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1. 저자
보조 지눌普照知訥(1158~1210) 속성은 정鄭, 시호는 불일보조 국사佛日普照國師. 8세에 종휘宗輝 선사에게 축발祝髮하고, 25세에 개경 보제사普濟寺에서 실시한 승선僧選에 합격하였다. 이후 창평현(전남 담양) 청원사淸源寺에서 『육조단경』을 열람하다가 깨달은 바가 있었으며, 28세에 하가산 보문사普門寺에서 대장경을 읽던 중 이통현李通玄 장자의 『신화엄경론』을 보다가 더욱 밝게 깨달았으며, 40세에 『대혜어록』을 읽다가 큰 깨달음을 얻었다. 31세가 되던 1188년에 팔공산 거조사居祖寺에 내려가 정혜결사定慧結社를 맺었고, 1190년에 『권수정혜결사문』을 지었다. 1200년에 조계산 송광사松廣寺로 옮겨 결사를 지속하였다.
2. 서지 사항
능인암能仁庵, 1604년(선조 37) 개간. 목판본. 1책. 27.8×17.5cm. 대교본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1616년(광해군 7) 황해도 송화 수증사修曾寺 개간본, 간행 연도 미상의 동국대학교 소장본(이상 『圓頓成佛論』과 합간), 1937년 상원사上院寺에서 간행한 『보조선사어록普照禪師語錄』에 수록된 본 등이다. 이 밖에 1608년(선조 41) 송광사松廣寺 간행본, 1626년(인조 4) 천관사天冠寺 간행본 등이 있다.
3. 구성과 내용
화두를 들고 궁구하는 간화선 수행이 가장 빠르게 궁극적 목표를 성취하는 지름길(徑截)이라는 취지를 밝힌 책.
간화선의 핵심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자 교학의 극치로 간주되는 화엄원교華嚴圓敎와 대비하는 방법을 따랐다. 또한 주요 화제에 대하여 문답 형식으로 핵심을 짚어낸 것이 특징이다. 화엄 법계연기法界緣起의 이론도 스스로 체험하지 않으면 그와 관련된 문자와 분별이 모두 장애로 전락하므로 언어를 중심으로 이해하는 불법은 초심자에게만 인정한다. 모든 형식의 언교言敎는 사구死句이며, 맛이 없는 말(無味之談)인 화두만이 활구活句이다. 오로지 활구로서의 화두를 들고 참구하여 일심一心을 스스로 체득하는 방법만이 최선의 길이라 평가한다. 스스로 체험하여 일심과 하나가 되고(親證密契), 결국은 언어에 의존하는 방법이 사라지도록 유도하는 경절문徑截門이 최선의 수행법이 된다. 이를 통하여 교학자들이 화두 참구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고 선병禪病으로 오인하는 잘못을 철저하게 타파하였다.
더불어 대혜 종고大慧宗杲에게서 실마리를 얻어 정리한 간화십종병看話十種病은 ‘깨달음을구하는 마음’이 근본이라고 분명하게 밝혔다. 화두 공부는 일정한 인식 틀(格)에서 벗어나 궁구해야 하기 때문에 교학자뿐만 아니라 선종의 수행자에게도 가장 난해한 방법에 속하지만, 이것만이 가장 빠르게 보리를 실증하는 길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