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불설법화삼매경(佛說法華三昧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대승기본(大乘基本)-여인성불(女人成佛)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經-五大部外諸重譯經
제목정보
대표서명 불설법화삼매경(佛說法華三昧經)
경명 불설법화삼매경(佛說法華三昧經) 1권
병음 FOSHUOFAHUASANMEIJING
약경명
별명
저자정보
역자 지엄(智嚴)
형태정보
권사항 1
확장정보
고려_위치 06-0709
고려_주석 KBC는 번역시대를 劉宋으로 표기.
신수_NR T.0269
신수_위치 09-0285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산스_NOTE
적사_VOL 09
적사_PAGE 118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121
중화_VOL 015
중화_PAGE 0481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반야 공관(空觀)의 입장에서 법화삼매를 얻는 방법으로 4사(事)・36사(事)를 설명한 경전이다. 또한 법화의 교리를 반야 공관에 의거해 설명하고 있고, 공관으로 일관한 경지를 법화삼매라고 정의한다.
2. 성립과 한역
유송(劉宋)시대에 지엄(智嚴)이 427년에 양주(楊州)의 지원사(枳園寺)에서 번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이 경은 전체 1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처님이 나열기의 기사굴산에 머물 때였다. 나열기의 왕과 후궁, 태자, 왕녀 등이 왔을 때, 부처님이 땅 속에서 솟아나와 대보련화 위에 앉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그 모습을 본 왕녀 이행(利行)이 부처님에게 그러한 신비한 일을 가능하게 해주는 법화 삼매에 대해서 묻고, 그에 대해 부처님이 설명하는 내용이다. 부처님은 삼매 중에서도 법화 삼매가 으뜸이라고 말하고, 법화 삼매를 통해서 여자의 몸으로도 성불할 수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