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iographical Introduction

닫기

선문설두천동원오삼가염송집(禪門雪竇天童圜悟三家拈頌集)

1. 저자
귀암龜庵(생몰년 미상) 고려의 승려.
2. 서지 사항
간경도감刊經都監, 1464년(세조 10) 중수重修. 목판본. 1권 1책. 1246년(고종 33)에 최이崔怡의 수복壽福을 빌기 위하여 간행된 판본을 가지고 간경도감에서 중수.
3. 구성과 내용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총 1,463칙 가운데 설두 중현雪竇重顯과 천동 정각天童正覺, 원오 극근圜悟克勤 등 세 선사가 붙인 염拈과 송頌을 모은 책. 『선문염송집』 30권을 6권으로 편집하여 총 496칙을 『선문염송집』의 순서 그대로 수록하였다. ‘염’은 공안의 핵심을 집어내는 평가이고, ‘송’은 공안의 취지를 시로써 간명하게 압축하여 드러내는 평가이다. 세 선사의 염과 송 이외에 상당과 소참 등의 형식도 있지만 염과 송으로 공안에 대한 평가를 대표하므로 이렇게 이름을 붙인다.
설두 중현은 대표적인 공안집 중 하나인 『벽암록碧巖錄』 100칙을 선정하고 각 칙에 송을 붙였다. 원오 극근은 『벽암록』 각 칙에 「수시垂示」를 쓰고, 본칙과 설두의 송 각 구절에 「착어著語」를 달았으며, 본칙과 송에 대한 「평창評唱」도 붙였다. 천동 정각은 100칙의 공안을 가려내어 송을 붙였는데, 이것이 『종용록從容錄』 100칙의 토대가 되었다. 대체로 이들 세 선사가 이렇게 공안집 형성에 관여한 대표적인 염송가拈頌家이기 때문에 별도로 선별하여 편집하였다고 추정한다.
책 끝에 붙어 있는 천영天英의 〈후서後序〉에 따르면, “한 글자 한 소리마다 담긴 아름다움이 세 선사와 견줄 만한 인물이 없다.”라고 한 말도 그 취지로 보인다. 이어서 “설두는 말이 심오하고 헤아리는 이치가 크며, 천동은 말이 정밀하여 아주 작은 현상도 잘 분석해 내며, 원오는 마음의 활용이 드넓고 평가의 진폭이 풍족하다.”라고 세 선사의 특징을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