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대장경

十一面觀自在菩薩心念誦儀軌經卷中 尹

ABC_IT_K1286_T_002
036_0823_c_01L
십일면관자재보살심밀언1)의궤경 중권


당 천축삼장 불공 한역
이원민 번역


이 의궤(義軌)는 연화부(蓮花部) 일체존(一切尊)의 염송법과 서로 통한다.
제가 지금 모든 관자재법을 통달하는 결호(結護)ㆍ영청(迎請)ㆍ공양 등의 수행의궤를 말하겠습니다. 수행자는 먼저 목욕하여 몸을 깨끗하게 하고 깨끗한 옷을 입고 청정한 곳에서 존상을 대하여 본부(本部)삼매야인을 결하고 양손은 연화합장하고 나머지 여섯 개의 손가락을 펴서 활짝 핀 연꽃처럼 합니다.
관자재연화부삼마야(觀自在蓮花部三麽耶)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바나모 나바 바 야사바 하2)
唵鉢納謨二合納婆二合也娑嚩二合引

다음으로 물에 가지하여 목욕하는데 강ㆍ연못이나 욕실에 하기도 합니다. 가지수(加持水)밀언을 송하겠습니다.

나모라다나 다라 야야나모아 -랴 바로기뎨새바 라야모디
曩謨囉怛曩二合怛囉二合夜也曩莫阿哩夜二合下同嚩路枳帝濕嚩二合下同囉也冒地
사다바 야마하사다바 야옴삼마예소명예 선뎨난 뎨살바삼마야노
薩怛嚩二合也摩訶薩怛嚩二合也唵三摩曳掃銘曳二合扇帝難帝薩嚩三麽夜弩
바라 미-띠 노라 노예사바 하3)
鉢囉二合下同尾瑟致二合下同怒囉努倪娑嚩二合

그런 뒤 연못에 들어가서 물로 목욕하고 연화부판사새바바하인(蓮花部辦事濕嚩嚩訶印)을 결합니다. 양손은 오른쪽으로 왼쪽을 누르고 안으로 서로 깍지 끼어 권(拳)을 쥐고는 가운뎃손가락은 서로 합하여 첫 마디를 약간 구부리고, 양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가운뎃손가락의 윗마디에 붙이되 밀착시키지는 말고 금강저의 형상처럼 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나모마하시리 야예옴삭토예 삼마예소 명예 시디시디사 다야시볘
曩謨摩訶室哩二合夜曳唵鑠討曳二合三摩曳掃銘曳二合悉地悉地娑馱也始吠
뎨샹가리시밤명예아 바하야살바 라타 사다니사바 하4)
帝商羯哩始鍐銘曳阿嚩訶也薩嚩囉他二合娑馱你娑嚩二合

이 인은 몸을 보호하고 비나야가(毗那夜迦)를 물리치고, 향ㆍ꽃ㆍ음식 등에서 더러움을 제멸하여 광명을 드러나게 합니다.
다음으로 감로군다리인(甘露軍茶利印)을 결하여 밀언으로 상응하여 목욕할 때 반드시 사용하여 사유합니다. 양 새끼손가락은 안으로 서로 깍지 끼고 쌍으로 약손가락을 구부리고 깍지 사이를 누르고, 가운뎃손가락을 합해 세우고, 양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가운뎃손가락의 윗마디 등을 누르되 붙이지 아니하여 금강저처럼 하고, 엄지손가락은 모두 세워 가운뎃손가락의 곁에 붙입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나모라다나 다라 야 야나마시젼 나바아라 바나예마하약-사
曩謨囉怛曩二合怛囉二合也曩麽室戰二合下同拏嚩日囉二合播拏曳摩訶藥乞叉
세나 바다예나모바아라 구로 다 야옴호로호로디-따 디-
二合下同細曩跛多曳曩謨嚩日囉二合俱𡀔二合也唵虎魯虎魯底瑟咤二合底瑟
따 만다만다하나하나아마리 뎨훔박5)
二合滿馱滿馱訶曩訶曩阿密哩二合帝吽發

다음으로 가지토인(加持土印)을 결합니다. 오른손의 네 손가락은 엄지손가락을 쥐어 권(拳)을 만들고서 인으로 흙 위를 만지고 그 흙은 세 몫으로 나누어 씻어서 이 밀언으로 가지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보 아바 라훔6)
唵步引入入嚩二合攞吽

모든 더러운 곳에 들어가서 자신을 가호(加護)하는데 촉신분노오추사마인(觸身忿怒烏蒭沙摩印)을 사용합니다. 오른손은 권(拳)을 쥐고 엄지손가락을 세워 다섯 곳에 인(印)하는데, 이른바 이마ㆍ좌우의 양 어깨ㆍ심장ㆍ목에 인(印)하고, 각각 한 번씩 염송하고 정수리 위에서 펼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구로 다나훔자7)
唵俱𡀔二合馱曩吽弱

손을 씻고 양치질하고 나서 결정인(潔淨印)을 결합니다. 오른손바닥을 위로 하여 약손가락을 구부려 손바닥 속에 넣고,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의 끝은 서로 붙입니다. 이 인으로 물을 받들어 세 번 마시고 입술을 두 번 씻습니다.
다음으로 양 눈ㆍ양 코ㆍ양 귀ㆍ양 어깨ㆍ심장ㆍ배꼽에 인(印)하고 양 발에 뿌리며 또 물을 몸에 뿌립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주주례구로사바 하8)
唵跬跬隷矩嚕娑嚩二合引下並同

욕실이나 강ㆍ연못가에서 흙을 퍼서 똑같이 세 몫으로 나누고 한 몫을 씻어 다리부터 배꼽까지 바르고, 제2몫은 허리부터 정수리까지, 제3몫은 목부터 정수리까지 바르고 목욕하고 끝마칩니다. 그리고 불ㆍ법ㆍ승과 본존인 관자재보살을 관상하고 인으로 물을 움켜쥐고 마음으로 성중을 목욕시킨다고 생각합니다.
두 손바닥은 위로 향하고 양쪽 가운뎃손가락 이하의 여섯 손가락 등은 집게손가락의 손톱과 합하고 양 집게손가락은 양 엄지손가락 측면을 서로 버팅깁니다. 이 인은 모든 관자재보살의 조욕(澡欲)에 통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나모라다나 다라 야 야나막알-야 바로기뎨새바 라야모디사다
曩謨囉怛曩二合怛囉二合也曩莫阿哩也二合嚩路枳帝濕嚩二合囉也冒地薩怛
바 야마하사다바 야다냐- 타자례마하자례사라바디사바 하9)
引二合也摩訶薩怛嚩二合也怛你也二合他惹隷摩訶惹隷娑囉跛底娑嚩二合

다음으로 알가인(閼伽印)을 결합니다.
두 손바닥은 위로 향하고 양 엄지손가락은 각각 집게손가락을 틀어잡고는 물을 움켜쥐어 알가를 올립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뎨라례몯다사바 하10)
唵帝囉㘑沒馱娑嚩二合

그런 뒤 인으로 물을 움켜쥐고 스스로 관정합니다.
관자재보살이 감로병을 들고 있고, 몸에서는 광명을 내뿜고 중생에게 에워싸여 있으며, 모든 천이 묘한 음악을 연주한다고 관상합니다.
관자재보살이 감로를 밀언자의 몸에 부어 준다고 관상합니다.
군다리인은 양 집게손가락으로 각각 가운뎃손가락의 윗마디를 받치고 양 엄지손가락을 등져 집게손가락의 측면에 붙입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나모마하시리 -예옴하라하라마하미니예 도나도나바바마바나야도
曩謨摩訶室哩二合夜曳唵訶囉訶囉摩訶尾你曳二合度那度那播跛麽跛曩也咄
사하리 담도로도로미지봉 사야락-칙민 니뱌- 니비뎨 하나하
瑟訖哩二合擔覩嚕覩嚕尾持縫二合娑野攞乞廁泯二合你比也二合你比帝二合訶曩訶
나미근나미나 야건마타라구마타라구살바가리가로수바다 반 나시리
曩尾覲曩尾曩也建麽他攞具麽他攞具薩嚩迦里迦魯數跛多曩室哩二合
예슈볘슈붕 예슈 바자나니지리미리니삭기예 자나니슈다야사바 하11)
曳秫陛秫明霓秫婆惹曩你止哩弭哩抳鑠枳曳二合惹曩你戍馱也娑嚩二合

목욕하고 나서 깨끗한 옷을 가져 와서 이 여래의(如來衣)밀언으로 가지하면 입는 의복이 모두 여래의를 이룰 것입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락-사 락-사 살바몯다 디띠- 다 답망 지 바라사바 하12)
唵囉乞叉二合囉乞叉二合薩嚩沒馱地瑟耻二合答莽二合嚩囉娑嚩二合

일곱 번 염송하고 옷을 입고 나서 목욕하는 곳으로부터 나와 청정한 방에 갈 때에는 탐ㆍ진ㆍ치를 여의고 더러운 여러 가지 물건, 전다라(旃陁羅) 등과 나쁘고 악한 사람을 돌아보지 않아야 합니다.
자신의 가슴 사이에 만월륜이 있고 이 월륜은 자성광명이 이루어져서 보리심이 원만하고 결백하기가 청정한 달과 같다고 관상합니다.
또 월륜의 면에 하리(紇唎二合引)자가 있는데 붉은 파리색과 같은데 광명을 놓아 시방세계를 비추며, 광명 속에 자신이 관자재보살을 이루어 동등하여 차별이 없고, 왼손은 금강권을 지어 연꽃을 들고 왼쪽 사타구니에 두며, 오른손은 자기의 심장에 대고 활짝 핀 연꽃 모습을 하고 있다고 관상합니다.
모든 법의 자성이 청정하여 모든 번뇌 진구(塵垢)에 물들지 않는 것이 마치 연꽃과 같으며, 몸에는 뒤로 원광을 두르고 있고, 관에는 무량수여래께서 계시는데 몸에는 뭇 보배영락을 걸치시고 여덟 잎의 연꽃을 밟으신다고 관상하면서 정실(精室) 문 밖에 이르러 물을 뿌리는 것은 앞처럼 합니다. 정수리에 가지하고 오른손으로 권(拳)을 쥐고 엄지손가락ㆍ집게손가락은 서로 틀어쥐고는 정수리에 인하고 다라(多羅)보살심밀언을 염송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구로구례사바 하13)
唵矩嚕矩隷娑嚩二合

정실(精室)에 들어가서 모든 현성(賢聖)을 마음으로 생각하고 은근하게 오체투지하여 예경하며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시방의 모든 여래와 모든 대보살ㆍ모든 현성을 마치 눈앞에서 대하는 것처럼 관상합니다. 드러내어 참회하고, 수희하여 권청하며, 발원하여 무상보리에 회향합니다. 곧 결가부좌하여 본부삼마야인[또 모든 관자재보살염송에도 통한다.]을 결하여 먼저 다라보살14)의 호신에 사용하며, 비구지보살의 호신에 사용하여도 역시 좋습니다. 혹은 나머지 4명왕과 대위덕자를 염송하는 것도 통합니다.
성스러운 다라보살인계(多羅菩薩印契)는 양손을 안으로 서로 깍지 끼어 권(拳)을 쥐고 집게손가락을 세워 합해서 마치 아직 피지 않은 청련화처럼 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귀명(歸命)은 위의 가지수(加持水)밀언과 같다.]

옴다 례도다 례도례사바 하15)
唵多㘑咄多㘑咄㘑娑嚩二合

다음으로 비구지보살인을 말하겠습니다. 위의 다라인과 같이 약간 구부려 청련처럼 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귀명은 위와 같다.]

옴사라사라자예사바 하16)
唵娑囉娑囉惹曳娑嚩二合

다음으로 4명왕인(明王印)을 말하겠습니다. 양손을 안으로 서로 깍지 끼고 목ㆍ정수리에 인(印)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바바아 사보 라17)
唵婆嚩阿塞普二合

또 두 손바닥을 평평하게 해서 자기의 입을 가립니다.
구인(口印)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18)


다음으로 연화인을 결합니다. 위의 연화인을 펼친 것처럼 하여 배꼽에 둡니다.
제인(臍印)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바나모 바나모 마하바나모 바나마 다라아라 바니가다 야사
唵跛娜謨二合跛娜謨二合摩訶跛娜謨二合鉢納麽二合馱邏孽囉二合播抳誐多也娑
바 하19)
二合

다음으로 마두명왕인(馬頭明王印)을 결합니다. 먼저 금강합장하고 양 가운뎃손가락을 세워 합하고, 양 집게손가락을 각각 갈고리처럼 만들고, 약손가락 끝과 집게손가락으로 각각 가운뎃손가락의 윗마디를 누르고, 새끼손가락은 모두 세워 손바닥 속에 넣고, 양 엄지손가락은 모두 세워 새끼손가락과 뭉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아미리 구나바 무나바 바훔박20)
唵阿密哩二合姤納婆二合下同舞納婆二合嚩吽發

이 인과 밀언으로 물리치고 나서 다음으로 지계(地界)와 만다라계(曼茶羅界)를 결합니다. 양 엄지손가락은 서로 갈고리처럼 하고 나머지 손가락을 쫙 벌려 세우고 손바닥을 들어올려 매의 날개처럼 하고 방우계를 결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나모라다나 다라 야 야나모기양 나사 가라볘로자나미유 하
曩莫囉怛曩二合怛囉二合也曩謨枳穰二合引曩娑誐囉吠𡀔左曩尾喩二合下同
라자야다타아다 야라하 뎨삼먁삼몯다 야나막살바다타 가뎨비유
囉惹也怛他孽多夜囉賀二合下同帝三藐三沒馱也曩莫薩嚩怛他誐帝毗喩
라하 비약 삼먁삼몯뎨비약 나막아-랴 바로기뎨새바
合下同囉賀二合毗藥二合下同三藐三沒第毗藥二合曩莫阿哩夜二合嚩路枳帝濕嚩二合
라야모디사다바 야마하사다바 야마하가로니가야다냐- 타이리미
囉也冒地薩怛嚩二合也摩訶薩怛嚩二合也摩訶迦嚕抳迦野怛你也二合他伊里弭
리기리미리비리혜리사바 하21)
里企里弭里毗里呬里娑嚩二合引下並同

이 밀언으로 향수에 가지하여 한 번 염송하고 방우계를 결합니다.
다음으로 만다라계를 결하는데 양손은 안으로 서로 깍지 끼고 손바닥을 벌리어 집게손가락을 세워 합하고, 양 엄지손가락은 바로 아래로 드리워 서로 합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아 로륵22)
路力

이 인과 밀언으로 만다라계를 결하는 데 사용하고 다시 벽제(辟除)를 결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이이이남 가비리 바야볘니녕사바 하
唵尒尒尒南誐毗哩二合婆也陛你甯娑縛二合

다음으로 정공계(淨空界)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바나몌 니바가바디모하야모하야자아모하니사바 하23)
唵鉢納冥二合下同你婆誐嚩底慕賀也慕賀也惹孽慕賀你娑嚩二合引

이 밀언으로 향로에 가지하고 위쪽으로 돌리면서 일곱 번 염송하고 먼저 알가그릇을 준비하는데, 상거(商佉)나 금ㆍ은ㆍ단련한 동(銅)ㆍ깨끗한 잎ㆍ기와나 목기 등 이러한 종류라면 칭찬 할 만합니다. 알가그릇 속에 향수와 꽃을 가득 담고 네 가지 일을 구하고 아울러 네 가지 색의 꽃을 단(壇) 앞에 놓고 만다라가 큰 우유의 바다라고 관상하고 이 밀언을 염송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미마로나디훔24)
唵尾麽𡀔捺地吽

양손은 안으로 서로 깍지 끼어 손바닥을 위로 향해 돌리면 감로대해(甘露大海)를 이룰 것입니다.
다시 대해 가운데 소미로산이 있고 그 산이 네 가지 보배로 이루어졌고 무량한 보배들로 사이사이에 장엄했다고 관상합니다. 양손은 안으로 서로 깍지 끼어 권(拳)을 쥐고 이 밀언을 염송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아자라훔25)
唵阿者攞吽

이 인을 결하고 밀언을 염송하고 대해로부터 보배산이 출생된다고 사유합니다. 다시 산 위에 있는 보배누각이 있는데, 그 궁궐은 무량한 보배들로 이루어졌고, 곳곳에 구슬ㆍ만(鬘)ㆍ영락ㆍ방울ㆍ비단 번기(幡旗)가 열지여 매달려 있고, 미풍에 흔들려 아름다운 소리를 내며, 사이사이에 갖가지의 마니ㆍ반월ㆍ만월 등으로 장엄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무량한 모든 공양구가 누각 속을 두루 채웠고 그 궁궐 안에서 만다라를 본다고 관상합니다.
이렇게 관상할 때 열 손가락은 오른쪽으로 왼쪽을 누릅니다. 먼저 나누어 서로 교차시키고 다음으로 보공양(普供養)밀언을 염송하면 성자가 가는 곳마다 7보로 된 수레[車輅]를 보냅니다. 그 인은 양손을 안으로 서로 깍지 끼어 손바닥을 위로 향하고 양 집게손가락을 세워 측면으로 서로 버팅기고, 엄지손가락은 각각 집게손가락의 측면에 붙입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도로도로훔26)
唵覩嚕覩嚕吽

다음으로 군다리인(軍茶利印)을 결하는데 인의 모양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습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아마리 뎨훔박27)
唵阿蜜哩二合帝吽發

수행자는 군다리금강이 7보로 된 수레를 몰아 극락세계에 이른다고 관상합니다.
무량수여래를 7보로 된 수레에 오르시게 청하여 중앙에 무량수여래께서 앉으시고, 왼쪽에 대세지, 오른쪽에 관자재가 있다고 관상합니다.
아미타불 앞에 본존이 앉아 있다고 관상하고 봉청인(奉請印)을 결합니다. 양손은 안으로 서로 깍지 끼어 권(拳)을 쥐고 왼손의 엄지손가락은 손바닥에 넣고,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은 몸을 향해 세웠다가 구부려 오라고 부르는 듯이 하고, 밖을 향해 봉송할 때는 연화부관자재보살심밀언을 사용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귀명은 다른 관자재밀언과 같다.]

다냐- 타바나마 바나마 바나마 바니사라사라에혜예 혜바가믹
怛你也二合他鉢娜麽二合鉢納麽二合鉢納麽二合播抳娑囉娑囉噎係曳二合呬婆誐刎
아 -랴 바로기뎨새바 라에가 나사목카망 바하야
哩也二合嚩𡀔枳帝濕嚩二合囉噎迦那捨目佉莽嚩賀也此加
아 로륵28)
句若請諸觀自在隨稱彼名𡀔力口

곧 스스로 본소존(本所尊)의 밀언을 염송하고 알가를 올리고는 먼저 고요한 방이나 보배누각에 성중을 안으로 들어가기를 받들어 청합니다. 그런 뒤에 자리를 바치고서 앞의 연화인으로 모든 손가락을 약간 서로 가까이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바나마 미라야사바 하29)
唵鉢納麽二合尾囉也娑嚩二合
다음으로 이 게송을 염송하여 성중께 공경하고 사례합니다.
가타(伽他)를 송하겠습니다.

사바 가담바가만녜혜바라 사나실나 사다 미하가리 하나
娑嚩二合誐擔婆誐挽甯呬鉢囉二合娑那失那寫多弭訶仡哩二合訶拏
보자마사마 다 바라 사 난자디야구로30)
布惹麽娑麽二合鉢羅二合難者地夜矩嚕

이 게송은 진언과 같아서 세 번이나 일곱 번 염송하고서 부존인(部尊印)을 결하여 경각시킵니다. 이 밀언에 상응하여 세 번 염송하면 본존을 가호함을 이룰 것이고, 부존인과 밀언은 먼저 설하였습니다. 이것을 마두관자재(馬頭觀自在)라 합니다.
다음으로 부모백의(部母白衣)관자재보살인을 결합니다. 인의 모습은 마치 다라보살인과 같고 집게손가락을 둥글게 구부립니다. 이 인을 결하면 본존을 보호하며 또 자신도 보호할 것입니다. 염송하면 속히 성취할 것입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시볘 뎨아티니반나라바 시니자타마구타다 리니사바 하31)
唵濕吠二合帝若致你半拏囉嚩悉你惹吒麽矩吒馱哩抳娑嚩二合引

장계인(牆界印)을 결하는데 양손은 안으로 서로 교차시키고 양 집게손가락을 세워 합해서 약간 구부립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하리 도구도구바라 길 라나 바아라 구티라구티아바 라바
紇唎二合引度矩度矩鉢囉二合囉拏二合嚩日囉二合俱致羅句致入嚩二合下同攞嚩
라바아라 다라훔박32)
囉嚩日囉二合馱囉吽癹

하방계는 먼저 말한 것을 사용하며 대계인(大界印)을 결하는데 두루 결하여 보호합니다.
다음으로 향 등을 받들어 올립니다. 저 인은 상방계(上方界)를 결하고 여기는 대호(大護)를 결합니다. 양손은 안으로 서로 깍지 끼고 가운뎃손가락을 모두 세워 침과 같이 하고, 집게손가락은 각각 구부려 가운뎃손가락의 윗마디 아래에 붙이되 밀착하지 않고, 양 엄지손가락은 각각 구부려 집게손가락의 측면에 댑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나모바가바뎨아바라 디하도사이 사 야옴샹가례마하삼마염
曩謨婆誐嚩帝阿鉢囉二合底訶妬瑟膩二合也唵商羯㘑摩訶三麽焰
사바 하33)
娑嚩二合

이 대삼마야호(大三麽耶護)를 결하면 인근의 정륜왕도 침입하여 능멸하지 못하거늘 하물며 모든 마귀 등이겠습니까.
또 양손은 안으로 서로 깍지 끼어 양 집게손가락을 세워 합하고, 두 엄지손가락은 바로 아래로 드리워 서로 합해서 상방계를 결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지지지능 가필릉 바야볘니녜사바 하34)
唵尒尒尒能誐苾陵二合婆也陛你甯娑嚩二合

다음으로 바르는 향[塗香]을 말하겠습니다. 청목향(靑木香)은 둘로 나누고, 다아라(多誐羅)는 똑같이 나누고, 비리영우(比哩孕愚)는 넷으로 나누고, 소합향은 여덟으로 나누어 잘게 빻아 체로 쳐서 물에 섞어 다시 갈면 모든 연화부의 도향(塗香)에 통하고, 네 가지 법에 통합니다.
꽃ㆍ태우는 향[燒香]ㆍ음식ㆍ등명(燈明)은 차별된 종류에 따라 알아야 합니다. 올릴 때에 각각 밀언으로 가지하여 구하는 일마다 마음으로 청하여 위와 같이 합니다. 5종공양은 양손으로 받들어 이마에 대고 각각 공양인으로 받들어 올립니다.
보통공양인은 양손으로 합장하고 모든 손가락은 조금 나누어 서로 교차시키고, 양 집게손가락은 각각 가운뎃손가락의 윗마디에 두고 진언을 다섯 번 염송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나모살바몯다 모디사다바 남 살바토나가 뎨사바 라혜맘가가나
曩謨薩嚩沒馱冒地薩怛嚩二合薩嚩免那誐二合下同帝娑破二合羅係𤚥誐誐曩
캄사바 하35)
劍娑嚩二合

비밀찬왕(秘密讚王)을 염송하고 가영(歌詠)하여 본존을 찬탄합니다.
찬(讚)을 송하겠습니다.

옴바나마 라가닐 마람가 마라가모답맘 로가나타만다명살바슈다
唵鉢納麽二合囉誐涅寧逸反麽攬迦麽囉誐母荅𤚥二合盧迦曩他滿馱銘薩嚩秫馱
시디자36)
悉地者

찬탄을 염송하고 나서 뜻대로 넓고 큰 원을 발하고 드러내어 참회하고 보리심을 발합니다.
먼저 본부모(本部母)를 염송하고 그런 뒤에 부존(部尊)을 염송하면 부모(部母)와 부존(部尊)의 가호를 받아 모든 죄장(罪障)이 다 소멸될 것입니다. 지혜로운 자는 일곱 번이나 스물한 번 염송합니다. 만일 길상스럽지 못한 악몽을 볼 때 108번 염송하면 모두 사라질 것입니다.
팔찌와 띠풀로 만든 반지에 가지하여 모두 부모(部母)밀언을 사용하는데 앞에서 말한 것과 같습니다.
부존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아리 아 로륵37)
日哩二合𡀔力

연화부의 염주는 연꽃의 씨와 마니보배와 동녀가 꼰 실을 사용하여 이 밀언으로 염송하면서 뀁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아마리 당가몌시리 예시리 마 리니사바 하38)
唵阿密哩二合黨誐冥室哩二合曳室唎二合里你娑嚩二合引

다음으로 11면관자재근본인을 결합니다. 양손은 오른쪽으로 왼쪽을 누르고 밖으로 서로 깍지 끼어 합장하고 인을 정수리 위에 두면 곧 본존신을 이룹니다. 근본밀언을 일곱 번 염송하고 그런 뒤에 염주를 가지고 염송합니다.
염송하고자 하면 염주를 손 안에 놓고 곧 부용(芙蓉)합장하여 심장에 대고서 가지주(加持珠)밀언을 염송하며 또한 곧 정수리에 둡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바소마디시리 예사바 하39)
唵嚩蘇麽底室哩二合曳娑嚩二合
양손의 다섯 손가락으로 염주를 쥐면 이것을 염주인(念珠印)이라고 합니다.
이 인을 결하고 염송하는데 느리지도 않고 급하지도 않으며 나아가서 지쳐서 게으르지 아니하게 합니다. 염송할 때는 마음으로 다른 인연을 생각지 말아야 합니다. 본존께서 앉으신 띠자리나 유가상자(瑜伽床子)를 관상하며 밀언문자로 실제의 이치와 상응하도록 천 번이나 백 번을 한정해 마칩니다. 또 부용(芙蓉)합장하고 염주를 정수리에 이고 본존을 바라보고 은근하게 마음으로 예를 드립니다.
다시 공양을 올리고 찬탄하는 것을 모두 앞의 법처럼 합니다. 알가를 받들어 올리고 아삼망의니인(阿三莽擬你印)을 결하여 방우계를 풀고 양손은 안으로 서로 깍지 끼고 두 가운뎃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은 모두 세워 합하고 양 집게손가락은 각각 가운뎃손가락의 손톱 위에 둡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하리 아삼망의니 훔40)
唵紇唎二合阿三莽擬你

곧 이 인으로 몸을 보호합니다. 또 본부삼마야인을 결하고 예불하고 회향하고 나서야 바야흐로 도량을 나섭니다. 깨끗한 곳에서 마하반야바라밀을 읽어 복덕을 쌓아 무상보리에 회향하고 법대로 경행(經行)합니다.
다시 무능승인(無能勝印)을 결하면 어느 때나 어느 장소에서든지 가호할 것입니다. 양손은 안으로 서로 깍지 끼어 권(拳)을 쥐고 두 가운뎃손가락을 세워 합하면 무능승인이라고 합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나모살바몯다남옴호로호로잔나리망 등이사바 하41)
曩莫薩嚩沒馱南唵虎魯虎魯贊拏哩莽蹬儗娑嚩二合
수행자는 매일 아침 치목(齒木)을 씹어 양치하여 마치고 깨끗하게 뿌립니다. 오른손으로 물을 움켜쥐고 이 밀언을 일곱 번 염송하여 마시거나 혹 6월에 먼저 성취법을 행하면 모든 더러운 것과 길상스럽지 못한 업장이 모두 청정해질 것입니다.
밀언을 송하겠습니다.

옴슈뎨나슈다나야사바하
唵秫第訥輸馱曩也娑嚩訶二合
036_0823_c_01L十一面觀自在菩薩心念誦儀軌經卷中 尹開府儀同三司特進試鴻臚卿肅國公食邑三千戶賜紫贈司空謚大鑑正號大廣智大興善寺三藏沙門 不空奉 詔譯此儀軌通蓮花部一切尊念誦我今說修行儀軌通一切觀自在法結護迎請供養等修行者先應澡浴潔身淨服於淸淨處對尊像當結本部三麽耶印二手合蓮花掌散餘六如開敷蓮花觀自在蓮花部三麽密言曰唵鉢納謨二合納婆二合也娑嚩二合次應加持水澡浴或於河池或於浴加持水密言曰曩謨囉怛曩二合下同怛囉二合夜也曩莫哩夜二合下同嚩路枳帝濕嚩二合下同囉也冒地薩怛嚩二合也摩訶薩怛嚩二合也唵三摩曳掃銘曳二合扇帝難帝薩嚩三麽夜弩鉢囉二合下同尾瑟致二合下同怒囉努倪娑嚩二合然後入池或取水澡浴結蓮花部辦事濕嚩嚩訶印二手右押左內相叉作拳中指相合微屈初節屈二頭指附中指上節勿著如金剛形密言曰曩謨摩訶室哩二合夜曳唵鑠討曳二合三麽曳掃銘曳二合悉地悉地娑馱也始吠帝商羯哩始鍐銘阿訶也薩嚩囉他二合娑馱你娑嚩二合以此印護身辟除毘那夜迦及香花飮食等除穢令光顯次結甘露軍荼利印密言相應澡浴時應用思惟二小指內相叉雙屈無名指押叉閒豎合中指屈二頭指附中指上節背不著如金剛大指竝豎博中指側言曰曩謨囉怛曩二合怛囉二合也曩麽室戰二合下同拏嚩日囉二合播拏曳摩訶藥乞叉二合細曩跛多曳曩謨嚩日二合俱二合也唵虎魯虎嚕底瑟咤二合底瑟咤二合滿馱滿馱訶曩訶曩阿密哩二合帝吽癹次結加持土印右手四指握大指爲以印按土上其土分作三分澡浴此密言加持密言曰唵步入嚩二合攞吽入一切觸穢加護自身用觸身忿怒烏芻沙摩印以右手作拳翹大指印五所謂額右左肩心喉各誦一遍上散密言曰唵俱二合馱曩吽弱洗手漱口已訖應作潔淨印仰右手屈無名指在掌中大指頭指根相以此印承水三飮兩度拭脣次印二目兩鼻兩耳兩肩心臍灑兩足取水灑身密言曰唵跓跓隸矩嚕矩嚕娑嚩二合引下竝同則於浴室或河池側分土等作三聚用一聚洗從腳至腰第二聚從腰至第三聚從項至頭澡浴已了則運想佛僧及本尊觀自在菩薩以印掬水運心沐浴聖衆仰二手掌以中以下六指背合顯指甲二頭指相拄二大指側此印通一切觀自在菩薩澡浴密言曰曩謨囉怛曩二合怛囉二合也曩莫阿哩也二合嚩路枳帝濕嚩二合囉也冒地薩怛嚩引二合也摩訶薩怛嚩二合也怛你也二合他惹隸摩訶惹隸娑囉跛底娑嚩二 合次結閼伽印仰二手二大指各捻頭指掬水獻閼伽密言曰唵帝囉㘑沒馱娑嚩二 合然後以印掬水自灌頂觀想觀自在菩薩持甘露賢甁身出光明衆聖圍諸天奏妙音樂想觀自在菩薩甘露灌注密言者身軍荼利印二頭指各住中指上節背二大指附頭指密言曰曩謨摩訶室哩二 合夜曳二 合唵訶囉訶囉摩訶尾你曳二 合度那度那播跛麽跛曩也咄瑟訖哩二合擔睹嚕睹嚕尾持縫二合娑野攞乞廁泯二合比也二合你比帝訶曩訶曩尾覲曩尾也建麽他攞具麽他攞具薩嚩迦里迦嚕數跛多曩室哩二合曳秫陛秫朋霓秫婆惹曩你止哩弭哩抳鑠枳曳二合惹曩你戍馱也娑嚩二 合澡浴旣了則取淨衣以此如來衣密言加持所著衣服皆成如來衣密言唵囉乞叉二合囉乞叉二合薩嚩沒馱地瑟恥二合答莽二合嚩囉娑二 合當誦七遍著衣已從澡浴處出住淨室時離貪瞋癡不顧視穢惡雜物陁羅等弊惡人當觀自身胸臆閒滿月輪卽此月輪是自性光明所成提心圓滿潔白如淨月輪又於月輪面觀紇唎二合引字如紅頗梨色放光照曜十方世界於光明中自身成觀自在菩薩等無差別左手金剛拳置左胯持蓮花右手當自心如開敷蓮花勢觀一切法自性淸淨不染諸煩惱塵垢猶若蓮花身背圓光冠有無量壽如來身被衆寶瓔珞步踐八葉蓮花至於精室門外灌灑如前則加持頂以右手作拳以大指頭指相卽印頂誦多羅菩薩心密言曰唵矩嚕矩隸娑嚩二 合則入精室心念一切賢聖慇懃五體投地作禮右膝著地遍觀十方一切如來諸大菩薩一切賢聖如對目前發露懺悔隨喜勸請發願迴向無上菩提則結跏趺坐卽結本部三麽耶亦通諸觀自在菩薩念誦先應用多羅菩薩護身毘俱胝菩薩亦殊勝或誦餘四明王威德者亦通聖多羅菩薩印契者手內相叉作拳豎合頭指如未敷靑蓮花密言曰歸命同上加持水密言唵多㘑咄多㘑咄㘑娑嚩二合次說毘俱胝菩薩印如上多羅印彎屈靑蓮葉密言曰 歸命如上唵娑囉娑囉惹曳娑嚩二 合次說四明王印卽以二手內相叉項頂密言曰唵婆嚩阿塞普二 合又平二手掌掩自口口印密言曰次結蓮花印如上開敷蓮花印置於臍臍印密言曰唵跛娜謨二合跛娜謨二合摩訶跛娜二 合鉢納麽二 合馱邏孽囉二合播抳誐多也娑嚩二 合次結馬頭明王印先金剛合掌豎合二中指以二頭指各鉤無名指頭頭指各押中指上節小指竝豎入掌中大指竝豎與小指聚密言曰唵阿密哩二 合姤納婆二合下同舞納婆二合嚩吽癹以此印密言辟除已次結地界及蔓荼囉界以二大指相鉤散開豎諸指掌如鷹翅結方隅界密言曰曩謨囉怛曩二 合怛囉二 合曩謨抧禳二合引曩娑誐囉吠左曩尾喩二合下同賀囉惹也怛他孽多夜囉賀二合下同帝三藐三沒馱也曩莫薩嚩怛他誐帝毘喩二合下同囉賀毘藥二合下同三藐三沒第毘藥二 合莫阿里夜二 合嚩路抧帝濕嚩二合囉也冒地薩怛嚩二合也摩訶薩怛嚩二合也摩訶迦嚕抳迦野怛你也二 合他伊里弭里企里弭里毘里呬里娑嚩二合引下竝同以此密言加持香水誦一遍結方隅次結曼荼羅界以二手內相叉掌豎合頭指二大指極下垂相合言曰力以此印密言結曼荼羅界應用又結辟除用密言曰唵爾爾爾南誐毘哩二 合婆也陛你甯娑嚩二 合次說淨空界密言曰唵鉢納冥二合下同你婆誐嚩底慕賀也慕賀也惹孽慕賀你娑嚩二合引以此密言加持香爐向上旋轉誦七先辦閼伽器商佉或金銀熟銅及淨葉瓦與木器等稱讚如是類閼伽器中盛滿香水及花安隨求四種事幷置四色花於壇前當觀曼荼羅爲大乳海誦此密言曰唵尾麽捺地吽以二手內相叉仰掌旋轉卽成甘露大海復於大海中觀蘇彌盧山其山四寶所成無量衆寶閒錯莊嚴以二手內相叉作拳誦此密言曰唵阿者攞吽結此印誦密言思惟從大海中出生寶山已復於山上想寶樓閣其殿無量衆寶所成處處懸列珠鬘瓔珞鐸繒幡微風搖激出和雅音間錯種種摩尼半滿月等而挍飾之復有無量諸供養具遍滿樓中於其殿內觀大曼荼羅作是觀時以十指右押左初分相交誦後普供養密言卽送七寶車輅送往聖者所其印以二手內相叉仰掌豎二頭指側相拄大指各附頭指側密言曰唵睹嚕睹嚕吽次結軍荼利印印相如前說密言曰唵阿蜜哩二 合帝吽癹行者觀想軍荼利金剛駕御七寶車至於極樂世界想請無量壽如來昇七寶車中央無量壽如來坐左大勢至右邊觀自在想阿彌陁佛前本尊坐則結奉請印二手內相叉作拳大指入掌右大指豎屈向身招來去奉送向外撥用蓮華部觀自在菩薩心密言歸命同餘觀自在密言怛你也二 合他鉢娜麽二 合鉢納麽二 合鉢納麽二 合播抳娑囉娑囉曀係曳二 合呬婆誐刎阿哩也二 合嚩抧帝濕嚩二 合囉曀迦那捨目佉莽嚩賀也此加句若請諸觀 自在隨稱彼名力則誦自本所尊密言獻閼伽先想淨室寶樓閣奉請聖衆入中然後獻座以前蓮花印諸指微相近密言曰唵鉢納麽二合尾囉也娑嚩二合次誦此偈敬謝聖衆伽他曰娑嚩二 合誐擔婆誐挽甯呬鉢囉二合娑那失那寫多弭訶仡哩二合拏布惹麽娑麽二 合鉢囉二 合難者地夜矩嚕此頌同眞言應誦三遍或七遍應結部尊印警覺以密言相應誦三遍成加護本尊部尊印密言先以說頭觀自在是也次結部母白衣觀自在菩薩印印相如多羅菩薩圓屈頭結此印亦護本尊亦護自身念誦速疾成就密言曰唵濕吠二 合帝若致你半拏囉嚩 悉你惹咤麽矩咤馱哩抳娑嚩二合則結牆界印二手內相叉豎合二頭指微屈密言曰紇唎二合引度矩度矩鉢囉二 合囉拏二 合嚩日囉二 合俱致羅句致入嚩二合下同攞嚩囉嚩日囉二 合馱囉吽癹下方界先以說用之則結大界印結護次應奉獻香等彼印結上方界此結大護二手內相叉竝豎中指如頭指各附中指上節下不著二大指各附頭指側密言曰曩謨婆誐嚩帝阿鉢囉二 合底訶妒瑟膩二 合也唵商羯㘑摩訶三麽焰娑嚩二 合由此大三麽耶護故鄰近頂輪王尚不能侵凌況諸魔等又以二手內相豎合二頭指二大指極下垂相合結上方界密言曰唵爾爾爾能誐苾二 合婆也陛你甯娑嚩二 合次說塗香以靑木香兩分多誐羅等比哩孕愚四分蘇合香八分細擣和水再硏通一切蓮花部塗香四種法花燒香飮食燈明差別隨類應知獻時各以密言加持隨所求事心請如上五種供養二手捧當置於各以供養印而奉獻普通供養印二手合掌諸指初分互相交二頭指各安中指上節誦眞言五遍密言曰曩莫薩嚩沒馱冒地薩怛嚩二 合薩嚩兔那誐二合下同帝娑頗 二 合羅係𤚥誐誐曩劍娑嚩二 合則誦秘密讚王歌詠讚嘆本尊讚曰唵鉢納麽二 合囉誐涅寧逸反麽攬迦麽囉誐母荅𤚥二 合盧迦曩他滿馱銘薩嚩秫馱悉地者誦讚歎隨意發廣大願發露懺悔發菩提心先誦本部母然後誦部尊由誦部母及部尊加護則一切罪障皆得消滅智者誦七遍或三七遍見不祥惡夢誦一百八遍則得除滅加持臂釧及茅環皆用部母密言上所說部尊密言曰日哩二 合力蓮花部念珠用蓮花子或摩尼寶女搓線以此密言穿貫密言曰唵阿密哩二合黨誐冥室哩二 合室唎二 合里你娑嚩二合引次結十一面觀自在根本印以二手右押左外相叉合掌以印置頂上卽成本尊身誦根本密言七遍然後取念珠念誦欲念誦取珠蟠安手中便芙蓉合掌當心誦加持珠密言又便頂密言曰唵嚩蘇麽底室哩二合曳娑嚩二合以二手聚五指捻珠是名念珠印此印念誦不緩不急乃至不疲懈念誦時心不異緣觀念本尊坐茅薦或瑜伽牀子以密言文字實理相應或千或百數限畢已又芙蓉合掌頂戴念珠瞻觀本尊慇懃心禮復陳供養讚歎竝如前法奉獻閼伽卽結阿三擬你印解方隅界以二手內相叉二中小指竝豎合以二頭指各安中指甲密言曰唵紇唎二合阿三莽擬你卽以此印護身又結本部三麽耶印禮佛迴向等已方出道場於一淨處讀轉摩訶般若波羅蜜積集福聚迴向無上菩提隨意經行復結無能勝印一切時處加護二手內相叉作拳合二中指名無能勝印密言曰曩莫薩嚩沒馱喃唵虎魯虎魯贊拏哩莽蹬儗娑嚩二 合修行者每朝嚼齒木洗漱已訖結淨灌灑以右手掬水誦此密言七遍加成六月先行成就法所有觸穢不祥業皆得淸淨密言曰唵秫第訥輸馱曩也娑嚩二合引十一面觀自在菩薩念誦儀軌經卷中丙午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1. 1)고려대장경에는 ‘밀언’이 ‘염송’으로 되어 있는데 제1권의 제명을 따라 편자가 밀언으로 고쳤다.
  2. 2)namo radnatrayāya namaḥ āryāvalokiteśvarāya bodhisatvāya mahāsa- tvāya oṃ padmodbhavabaye svāhā.
  3. 3)namo ratnatrayāya namo aryaavaloketeśvarāya bodhisatvaya mahā- satvaya oṃ samayasvame śante nante sarvasamaya anuprabiṣṭa nura nuni svāhā.
  4. 4)namo mahāśrīyaya oṃ sukṣasamayasomya siddhi siddhi saddhaya subhidhiśaṃkare śame avahaya sarva arṭhasadhani svāhā.
  5. 5)oṃ hulu hulu tiṣṭha tiṣṭha bandha bandha hana hana daha daha amrite hūṃ phaṭ.
  6. 6)oṃ phu jvala hūṃ.
  7. 7)oṃ krodhana hūṃ ja.
  8. 8)oṃ cucu li kuru kuru svāhā.
  9. 9)namo ratnatrayāya nama aryaavaloketeśvaraya bodhisatvaya mahā- satvaya tad yathā cali mahācali sarapati svāhā.
  10. 10)oṃ tiraribuddha svāhā.
  11. 11)namo mahāśrīyāya oṃ hara hara mahābidya dhuna dhuna pabha- mabhanaya duskritan dhuru dhuru bidhvaṃ saya rakṣaminibhya nibiti hana hana bignabinayaka madharaku madharaku sarva- karikāru śvaśupatapanaśriya śubiśubaṃni śubacaṇani cili milini sukyajñāna niśodhaya svāhā.
  12. 12)oṃ rakṣa rakṣa sarvabudhatiṣṭhita daṃjivara svāhā.
  13. 13)oṃ kuru kuli svāhā.
  14. 14)범어로 Tārā. 타라는 ‘바다나 강을 건너다’라는 동사에서 파생한 명사로 ‘윤회의 바다를 건너는 일을 도와주는 여성’을 의미한다. 또는 타라를 ‘푸른 눈’의 뜻으로 보아서 관음의 눈으로부터 방사되는 대광명 가운데 태어난 존(尊)이라 한다. 티베트에서 이 여존(女尊)은 ‘구제하는 여성이라는 뜻의 다르마’라고 부른다. 후에 티베트 불교를 받아들인 중국에서는 이 티베트명을 번역한 구도불모(救度佛母)라는 명칭으로 사용하였다. 특히 이 여존은 인도ㆍ네팔ㆍ티베트에서 가장 잘 알려진 존격(尊格)이다.
  15. 15)oṃ tāre tuttāre ture svāhā.
  16. 16)oṃ sara sara caya svāhā.
  17. 17)oṃ bhavāsphara.
  18. 18)āḥ.
  19. 19)oṃ padma padma mahāpadma padma padma dhara pṛbhani gata- ya svāhā.
  20. 20)oṃ amṛtod bhava udbhava hūṃ phaṭ.
  21. 21)tad yathā ili mili pili tili cili hili svāhā.
  22. 22)arolik.
  23. 23)oṃ padme bhagavati mohaya mohaya jabe mohani svāhā.
  24. 24)oṃ bimaladhati hūṃ.
  25. 25)oṃ acala hūṃ.
  26. 26)oṃ dhuru dhuru hūṃ.
  27. 27)oṃ amṛti hūṃ phaṭ.
  28. 28)tad yathā padma padma padmapaṇi sara sara ihyahi bhagavan āryaavaloketeśvara arolik.
  29. 29)oṃ padma biraya svāhā.
  30. 30)svagada bhagavanti hi prasanacchedasedameha gṛhanapūjamas- mata parasañcatiya kuru.
  31. 31)oṃ śvati caṭini pañcarava siddhi jaṭamakuṭadharani svāhā.
  32. 32)hrīḥ tugu tugu prakirana bajra guṭila guṭijvalavala bajra dhara hūṃ phaṭ.
  33. 33)namo bhagavati aprahatoṣniśaya oṃ śaṅkari mahāsamaya svāhā.
  34. 34)oṃ ji ji ji nigabhriṃsaya binini svāhā.
  35. 35)oṃ padme bhagavati mohaya mohaya jabe mohani svāhā.
  36. 36)oṃ padme rakaṇi maraṃ kamala gamotamaṃ lokanathamaṃ sar- vaśuddha siddhi yaccha.
  37. 37)bajra arolik.
  38. 38)oṃ amṛta gameśvaraśrīmalini svāhā.
  39. 39)oṃ basudhamatiśrīye svāhā.
  40. 40)oṃ hrīḥ asamaini hūṃ.
  41. 41)namaḥ sarvabuddhanāṃ oṃ hulu hulu caṇḍali madaṅge svāh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