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무상사진론(無相思塵論)

1. 개요
이 논은 현장(玄奘)이 한역한 『관소연연론』의 구역이다. 산스크리트경명(梵語經名)은 Ālambanaparīkṣā이고, 티벳어경명(西藏語經名)은 Dmigs pa brtag pa이다. 줄여서 『사진론(思塵論)』이라고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진(陳)나라 때 진제(眞諦)가 558년에서 569년 사이에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이역본으로 현장(玄奘)이 한역한 『관소연연론(觀所緣緣論)』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논은 현장(玄奘)이 한역한 『관소연연론』의 구역이다. 진나(陳那)의 저술로 4자 4구의 11게송과 그에 대한 주석으로 이루어진다. 그 내용은 상(相)·체상(體相) 혹은 외경(外境)으로 주어진 소연(所緣)은 실재가 아니며, 인식대상은 오직 내부의 식이 반영돼 나타난 것에 불과하다고 한다. 한편 현장(玄奘)의 이역본과 서로 다른 한역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여기서 말하는 ‘인허(鄰虛)’란 현장 역의 ‘극미(極微)’에 해당하며, 외진(外塵)이란 외경에 해당한다. 내용은 『관소연연론』과 대체로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