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보행왕정론(寶行王正論)

1. 개요
이 논은 한 논사가 보행왕(寶行王)에게 10선(善)·6바라밀·보살의 10지(地)·4무량(無量) 등 불교사상을 설하여, 왕이 수행에 힘쓰며 올바른 정치를 하도록 교화하는 내용이다. 산스크리트경명(梵語經名)은 Ratnāvalī이고, 티벳어경명(西藏語經名)은 Rgyal po la gtam bya ba rin po cheḥi phreṅ ba이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진(陳)나라 때 진제(眞諦, Paramārtha)가 557년에서 569년 사이에 제지사(制旨寺)에서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논은 한 논사가 보행왕(寶行王)에게 10선(善)·6바라밀·보살의 10지(地)·4무량(無量) 등 불교사상을 설하여, 왕이 수행에 힘쓰며 올바른 정치를 하도록 교화하는 내용이다. 모두 다섯 품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 「안락해탈품(安樂解脫品)」은 10선(善)과 10악(惡) 등을 기술하여 수행의 대요를 전하고, 대승 불교의 세계관을 제시한다. 유무(有無)의 2변(邊)과 아유(我有)·아소(我所)의 두 사견(邪見)을 논파하고, 3세(世) 실유(實有)의 문제를 다룬다. 승거(僧佉, Sāṃkhya), 위세사(衛世師, Vaiśeṣika), 니건자(Nirgrantha-putra), 유아론(有我論), 자성론(自性論), 구의론(句義論) 등의 세계관을 비판하고, 불교의 업론과 인과론을 선양한다. 제2 「잡품(雜品)」은 여러 가지 선행을 나열하여 그 공덕의 심대함을 설하고, 여러 가지 악행을 파괴하여 10계를 지킬 것을 권한다. 제3 「보리자량품(菩提資糧品)」은 전륜성왕, 전법륜왕, 대인(大人) 상호(相好) 32상(相)과 80수호(隨好)를 열거하고, 각각의 모습이 어떤 공덕에 의해 성취됐는지 설명한다. 제4 「정교왕품(正敎王品)」은 선업과 악업을 세밀하게 나누어, 왕이 걸어야 할 길을 간절하게 가르친다. 여기에는 불교도가 보살로서 닦아야 할 일반적인 덕목도 포함된다. 제5 「출가정행품(出家正行品)」은 57추류혹(麤類惑)과 보살의 10지(地) 사상을 설한다. 여기서 설하는 보살 10지 사상은 『인왕경(仁王經)』, 『화엄경(華嚴經)』에서 기술하는 대승의 10지와 완전히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