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대락금강살타수행성취의궤(大樂金剛薩埵修行成就儀軌)

1. 개요
이 경은 금강살타를 본존으로 하는 밀교 수행 절차를 설한다. 줄여서 『대락경(大樂經)』·『대락금강살타의궤(大樂金剛薩埵儀軌)』라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당(唐)나라 때 금강지(金剛智, Vajrabodhi)와 함께 720년에 낙양(洛陽)에 와서 774년에 입적한 불공(不空, Amoghavajra)이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금강살타를 본존으로 하는 밀교 수행 절차를 설한다. 중생의 안락과 이익을 원하여 수행을 하고자 하는 자는 먼저 자성성취(自性成就) 진언을 염송한다. 이 진언을 외무면 모든 장애를 없애고 평안함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이어서 모든 것이 덧없다는 무자성관(無自性觀)을 행하여 보리심을 일으킨다. 보현보살의 보리심을 관상하여 수행자가 자신을 보현보살과 동일시하는 관법을 설하는데, 둥근 달 모양 위의 금강저가 변하여 금강살타가 되는 것을 상상한다. 금강살타는 머리에 다섯 명의 부처를 새긴 보관(寶冠)을 쓴 형상이다. 이어서 금강 합장인(合掌印), 금강박인(金剛縛印)과 그에 해당하는 다라니를 설한다. 그리고 비로자나불을 비롯해 무동불, 보생불, 무량광불, 불공성취존 등의 5불 진언을 염송하면서 5불을 염상한다. 뒤이어 금강살타(金剛薩埵), 금강전(金剛箭), 금강희열(金剛喜悅), 금강애(金剛愛), 금강욕자재(金剛欲自在) 등의 5비밀존(秘密尊), 금강묘적열(金剛妙適悅)을 비롯한 여덟 명의 내외 공양 보살, 그리고 금강구(金剛鉤)를 비롯한 네 명의 섭(攝) 보살에 대한 묘사와 각각의 수인, 진언 등을 설한다. 수행자는 금강살타보살이 이 16존(尊)에 둘러싸인 것을 상상하면서 진언을 외우고 향을 공양한다. 또 5비밀법을 설한다. 이는 금강살타를 비롯한 5비밀존 앞에서 죄를 씻는 것으로 진신애염인(盡身愛染印), 금강치성일삼매야인(金剛熾盛日三昧耶印) 등을 맺는다. 아울러 공양법을 간단히 제시하고 옴(唵)자 진언, 108명찬(名贊), 알가인(閼伽印), 봉송인(奉送印) 등과 진언으로 의궤를 마무리한다. 경명의 끝에 ‘출길상승초교왕유가경(出吉祥勝初敎王瑜伽經)’이 첨가된 것으로 미루어, 『이취경』의 광본(廣本)이라고 추정되는 『승초유가경』에서 발췌 요약한 내용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승초유가경』에서 약출(略出)한 것으로 보이는 경전에 『금강정승초유가중략출대락금강살타염송의(金剛頂勝初瑜伽中略出大樂金剛薩埵念誦儀)』와 『금강정승초유가보현보살염송법(金剛頂勝初瑜伽普賢菩薩念誦法)』이 있다. 이 두 경은 그 내용이 유사하고 5비밀존(秘密尊)과 8공양 보살, 4섭(攝) 보살을 중심으로 하는 의식 절차를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