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괄허집(括虛集)

제목정보
대표서명 괄허집(括虛集)
저자정보
저자 취여(取如)
역자 김종진
발행정보
간행시기 조선
형태정보
권사항 v10
확장정보
시작책_시작번호 v10_p0302b
시작책_끝번호 v10_p0324b
시작책_권수 2
시작책_단수 67
끝책_시작번호 v10_p0302b
끝책_끝번호 v10_p0324b
끝책_권수 2
끝책_단수 67

[서지해제]

1. 저자
괄허 취여括虛取如(1720~1789) 속성은 여余, 모친은 안동 권씨. 지금의 문경 산양면 송죽리에서 출생. 13세에 사불산 대승사의 능파凌波 조사에게서 삭발하고, 진곡眞谷 선사에게서 구족계를 받았다. 환암幻庵 장로에게서 선지禪旨를 받고, 환응幻應 선사의 의발을 받았다. 청허 휴정의 10세손이 되었다. 여러 해를 유력하다가 문경 사불산 운봉사雲峰寺(지금의 김룡사)에서 주석하며 정진하다가 크게 깨달았다. 문경 지역에서 주로 활동하였으며, 경북 일대에서 강설과 문장으로 이름을 날렸다. 권섭權燮ㆍ정범조丁範祖ㆍ권상일權相一 등의 사대부 문사와 폭넓게 교류한 흔적이 있다.
2. 서지 사항
경북 문경 김룡사金龍寺 양진암養眞庵, 1888년(고종 25) 개간. 목활자본. 2권 1책. 31.0×20.4cm. 후학 혜운惠雲과 치민致敏 등이 유고를 모아 간행.
3. 구성과 내용
후학 혜운惠雲과 치민致敏 등이 유고를 모아 간행.권두에 김성근金聲根(1888년)ㆍ허훈許薰(1887년)ㆍ함홍 치능涵弘致能의 서문(1878년)이 실려 있다. 권1에는 사辭 3편, 고시 6편, 오언절구 23편, 칠언절구 46편, 오언율시 19편, 칠언율시 26편 등의 시가 실려 있다. 권2에는 30편의 문이 수록되어 있다. 권말에는 〈괄허대사행장括虛大師行狀〉과 〈괄허대화상유고후발括虛大和尙遺稿後跋〉(1888년)이 실려 있다.
시는 정제되고 간결한 수행자의 내면을 보여 주는 작품이 많다. 그 가운데 수행의 자세나 선리禪理에 대한 언급이 많다. 두 수의 〈임종게臨終偈〉는 그의 수행 정도를 잘 보여 준다. 그런가 하면 〈인인술회因人述懷〉나 〈별정성대사別定惺大師〉처럼 인간사에서 발생한 내면의 떨림을 보여 주는 작품들도 있다.
산문의 많은 분분은 문경 운달산의 김룡사金龍寺, 칠봉산의 백련암白蓮庵, 복우산의 백련암, 약수산의 운암사雲巖寺, 도솔산의 삼성암三聖庵, 대미산의 석선암石仙庵 등 문경을 중심으로 그 부근 사찰과 암자와 관련된 것들이다. 〈괄허설括虛說〉은 자호의 의미와 명명 의도를 밝힌 글이다. 〈족부족설足不足說〉에서는 만족과 부족함은 사물이 아니라 자신의 내면에 달린 것임을 서술했는데, 송익필의 시 〈족부족足不足〉의 내용과 비슷하다. 〈치쟁승설治爭僧說〉, 〈계악자설誡惡者說〉, 〈송홍탄대사서送洪綻大師序〉 등 재치 넘치는 단형의 산문도 남겼다.
18세기 불승의 수행 및 학문 수준, 선승과 사대부의 교류 양상, 문경을 중심으로 한 경상 북부 사찰의 연혁에 대한 소중한 내용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