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1. 개요
이 경전의 범명(梵名)은 Mahāparinirvāṇastra이며, 티벳어경명[西藏語經名]은 Ḥphags pa yoṅs su mya ṅan las ḥdas pa chen poḥi mdo이다. 이 경전은 대승의 5대 중요 부문으로 꼽히는 화엄부, 방등부, 반야부, 법화부, 열반부 중에 열반부를 대표하는 경전이며, 분량이 가장 많고 내용상으로도 가장 완비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가장 널리 읽히는 경전 가운데 하나이다.
2. 성립과 한역
북량(北涼)시대에 담무참(曇無讖, Dharmakṣema)이 양도(涼都)의 고장(姑臧)에서 414년에 번역을 시작하여 421년에 완성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이 경전은 줄여서 『열반경』이라 하며, 별칭으로 『대본열반경(大本涅槃經)』, 『북본열반경(北本涅槃經)』이라고도 한다.
이본으로 『대반열반경』(36권)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이 경전은 전체 40권, 13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처님의 열반에 대해 상세히 설한다. 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여래의 법신(法身)은 상주불변하며, 일체 모든 중생이 불성(佛性)을 가지고 있다는 대승사상을 전하고 있다.
제1 「수명품(壽命品)」에서는 부처님께서 구시나국(拘尸那國)의 아리라발제하(阿利羅跋提河) 근처에 있는 사라쌍수 사이에서 반열반에 드실 때에 순다(純陀)가 올리는 마지막 공양을 받으시며 보시의 공덕을 설하시고, 해탈, 법신, 반야 등의 3법(法)과 상락아정(常樂我淨)의 4법, 여래상주(如來常住), 불성 등에 대해 설하신다.
제2 「금강신품(金剛身品)」에서는 여래의 몸은 금강처럼 견고하며 여래의 법신은 결코 파괴되지 않는 불가괴신(不可壞身)임을 설하시고, 이러한 법신을 가지게 된 것은 한량없는 공덕을 쌓은 결과라고 말씀하신다. 제3 「명자공덕품(名字功德品)」에서는 경 제목을 풀이하고 이 경전을 읽는 공덕에 대해 설한다. 제4 「여래성품(如來性品)」에서는 여래성, 열반, 4성제(聖諦), 4전도(顚倒) 등에 대해 설명한다.
제5 「일체대중소문품(一切大衆所問品)」에서는 부처님께서 대중을 위해 설법하신 내용 중에는 방편으로 설했던 예가 있었음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제6 「현병품(現病品)」에서는 부처님께서 병에 걸려 앓게 된 것은 단지 방편일 뿐이라고 설한다. 제7 「성행품(聖行品)」에서는 불도를 닦는 보살의 수행이 매우 성스러운 것임을 설하고, 부처님의 전법륜(轉法輪)의 의의를 밝힌다.
제8 「범행품(梵行品)에서는 12부 경전을 읽어야 하는 것과 4무량(無量), 4무애(無礙), 6염처(念處) 등 보살의 수행에 대해 설한다. 제9 「영아행품(嬰兒行品)」에서는 5가지의 행(行) 가운데 영아행에 대해 설명한다. 보살이 모든 사람을 분별하지 않고 평등하게 대해야 함을 어린 아이에 비유하여 설하고 있다. 제10 「광명변조고귀덕왕보살품(光明遍照高貴德王菩薩品)」에서는 부처님께서 고귀덕왕보살에게 『대열반경』을 배우고 익혀 얻게 되는 열 가지 공덕에 대해 설하신다.
제11 「사자후보살품(師子吼菩薩品)」에서는 부처님께서 사자후보살에게 불성, 중도(中道), 계박(繫縛), 수도(修道) 등에 대해 설하신다. 제12 「가섭보살품(迦葉菩薩品)」에서는 부처님께서 가섭보살에게 열반, 불성의 뜻과 자비 등을 설하신다. 제13 「교진여품(憍陣如品)」에서는 부처님께서 무상(無常), 고(苦), 무아(無我), 열반적정(涅槃寂靜)을 설법하시어 수많은 외도들이 부처님 법에 귀의하게 되었으며 아라한과를 얻었다는 이야기로 경을 끝맺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