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출생무변문다라니경(出生無邊門陀羅尼經)

1. 개요
이 경은 출생무변문 다라니와 그것을 수지 독송하는 공덕을 설한다. 산스크리트경명(梵語經名)은 Anantamukhadhāraṇī이고, 티벳어경명(西藏語經名)은 Ḥphags pa sgo mthaḥ yas pa sgrub pa shes bya baḥi gzuṅs이다. 줄여서 『무변문다라니경(無邊門陀羅尼經)』·『출생무변문경(出生無邊門經)』이라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당(唐)나라 때 불공(不空, Amoghavajra)이 한역하였다. 그는 금강지(金剛智, Vajrabodhi)와 함께 720년에 낙양(洛陽)에 와서 774년에 입적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는 없으며, 이역본으로 『무량문파마다라니경』·『불설무량문미밀지경』·『물설아난다목거니가리타린니경』·『불설일향출생보살경』·『불설출생무량문지경』·『사리불다라니경』·『아난다목거니가리타경』·『출생무변문다라니경』(K-331)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출생무변문 다라니와 그것을 수지 독송하는 공덕을 설한다. 부처님이 열반에 들기 석 달 전, 비사리성의 대림중누각(大林重樓閣)에 있을 때 모든 비구들을 소집한다. 목건련은 수미산에서 큰소리를 내어 4만 명의 비구를 모으고 사리불도 신통력으로 세상의 모든 보살을 모이게 한다. 사리불은 부처님에게 막힘 없는 설법 능력과 지혜를 얻어 깨달음을 얻는 방법을 청한다. 이에 부처님은 모든 법에 집착 없이 다라니를 수지 독송할 것을 권하고 출생무변문 다라니를 설한다. 이어 사리불을 통해 공(空)의 가르침이 들어 있는 출생무변문 다라니를 배우는 것은 무상 정진도(正眞道), 즉 정각에서 물러나지 않기 위함이라는 입장을 설한다. 이 다라니를 수지 독송하는 보살에게는 네 가지 공덕이 있다. 제불(諸佛)의 가르침을 이해하고, 제(諸) 마장(魔障)을 소멸하며, 업장을 떠나고, 막힘이 없는 설법의 능력을 얻는 것이다. 그 밖에도 이 다라니의 공덕을 설명하는 몇 가지 예를 보인다. 이 경은 3세기 초에서 8세기 후반에 이르기까지 여덟 가지 한역이 현존하는데, 시간가 지나면서도 일관되게 다라니 한 구(句)만을 설명한다. 물론 시대가 지남에 따라 이 다라니가 점차 길어지고 증장되는 경향이 있지만, 이 다라니의 수지 독송을 통해 정각을 얻는 공덕을 강조하는 점은 거의 변함이 없다. 재앙을 없애려는 잡밀경의 경향과 달리 정각의 성취를 계속해서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