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무량수경우바제사원생게(無量壽經優波提舍願生偈)

1. 개요
이 논서는 『대무량수경』에 의거하여 왕생사상을 설하고 있으며, 5언 24송 96구의 게송과 장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토종에서 중시되는 문헌이며, 정토 3부경과 함께 3경1논을 이룬다. 줄여서 『무량수경우바제사(無量壽經優波提舍)』․『원생게(願生偈)』라고 하며, 별칭으로 『무량수경론(無量壽經論)』․『무량수경우바제사경론(無量壽經優婆提舍經論)』․『왕생론(往生論)』․『정토론(淨土論)』․『정토왕생론(淨土往生論)』이라고도 한다. 범어로는 Sukhāvatīvyũhopadeśa이다.
2. 성립과 한역
이 논서는 바수반두(婆藪盤豆, Vasubandhu)가 저술하였고, 중국 후위(後魏)시대에 보리유지(菩提流支, Bodhiruci)가 529년, 또는 531년에 낙양(洛陽)의 영영사(永寧寺)에서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로는 담란(曇鸞)의 『왕생론주(往生論註)』 2권․지광(智光)의 소(疏) 5권․친란(親鸞)의 「이문게(二門偈)」 등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이 논서는 5언 24송 96구의 게송과 장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무량수경』에 근거하여 왕생(往生) 사상을 설하고 있다. 게송 24행이 결론 지은 바는 최초의 4구에 포섭되며, 일심(一心) 원생(願生)의 사상과 믿음을 서술한 것과 다를 바 없다. 대략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심(一心) 귀명(歸命)에 의해 왕생 성불의 미묘한 과보를 얻는 이유를 설명하고, 왕생 및 성불의 인행(因行)이 정토의 수행상(修行相)인 5염(念)으로 끝남을 밝힌다. 그리고 예배문․찬탄문․작원문(作願門)․관찰문․회향문의 5염문(念門) 중에서 특히 관찰문을 상세히 설명하고, 능관(能觀)의 지(智)를 얻기 위해서는 지관(止觀)을 닦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관찰할 대상으로서 국토 장엄 17종․불(佛) 장엄 4종․보살 장엄 8종 등 모두 29종의 장엄상(莊嚴相)을 설하며, 이는 다 여래의 자리 이타의 공덕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