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집성문헌

海南大芚寺古眞佛

ABC_NC_00205_0001_T_001

0001_0001_b_01L
고진불창유계안古眞佛窓油契案

0001_0001_b_01L古眞佛窓油契案

0001_0002_a_01L

0001_0002_a_01L

0001_0002_b_01L
해남대둔사고진불海南大芚寺古眞佛

0001_0002_b_01L海南大芚寺古眞佛

0001_0003_a_01L
매년 봄 3월 21일 · 가을 9월 21일 계회강신자契會講信者

0001_0003_a_01L
年年春三月卄一日秋九月卄一日
0001_0003_a_02L 契會講信者

0001_0003_b_01L
불유창호계佛油牕戶契 서序
대개 숙세宿世 선근善根의 힘으로 조물주[洪鈞]1)가 부여한 성품을 받아서 남아男兒가 되는데, 세상이 후오백2)이라서 오탁五濁3)에 전전하는 몸을 입어 팔난八難4)의 끝없는 구덩이 속에 떨어질까 두려워합니다.

0001_0003_b_01L佛油牕戶契序

0001_0003_b_02L
蓋以宿世善根力 克稟
0001_0003_b_03L此洪鈞賦与之性 以之爲
0001_0003_b_04L男兒 而世是後五百 或恐
0001_0003_b_05L被於五濁之轉渾身 墮
0001_0003_b_06L彼八難之無底坑 而

0001_0004_a_01L부모의 자비 같은 것으로도 우리에게 복을 주고 수명을 늘리지 못하며, 국왕의 위엄 같은 것으로도 우리에게 복을 주고 수명을 늘리지 못하고, 스승의 힘 같은 것으로도 우리에게 복을 주고 수명을 늘리지 못합니다. 오직 삼계三界5)의 스승[大導師]이신 부처님[婆伽梵]6)만이

0001_0004_a_01L以若父母之慈 不能壽
0001_0004_a_02L我福我 以若國王之威
0001_0004_a_03L不能壽我福我 以若師
0001_0004_a_04L長之力 不能壽我福我
0001_0004_a_05L而惟有三界大導師
0001_0004_a_06L婆伽梵 可令我壽之

0001_0004_b_01L우리들로 하여금 오래 살고 복 받게 하는 것을, 마치 나뭇가지를 부러뜨리고 손바닥을 뒤집듯 쉽게 하십니다. 이런 까닭에 우리 열 명은 각자 백엽동百葉銅을 꺼내어 천추에 등촉을 밝히는 창호계窓戶契를 만든 것입니다.
원컨대 아침저녁마다 부드러운 음성으로 우리들을 부처님 앞에 축원해 주십시오. 등을 보시한 공덕으로

0001_0004_b_01L福之 如折枝然反掌
0001_0004_b_02L然 是故我等十人
0001_0004_b_03L各出百葉銅 留作千
0001_0004_b_04L秋燈燭窓糊之契 願
0001_0004_b_05L向曉夕 以柔輭音 祝我
0001_0004_b_06L輩於佛前 以施燈

0001_0005_a_01L 세세생생토록 해와 달의 빛이 없어도 자연히 몸에 빛이 원만하도록 해주십시오. 창호의 공덕으로 발을 들거나 내리거나 팔풍八風7)을 맞지 않고, 그리하여 집안이 풍성하고 자손이 창대하게 되면 기쁨이 얼마나 크겠습니까. 그러나 가난한 탓에 가진 게 적음을 한탄할 뿐입니다.
도광道光 30년(1850) 경술 12월[臘月] 8일 적다.

0001_0005_a_01L之功 世世生生 不資日月光 自
0001_0005_a_02L身光圓滿 以窓糊之功 擧
0001_0005_a_03L足下足 不被八風 轉至於家
0001_0005_a_04L道豊而子孫昌 幸孰大焉
0001_0005_a_05L雖然貧故 所持者狹 嗟

0001_0005_a_06L
道光三十年庚戌 臘月 八日 識

0001_0005_b_01L
계원방함契員芳啣
이오순李悟淳 자子 성가聖佳
고영구高瑛玖 자子 문수文守
최희렬崔希烈 자子 재석在石
양진봉梁鎭奉 손孫 달순達順, 자子 득수得水
서복徐福 자子 철구哲九

0001_0005_b_01L契員芳啣

0001_0005_b_02L
李悟淳  子 聖佳

0001_0005_b_03L高瑛玖 子 文守

0001_0005_b_04L崔希烈 子 在石

0001_0005_b_05L梁鎭奉 孫達順 子得水

0001_0005_b_06L徐福  子哲九

0001_0006_a_01L최▣▣崔▣▣ 상좌上佐 품정▼(吅/口)靜
김석암金石巖 자子 문홍文弘
박준거朴準琚 자子 만수萬秀
최근언崔根彦 자子 양신良信
김경▣金璟▣
김지순金至純 자子 완석完石

0001_0006_a_01L崔▣▣ 上佐 ▼(吅/口)靜

0001_0006_a_02L金石巖 子 文弘

0001_0006_a_03L朴準琚 子 萬秀

0001_0006_a_04L崔根彦 子 良信

0001_0006_a_05L金璟▣

0001_0006_a_06L金至純 子 完石

0001_0006_b_01L박규수朴奎秀
승僧 예훤禮烜
김종택金宗澤 자子 유성柳成
양재찰梁在察

0001_0006_b_01L朴奎秀

0001_0006_b_02L僧禮烜

0001_0006_b_03L金宗澤 子 柳成

0001_0006_b_04L梁在察

0001_0007_a_01L

0001_0007_a_01L

0001_0007_b_01L
임안任案
 계장契長
 공원公員
 유사有司

0001_0007_b_01L
任案

0001_0007_b_02L 契長

0001_0007_b_03L 公員

0001_0007_b_04L 有司

0001_0008_a_01L

0001_0008_a_01L

0001_0008_b_01L

0001_0008_b_01L

0001_0009_a_01L

0001_0009_a_01L
  1. 1)홍균洪鈞 : ‘홍균노조洪鈞老祖’의 줄임말로 조물주를 말한다.
  2. 2)후오백後五百 : 정법正法 5백 년을 초오백으로 삼고, 다음의 상법像法 5백 년을 중오백이라 하며, 다음 상법의 뒤 5백 년을 후오백後五百이라 한다.
  3. 3)오탁五濁 : 오재五滓·오혼五渾. 나쁜 세상에 대한 5종의 더러움. ① 겁탁劫濁 : 사람의 수명이 차제로 감하여 30·20·10세로 됨을 따라, 각기 기근饑饉·질병疾病·전쟁戰爭이 일어나 흐려짐을 따라 입는 재액. ② 견탁見濁 : 말법末法 시대에 이르러 사견邪見·사법邪法이 다투어 일어나 부정한 사상의 탁함이 넘쳐 흐름. ③ 번뇌탁煩惱濁 : 또는 혹탁惑濁. 사람의 마음이 번뇌에 가득하여 흐려짐. ④ 중생탁衆生濁 : 또는 유정탁有情濁. 사람이 악한 행위만을 행하여 인륜 도덕을 돌아보지 않고, 나쁜 결과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 ⑤ 명탁命濁 : 또는 수탁壽濁. 인간의 수명이 차례로 단축되는 것.
  4. 4)팔난八難 : 부처님을 보고 법을 듣는 것을 방해하는 여덟 가지 장애. 재지옥난在地獄難·재축생난在畜生難·재아귀난在餓鬼難·재장수천난在長壽天難·재울단월난在鬱單越難·농맹음아난聾盲瘖瘂難·세지변총난世智辯聰難·불전불후난佛前佛後難.
  5. 5)삼계三界 :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
  6. 6)바가범婆伽梵 : 산스크리트어 ‘bhagavat’의 음사로 모든 복덕을 갖추고 있어서 세상 사람들의 존경을 받는 이. 세간에서 가장 존귀한 이, 곧 부처님을 말한다. 보통 ‘박가범薄伽梵’이라고 많이 쓴다.
  7. 7)팔풍八風 : 인생을 살면서 흔들리게 되는 여덟 가지 난관. 『선가귀감禪家龜鑑』에는 이를 이利·쇠衰·훼毁·예譽·칭稱·기譏·고苦·낙樂으로 열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