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태고화상어록(太古和尙語錄)

제목정보
대표서명 태고화상어록(太古和尙語錄)
저자정보
저자 보우(普愚)
발행정보
간행시기 고려
형태정보
권사항 v06
확장정보
시작책_시작번호 v06_p0669a
시작책_끝번호 v06_p0702a
시작책_권수 2
시작책_단수 100
끝책_시작번호 v06_p0669a
끝책_끝번호 v06_p0702a
끝책_권수 2
끝책_단수 100

[서지해제]

1. 저자
태고 보우太古普愚(1301~1382) 속성은 홍洪. 경기도 양근군(楊平郡) 출신. 13세에 양주 회암사檜巖寺로 출가하였고, 19세에 은사인 광지廣智 선사에게 받은 만법귀일萬法歸一 화두를 궁구하여 타파하였다. 그 뒤로도 화두 공부에 매진하다가 46세 되던 1346년(충목왕 2) 원나라로 가서 석옥 청공石屋淸珙을 친견하였다. 1356년(공민왕 5) 왕사王師로, 1371년(공민왕 20) 국사國師로 책봉되었다. 소설산의 암자에서 입적하였다
2. 서지 사항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월정사月精寺, 1940년 발행. 보제사普濟社에서 발행한 연인본鉛印本과 같다. 대교본은 이능화李能和의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 중편 pp.206~254에 수록된 것이다. 현재까지 이전 판본은 발견되지 않았다.
3. 구성과 내용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월정사月精寺, 1940년 발행. 보제사普濟社에서 발행한 연인본鉛印本과 같다. 대교본은 이능화李能和의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 중편 pp.206~254에 수록된 것이다. 현재까지 이전 판본은 발견되지 않았다.간화선을 집중적으로 시현한 태고 보우의 어록.<개행>보우의 제자 설서雪栖가 상하 2권으로 엮었다. 상권은 상당上堂ㆍ시중示衆ㆍ법어法語ㆍ가음명歌吟銘, 하권은 게송偈頌ㆍ찬발讚跋ㆍ부록附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지일관 간화선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태고의 선사상을 일관되게 포착할 수 있다. 대부분의 법어는 화두의 관문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고봉 원묘高峰原妙ㆍ천목명본天目明本ㆍ몽산 덕이蒙山德異 등 간화 선사들의 방법론에 기초한 내용이 전개되지만, 진각 혜심眞覺慧諶에서 구체화된 우리의 간화선을 확고한 전통으로 정착시킨 어록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그 영향은 고스란히 후대의 서산휴정西山休靜까지 계승된다.<개행>대부분의 법어는 인식 수단이 통하지 않는 은산철벽銀山鐵壁의 경계로 유도한다. 특별히 무자無字 화두에 대한 활용이 많은 점도 특징이다. 화두 이외의 다른 생각이 파고들면 헛된 것에 미혹되므로 일상의 모든 경계에서 화두만을 알아차리고 대결해야 한다고 전한다. 화두를 점검하는 사항을 세세하게 나누어 보여 줌으로써 참선의 방향을 구체화했다. 화두를 타파했더라도 종사를 친견하고 점검을 받아야 한다는 점을 반복하여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