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대방등대집경현호분(大方等大集經賢護分)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대승각론(大乘各論)-정토(淨土)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經-大集經
제목정보
대표서명 대방등대집경현호분(大方等大集經賢護分)
경명 대방등대집경현호분(大方等大集經賢護分) 5권
병음 DAFANGDENGDAJIJINGXIANHUFEN
약경명 대집경현호분(大集經賢護分)
별명 대방등대집현호경(大方等大集賢護經), 대집현호보살경(大集賢護菩薩經), 대집현호경(大集賢護經), 현호경(賢護經), 현호보살경(賢護菩薩經)
저자정보
역자 사나굴다(闍那崛多, Jñānagupta)
형태정보
권사항 5
확장정보
고려_위치 07-0887
고려_주석 通檢에 의거 별명 大集賢護經 표기. 通檢은 공동역자 笈多(Dharmagupta) 표기. KBC에 의거 번역년대를 A.D.694-695에서 좌와 같이 교정.
신수_NR T.0416
신수_위치 13-0872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범] Mahāvaipulyamahāsannipātabhadrapāla Sūtra
산스_NOTE
적사_VOL 07
적사_PAGE 117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073
중화_VOL 011
중화_PAGE 0373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이 경전의 이름은 대승 불교의 교리를 묶은 대집경 가운데서 현호 보살과 문답한 부분이라는 뜻이다. 줄여서 『대집경현호분』이라 하며, 별칭으로 『대방등대집현호경』ㆍ『대집현호보살경』ㆍ『현호경』ㆍ『현호보살경』이라고도 한다. 전체 17품으로 되어 있다.
2. 성립과 한역
수(隋)나라 때 사나굴다(闍那崛多, jñānagupta)가 594년에 번역을 시작하여 595년에 끝마쳤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이역본으로 『반주삼매경』ㆍ『발파보살경』ㆍ『불설반주삼매경』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경 이름에 분(分)이라 되어 있으나, 대방등대집경의 부분이 아니라 안에 수록된 것이 아닌 별개의 경전이다. 총 5권 전체 17품으로 되어 있다. 제1 사유품(思惟品), 제2 삼매행품(三昧行品), 제3 견불품(見佛品), 제4 정신품(正信品), 제5 수지품(受持品), 제6 관찰품(觀察品), 제7 제행구족품(諸行具足品), 제8 칭찬공덕품(稱讚功德品), 제9 요익품(饒益品), 제10 구오법품(具五法品), 제11 수기품(授記品), 제12 심심품(甚深品), 제13 십법품(十法品), 제14 불공공거품(不共功德品), 제15 수희공덕품(隨喜功德品), 제16 각오품(覺寤品), 제17 촉루품(囑累品). 품의 구성은 반주삼매경과 차이가 있으나 내용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