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통록촬요(通錄撮要)

제목정보
대표서명 통록촬요(通錄撮要)
저자정보
저자 미상(未詳)
역자 성재헌
발행정보
간행시기 조선
형태정보
권사항 v07
확장정보
시작책_시작번호 v07_p0767a
시작책_끝번호 v07_p0828b
시작책_권수 4
시작책_단수 185
끝책_시작번호 v07_p0767a
끝책_끝번호 v07_p0828b
끝책_권수 4
끝책_단수 185

[서지해제]

1. 저자
밀계密契(생몰년 미상) 행적 미상.
2. 서지 사항
전남 광양 백운산 만수암萬壽庵, 1529년(중종 24) 간행. 목판본. 4권 1책. 30.1×19.8cm. 『석가여래행적송』과 합간본合刊本이며, 벽송 지엄碧松 智嚴의 발문이 있다. 저본에는 〈여산우담화상권수정업어록廬山優曇和尙勸修淨業語錄〉과 〈용서보권수지문龍舒普勸修持文〉으로 이루어진 1편의 부록만이 실려 있었는데, 『한국불교전서』를 편집할 때 벽송 발문의 협주에 의거, 당시 함께 간행된 것으로 알려진 〈효순문孝順文〉, 〈염불작법念佛作法〉, 〈불설팔관재계비밀구생정토심요佛說八關齋戒秘密求生淨土心要〉 등 수편의 문헌들을 『고려불적집일高麗佛籍輯佚』에서 발췌, 추가하여 실었다.
3. 구성과 내용
전남 광양 백운산 만수암萬壽庵, 1529년(중종 24) 간행. 목판본. 4권 1책. 30.1×19.8cm. 『석가여래행적송』과 합간본合刊本이며, 벽송 지엄碧松 智嚴의 발문이 있다. 저본에는 〈여산우담화상권수정업어록廬山優曇和尙勸修淨業語錄〉과 〈용서보권수지문龍舒普勸修持文〉으로 이루어진 1편의 부록만이 실려 있었는데, 『한국불교전서』를 편집할 때 벽송 발문의 협주에 의거, 당시 함께 간행된 것으로 알려진 〈효순문孝順文〉, 〈염불작법念佛作法〉, 〈불설팔관재계비밀구생정토심요佛說八關齋戒秘密求生淨土心要〉 등 수편의 문헌들을 『고려불적집일高麗佛籍輯佚』에서 발췌, 추가하여 실었다.4권 5품, 즉 제1 「종안품宗眼品」, 제2 「정전품正傳品」, 제3 「호현품互顯品」, 제4 「산성품散聖品」, 제5 「유통품流通品」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기後記에서 『통록촬요』는 송의 석공진釋拱辰이 찬술한 『조원통록祖源通錄』을 밀계密契가 촬요한 것이라고 적고 있으나 「종안품」과 「정전품」은 가섭으로부터 달마에 이르기까지 서천 27조에 대한 기록으로서 『조원통록』이 아닌 『통요統要』와 『전등록』에서 끌어온 내용이기 때문에 단순히 한 권의 책만을 촬요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 더구나 내용 중에 다수의 신라 승과 고려 승을 언급하고 있으며, 특히 나옹 혜근의 전기와 어록을 상세히 수록하고 있어 불교사적으로도 매우 의미 있는 저술로 판단된다.<개행>여말선초麗末鮮初의 임제종을 이은 선사로 태고 보우太古普愚, 백운 경한白雲景閑, 나옹 혜근懶翁慧勤을 꼽는다. 이 가운데 태고 보우는 임제종의 해동 초조로 추앙되는 선사이다. 그러나 『통록촬요』는 나옹 혜근만을 특별히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이것은 편자가 나옹 혜근과 무학 자초無學自超, 득통 기화得通己和로 이어지는 법맥의 계승자일 것이라는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조선 선종의 법계 문제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