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iographical Introduction

닫기

범망경고적기(梵網經古迹記)

1. 저자
태현太賢(생몰년 미상) 태현의 이름에 대해 『삼국유사』를 포함한 한국과 중국의 문헌들에서는 대현大賢이라 칭하는 경우가 많고, 일본의 주석서에서는 태현太賢이라 표기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다. 원측의 고족인 도증道證의 제자이다. 그가 경주 남산南山의 용장사茸長寺에 머물 때 1장 6척의 미륵보살 석상 주위를 돌면 석상도 태현을 따라 얼굴을 돌렸다는 기록과 경덕왕景德王 천보天寶 12년(753) 여름 큰 가뭄이 들었을 때, 태현이 『금광명경金光明經』을 강의하면서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자 대궐의 우물물이 높이 솟구쳤다는 기록이 전한다.
2. 서지 사항
중국 북경각경처北京刻經處에서 1920년에 간행한 『청구법집靑丘法集』에 수록된 것을 저본으로 하고, 『속장경』 제1편 60투套 3책에 수록된 것과 『신수대장경』 제40권에 수록된 것, 1689년 간행된 야쿠시지(藥師寺) 소장본 등을 대조, 교감하여 『한국불교전서』 제3책에 수록하였다.
3. 구성과 내용
대승계大乘戒를 설한 대표 경전인 『범망경』에 대한 주석서로 4권으로 이루어졌다. 지의智顗ㆍ원효元曉ㆍ승장勝莊ㆍ의적義寂ㆍ법장法藏 등이 『범망경』 하권 혹은 하권의 「보살계본菩薩戒本」 만을 주석한 것과는 달리 상ㆍ하권을 모두 주석한 점은 특기할 만한 것이다. 제목에서 이미 드러나듯이 기존의 주석서를 두루 참조하고 있지만 단지 답습에 그치지 않고 곳곳에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모두 일곱 문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시처時處이니 『범망경』이 설해진 시기와 처소를 논했고, 둘째 기근機根이니 『범망경』의 설법 대상을 보살종성菩薩種性으로 발심發心한 이라고 했으며, 셋째 장섭藏攝이니 『범망경』은 보살장菩薩藏 중의 비나야毘奈耶(律)에 포함되는 것이라 했고, 넷째 번역이니 『범망경』의 전역傳譯과 관련된 사적事蹟을 서술했으며, 다섯째 종취宗趣이니 『범망경』은 심행心行을 종宗으로 삼고, 증각이생證覺利生(깨달음을 얻어 중생을 이롭게 하는것)을 취趣로 삼는 것이라 했고, 여섯째 제명題名이니 ‘범망경노사나불설심지법문품梵網經盧舍那佛說心地法門品 제10’이라는 제목에 대해 ‘범망경’은 총명總名이고, ‘노사나불설심지법문품 제10’은 개별적인 품명이라 정의하고 어의를 자세하게 풀이했으며, 일곱째 본문本文이니 『범망경』 본문에 따라 상세하게 해석했다.
본문의 해석에 있어서 『유가사지론』에서 설한 유가계瑜伽戒를 인용하여 무위범無違犯의 사례를 제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인용문이 승장ㆍ의적의 주석서에서 제시한 것과 거의 동일한 점에서 상호 영향을 추론할 수 있다. 천태종ㆍ정토종 계통에서는 지의의 주석서를 상용하는 것에 대해 본서는 율종ㆍ법상종ㆍ진언종 계통에서 중시하였다. 특히 일본에서의 영향이 두드러져 최초의 『범망경』 주석서인 젠슈(善珠)의 『범망경약소梵網經略疏』는 거의 전부를 태현에 의지하고 있으며, 에이존(叡尊)의 『범망경고적기과문보행문집梵網經古迹記科文補行文集』 등을 비롯한 60여 부의 말소末疏가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