旣醉)라는 시에 “좋은 아들 끊이지 않아 길이 선행을 행하라[孝子不匱 永錫爾類]”라는 데에서 나온 말이다.
  8. 8)공동으로 악한 일을 한다는 말이다. 『춘추(春秋)』 소공(昭公) 13년(年) 조항에 “더불어 좋아할 것도 없는데 누구와 함께 악한 일을 행한단 말인가[無與同好 誰與同惡]”라는 말에서 인용한 것이다.
  9. 9)복을 받을 착한 행위인가 화를 입을 악한 행위인가에 따라서 구원될 수도 있고 구원되지 못할 수도 있다는 내용이다.
  10. 10)황제(黃帝) 헌원(軒轅)씨 때의 사람이라고도 하며, 또는 춘추 시대의 사람이라고도 함. 백 걸음 밖에서도 털끝을 분간했다는 시력(視力)이 좋은 사람.
  11. 11)춘추전국시대 진(晉)나라의 악사(樂師). 자는 자야(子野). 소리를 잘 분별하여 길흉(吉凶)을 점쳤다고 한다.
  12. 12)고려대장경 원본에는 ‘타(墮)’자로 되어 있다. 문맥이 닿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신수대장경의 각주에 의하면 “송(宋)ㆍ원(元)ㆍ명(明)ㆍ궁(宮) 본에 ‘타(墮)’자는 타(惰)자로 되어 있다”고 하였기에 역자도 이를 따라 번역하였다.
  13. 13)고려대장경 원본에는 ‘청수삼보지리(請修三報之理)’라 하여 닦을 수자로 되어 있다. 의미가 미흡하고 신수대장경 각주에 의하면 “송ㆍ원ㆍ명ㆍ궁본엔 ‘수(修)’자가 ‘수(隨)’자로 되어 있다”고 하였으므로, 이 뜻이 더 명확한 것 같아 역자도 이를 따라서 번역하였다.
  14. 14)설교하는 목적에 따라서 어느 경을 내세우고 어느 경을 내세우지 않는가가 다르다는 뜻이다.
  15. 15)석존이 과거세에 설산에 들어가 보살행을 수행할 때 나찰(羅刹)이 제행무상(諸行無常) 시생멸법(是生滅法)하면서 반게(半偈)를 읊고 끝나자 보살은 후반부를 들려주면 자신의 몸을 바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나찰은 후반부의 반게 즉 생멸멸이(生滅滅已) 적멸위락(寂滅爲樂)을 마저 읊었다고 한다.『열반경』十四.
  16. 16)후한(後漢) 때의 명의(名醫), 자는 원화(元化), 위(魏)나라 조조(曹操)의 시의(侍醫)가 되었으나 뒤에 노여움을 사서 죽임을 당함. 원래 화타(華陀)인데 여기에서는 화(和)자로 표기하였으니 아마도 음이 같아서 그렇게 표기한 것이 아닌가 싶다.
  17. 17)춘추전국시대의 명의.
  18. 18)공수반(公輸班) 또는 공수반(公輸般)이라 한다. 춘추전국시대 노(魯)나라 사람으로 솜씨 좋은 목수였다.
  19. 19)순(舜)의 신하로 솜씨 좋은 공인이었다. 또는 순임금 때 백공(百工)의 일을 관장하던 관리.
  20. 20)고려대장경 원본에는 ‘익(鷁)’자로 되어 있다. 신수대장경 각주에 의하면 “송ㆍ원ㆍ명본에는 ‘익(鷁)’자가 ‘익(艗)’자로 되어 있다”고 하였으므로 뜻에 좀 더 부합되는 것을 따라 번역하였다.
  21. 21)『효경(孝經)』 「광요도(廣要道)」 장에 나오는 글이다. 원문에는 ‘교인(敎人)’이 ‘교민(敎民)’으로 되어 있다.
  22. 22)『주역』 「계사(繫辭)」 상편 제11장에 나오는 말, “법상은 천지보다 더 큰 것이 없고 변통엔 사시보다 더 큰 것이 없으며 저명엔 일월보다 더 큰 것이 없다[法象 莫大乎天地 變通莫大乎四時 著明 莫大乎日月]”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