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역대삼보기(歷代三寶記)

1. 개요
이 경은 중국 황제의 연대에 맞춰 열거한 불교사 연표와 후한 시대부터 수 시대까지 번역한 불전 목록 등을 수록한다. 별칭으로 『개황삼보록(開皇三寶錄)』·『개황록(開皇錄)』·『삼보록(三寶錄)』·『장방록(長房錄)』이라고도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수(隋)나라 때 비장방(費長房)이 597년에 편찬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15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중국 황제의 연대에 맞춰 열거한 불교사 연표와 후한 시대부터 수 시대까지 번역한 불전 목록 등을 수록한다. 전체 내용은 크게 제년(帝年), 역경(譯經), 입장목록(入藏目錄), 총목록(總目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제년은 중국 황제의 연대에 맞춰 열거한 불교사 연표로, 제1권부터 제3권까지이다. 역경은 후한부터 수 시대까지 번역한 불전 목록을 시대별로 정리한 것으로, 제4권부터 제12권까지이다. 입장목록은 수 시대까지 번역한 경전을 대승과 소승으로 나누어 목록을 정리한 것으로, 제13권과 제14권이다. 제13권 대승록(大乘錄)은 대승을 수다라(修多羅)·비니(毘尼)·아비담(阿毘曇)으로 나누고, 다시 각각 유역(有譯)과 실역(失譯)으로 나눈다. 모두 551부 1586권을 수록한다. 제14권 소승록(小乘錄) 역시 수다라·비니·아비담으로 나누고, 다시 각각 유역과 실역으로 나눈다. 모두 525부 1783권을 수록한다. 제15권은 총목록이다. 여기에는 앞의 목록 뿐 아니라 승우(僧祐)의 『출삼장기집(出三藏記集)』, 법경(法經)의 『중경목록(衆經目錄)』 등 25종의 목록 등을 모두 모아 놓았다. 그 중 『역대삼보기』 목록만 편자 비장방(費長房)이 황제에게 경과를 보고한 상개황삼보록표(上開皇三寶錄表)를 수록한다. 이 목록은 위의 네 가지를 모두 정리해 포괄하는 범위가 넓고, 번역 연대와 역자 등에 대해서도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 목록에는 현재 없는 책이나 위경임이 명백한 불전까지 입장목록에 포함하고, 이름이 다른 하나의 불전을 각각 모두 수록한다. 또 제10권의 대공론(大空論)에 대한 설명 가운데 후대에 성립한 『대당내전록(大唐內典錄)』의 자료를 인용하는데, 이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이 문헌이 후대에 가필(加筆)된 것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