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iographical Introduction

닫기

반야바라밀다심경주석(般若波羅蜜多心經註釋)

1. 저자
화감당華甘堂 지희知稀(생몰년 미상) 19세기 전반에 활동. 본서로부터 추정하건대 교학에 밝은 승려로서, 특히 『대승기신론』에서 전하는 일심사상一心思想에 정통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2. 서지 사항
강원도 삼척 명적사明寂寺, 1827년(순조 27) 간행. 1권 1책. 『금강경』ㆍ『대화엄법계도주해大<개행>華嚴法界圖註解』와 합간.
3. 구성과 내용
강원도 삼척 명적사明寂寺, 1827년(순조 27) 간행. 1권 1책. 『금강경』ㆍ『대화엄법계도주해大<개행>華嚴法界圖註解』와 합간.이 책은 『반야심경』에 대한 주석서로서 『한국불교전서』 판본으로 약 2쪽 정도 분량의 작품이다. 워낙 소품인지라 책의 구성에서 굳이 개장開章하여 석문釋文하고 있지는 않지만, 기본적으로 서론에서는 경전의 제목에 대한 해설을 통해 『반야심경』의 의의를 총괄적으로 서술하고, 본론에서는 『반야심경』의 본문을 따라가며 해설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개행>내용적 특징은 무엇보다도 『대승기신론』에서 제기되는 일심사상의 조망 아래에서 반야사상을 해석하는 점에 있다. 이 책에 따르면 오온이 공임을 관조하는 반야에 대한 지혜는 본각本覺이라는 뿌리에 상응하여 작용하는 지혜이긴 하지만, 본각 그 자체는 아닌 지혜로서, 이른바 시각始覺이다. 본각이란 곧 여래장자성청정심如來藏自性淸淨心에 대한 지혜를 말하는데, 오온이 공임을 관조하는 반야의 지혜와 함께 무시이래로 실상으로 존재하는 여래장자성청정심에 대한 깨달음을 화감당 지희는 더불어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개행>이에 반해 『반야심경』의 말미에 등장하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개념에 대해서는 『대지도론』의 논의를 인용하여 발심보리發心菩提, 복심보리伏心菩提, 명심보리明心菩提, 출도보리出到菩提, 무상보리無上菩提로 나누어 해설하는 등 맥락에 따라 반야사상의 전통적 해석 방식을 소개하고 있기도 하다. 전체적으로 보아 조선 후기 한국 불교계에서 반야 공사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는지를 추정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