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닫기

시설론(施設論)

1. 개요
이 논서는 근본설일체유부의 6족론 중 하나인 『아비달마시설족론(阿毘達磨施說足論)』의 내용 중에서 인 시설, 즉 인연의 이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산스크리트 경명은 Prajñaptipāda Śāstra이고, 티벳어 경명은 Rgyu gdags pa이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북송(北宋)시대에 법호(法護, Dharmarakṣa) 등이 1018년에서 1058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7권으로 구성된 이 논서는 근본설일체유부의 6족론의 가운데 하나인 아비달마시설족론(阿毘達磨施設足論, Abhidharma-prajñapti-pāda śāstra)의 내용 중에서 인(因) 시설, 즉 인연의 이치에 대한 부분을 담고 있다. 유부의 6족론 중에서도 시설족론은 특히 중요한 논서로 꼽히는데, 본 시설론이 시설족론의 일부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저자의 문제 또한 일치하지 않는다. 예로부터 한문본에서는 대가다연나(大迦多衍那, Mahākātyāyana)의 저술로서 알려져 있는 반면에 산스크리트 어 본과 티베트 어 본에서는 성(聖) 목건련(目犍連, Ārya Maudgalyāyana)이 저술한 것이라 한다. 현재로서는 성 목건련의 저술로 보고 있으며, 시설론 또한 시설족론의 일부라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본래 시설족론(施設足論)의 내용은 제1 세간(世間) 시설(Loka-prajñapti), 제2 인(因) 시설(Kāraṇa-prajñapti), 제3 업(業) 시설(Karma-prajñapti), 세 부문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하지만 시설론의 내용은 그 중 인 시설 부문의 부분적인 역본에 그친다. 전체 7권 중에서 앞 부분 3권은 북송(北宋)의 법호(法護)가 번역한 것이며 그 나머지는 유정(惟淨)이 번역하였다. 내용 가운데는 전륜성왕이 말, 보배 구슬, 코끼리, 여인, 주장(主藏: 신하) 등의 일곱 가지 보물을 가지게 된 인연을 비롯하여, 보살이 태어날 때 상서로운 일들이 생기는 인연, 부처님의 제자들이 부처님보다 먼저 입적하는 인연, 부처님과 전륜성왕이 32상을 갖추게 되는 인연, 탐‧진‧치, 3독심이 생기는 인연, 선악의 인연과 생사의 인연 및 신통력의 인연 등과 바다의 생성 및 밀물과 썰물, 비와 구름의 인연에 이르기까지 갖가지 다양한 인연들을 거론하여 해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