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1. 개요
부처님이 문수 보살을 비롯한 12보살들의 질문에 대하여 시방(十方)에 편만(徧滿)하여 생멸이 없는 원각(圓覺) 묘심(妙心)과 원각 묘심을 깨닫기 위한 수행 방법에 대하여 설한 경전이다. 줄여서 『원각경(圓覺經)』, 『원각수다라요의경(圓覺修多羅了義經)』, 『원각요의경(圓覺了義經)』이라 한다. 별칭으로 『대방광원각경(大方廣圓覺經)』ㆍ『원각수다라요의경(圓覺修多羅了義經)』ㆍ『원각요의경(圓覺了義經)』이라고도 한다.
2. 성립과 한역
당(唐)나라 때 불타다라(佛陀多羅, Buddhatrāta)가 693년에 동도(東都)의 백마사(白馬寺)에서 번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이 경전에 대한 주석서로는 당나라 종밀(宗密)의 『대방광원각경대소(大方廣圓覺經大疏)』를 비롯한 9종류가 있다. 종밀이 주석하기 이전에도 유각(惟慤)의 소(疏) 1권ㆍ오진(悟眞)의 소 2권ㆍ견지(堅志)의 소 4권ㆍ도전(道詮)의 소 9권이 있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조선시대에 함허 득통(涵虛得通)이 지은 『원각경해(圓覺經解)』 3권 외에 연담 유일(蓮潭有一)의 『원각사기(圓覺私記)』 2권ㆍ의첨(義沾)의 『원각경사기(圓覺經私記)』 1권 등이 현존한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은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문수ㆍ보현ㆍ금강장(金剛藏)ㆍ미륵ㆍ청정혜(淸淨慧)ㆍ위덕자재(威德自在)ㆍ변음(辯音)ㆍ정제업장(淨諸業障)ㆍ보각(普覺)ㆍ원각ㆍ현선수(賢善首) 등 12보살들과의 문답을 통해 시방에 변만(遍滿)하여 생멸이 없는 원각묘심(圓覺妙心)과 그러한 원각묘심을 깨닫기 위한 수행방법에 대하여 설한 경전이다. 부처님과 1문1답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12보살들과의 문답을 각각 1장(章)으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