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능가아발다라보경(楞伽阿跋多羅寶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대승각론(大乘各論)-여래장(如來藏)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經-五大部外諸重譯經
제목정보
대표서명 능가아발다라보경(楞伽阿跋多羅寶經)
경명 능가아발다라보경(楞伽阿跋多羅寶經) 4권
병음 LENGJIAABADUOLUOBAOJING
약경명 능가경(楞伽經)
별명 사권능가(四卷楞伽)
저자정보
역자 구나발다라(求那跋陀羅, Guṇabhadra)
형태정보
권사항 4
확장정보
고려_위치 10-0785
고려_주석 KBC는 번역시대를 劉宋으로 표기.
신수_NR T.0670
신수_위치 16-0479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장] Ḥphags pa laṅ kar gśegs pa rin po cheḥi mdo las saṅs rgyas thams cad kyi gsuṅ gi sñiṅ po shes bya baḥi leḥu
티벳_북경_NR 0776
티벳_북경_위치 29-85, ?u208b3
티벳_DU_NR 0108
티벳_DU_위치 Ca192a1
티벳_DT_NR 0108
티벳_DT_위치 10-401, Ca383,1
티벳_NOTE
산스_NAME [범] Laṅkāvatāra Sūtra
산스_NOTE
적사_VOL 10
적사_PAGE 349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168
중화_VOL 017
중화_PAGE 0561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의 제목인 ‘능가아발다라보경’은 산스크리트어를 음역한 것이며, ‘능가에 들어가는 귀중한 경’이라는 뜻이다. 이 경이 설해진 곳이 바로 남해의 능가산이기 때문이다. 산스크리트 경명은 Lankāvatārasūtra이고, 티벳어 경명은 Ḥphags pa laṅ kar gśegs paḥi theg pa chen poḥi mdo이다. 별칭으로 『4권능가』라고도 한다.
2. 성립과 한역
유송(劉宋)시대에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Guṇabhadra)가 443년에 양주(楊州)의 도량사(道場寺)에서 번역하였다. 유송시대에 한역했기 때문에 송역(宋譯)이라고도 부른다. 여러 한역본 중에서도 산스크리트 원본에 가장 근접한 한역본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경은 중국에서 번역된 이래로 선종의 소의 경전으로 평가받을 만큼 많은 영향을 미쳤다. 『능가경』의 세 가지 한역본 중에서 가장 많이 읽힌 것은 바로 이 4권본인데, 주석서들 역시 거의 이 4권본을 저본으로 삼고 있다. 참고로 『능가경』의 산스크리트본에 대한 최초의 한역은 담무참(曇無讖, 385~433년)이 전체 4권으로 완역했던 『능가경』이라고 하지만,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이 완성된 시기인 704년에 이미 상실된 상태였으며 현재 전하지 않는다.
3. 주석서와 이역본
대표적인 주석서로는 덕청(德淸)의 『관능가경기(觀楞伽經記)』가 있으며, 원효가 지은 3권의 주석서는 모두 전하지 않는다. 이역본으로 『대승입능가경(大乘入楞伽經)』ㆍ『입능가경(入楞伽經)』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이 경은 총 4권이며, 구성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다른 이역본들은 품이 나누어져 있는 데 반해, 이 경은 전체가 「일체불어심품(一切佛語心品)」 하나로 되어 있다. 또한 제1「나바나왕근청품(羅婆那王勤請品)」ㆍ제9「다라니품」ㆍ제10「게송품」에 해당하는 부분이 빠져 있으며, 끝 부분의 식육을 금하는 부분도 다른 두 역본에 비하여 매우 간단한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 현존하는 번역본 중에서 가장 오래된 형태로 추정된다.
각 권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혜(大慧) 보살이 게송으로 찬탄하는 제1권의 첫 부분은 서분에 해당한다. 다음, 백팔문답(百八問答) 이하는 정종분에 해당한다. 정종분은 다시 총론과 각론으로 나눌 수 있는데, 백팔문답과 백팔구(百八句)를 설하는 부분이 바로 총론이라 할 수 있다. 이 총론 부분은 경전 전체의 강목(綱目)을 나타내고자 시도하였으나, 각론에서 언급되지 않은 내용 역시 제시되어 있다. 다음, 식(識)을 설하고 있다. 식에 대해서 간략히 말하면, 진식(眞識), 현식(現識), 분별사식(分別事識) 등의 셋이 있으나 자세하게는 여덟 가지 식이 있다고 설명한다. 또 7종 자성, 7종 제일의, 자각성지(自覺聖智)의 3상(相) 등을 설한다. 그런 뒤, 4점과 4돈을 설한다. 4점은 점정(漸淨)의 네 가지 비유이며, 4돈은 돈현(頓現)의 네 가지 비유이다. 이 같은 4점 4돈설은 후대 선 불교의 돈점관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 다음에 3자성(自性), 5법, 2무아 등이 설해진다. 3자성은 망상(妄想) 자성, 연기(緣起) 자성, 성(成) 자성을 말한다. 5법은 명(名), 상(相), 각상(覺相), 정지(正智), 여여(如如) 등을 말하며, 2무아는 인(人) 무아와 법(法) 무아를 말한다. 8식을 포함하여, 5법 3자성 8식 2무아를 능가경의 주제라고 파악하여 왔다. 이들 중 2무아는 대승 불교 공통의 공사상을 의미하지만, 5법 3자성 8식은 모두 유식 사상의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능가경은 이들 교설을 하나로 묶어서 설함으로써 유식 사상만이 아니라 대승 사상 전체를 종합하고자 하였다. 그 다음 7종의 공(空)을 제시한 뒤, “모든 법은 언설을 떠난 공”이라 하였다. 그러므로 모든 경전에서 설한 법문들을 이해함에 있어서 언설에서 성스러운 지혜를 찾아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제2권은 여래장을 설하는 부분부터 시작된다. “여래장은 자성이 청정하지만 32상을 갖고 모든 중생들의 몸에 들어가 있으며, 값비싼 보배가 때 묻은 옷 속에 파묻혀 있는 것같이 음(陰)과 계(界)와 입(入)에 파묻혀 있으며, 탐욕ㆍ성냄ㆍ어리석음ㆍ망상ㆍ번뇌 등에 의해서 오염되어 있다.”라고 하였다. 여래장은 본래 청정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염오되어 있는 이중 구조라고 보았다. 그렇지만 자칫 이 같은 여래장을 외도(外道)에서 말하는 자아 개념과 동일시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문제를 능가경은 정면에서 다루고 있는데, 여래장 역시 무아라고 말한다. 곧 무아 여래장의 개념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 주요한 교설로서는 우부소행선(愚夫所行禪), 관찰의선(觀察義禪), 반연여선(攀緣如禪), 여래선(如來禪) 등 4종 선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우부소행선은 성문, 연각, 외도 등의 수행자들이 인무아를 관찰함에 있어서 무상과 고의 부정에만 집착하는 것인데, 이는 관(觀)과 다르지 않으니 상(想)이 제거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어리석은 범부들이 행하는 선이라고 이름한 것이다. 둘째 관찰의선은 법무아를 관찰하여 점차 나아가는 것을 말한다. 셋째 반연여선은 망상이 생하지 않는 진여에 입각한 선을 말한다. 넷째 여래선은 여래지(如來地)에 들어가서 자각성지상의 3종 낙주(樂住)를 얻는 것을 말한다. 여기의 자각성지상을 “보살 마하살이 홀로 고요한 곳에서 스스로 깨닫고 관찰하며 다른 것으로 말미암지 않나니 망상을 떠나서 더더욱 위로 승진(昇進)하여 여래지에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제3권의 주요 교설은 일자불설(一字不說), 설통종통(說通宗通), 외도의 열반론 비판 등을 들 수 있다. 일자불설을 설하는 본문은 다음과 같다. “대혜가 다시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께서 ‘나는 어느 날 밤 정각을 얻은 날부터 어느 날 밤 반열반에 들 때까지 그 중간에 한 글자도 설하지 않았다.’라고 하신 것과 같이, 역시 과거에도 설하지 않았으며 미래에도 설하지 않을 것이다. 설하지 않는 것이 부처님의 설법이다.” 이 구절은 구경의 경계는 언어를 떠나 있음을 선언하고 있는 것으로서, 널리 인용되고 있다. 또 이 같은 일자불설의 입장은 선불교의 불립 문자의 입장과 같은 것으로서, 능가경이 선불교로부터 크게 환영받았던 원인의 하나가 되었다. 그렇지만 언어가 완전히 부정되는 것은 아니다. 언어와 깨달음이 서로 상보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능가경 스스로 설하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설통(說通) 종통(宗通)의 교설이다. 설통은 중생들의 마음이 응하는 바에 갖가지로 설하여 경전을 이루는 것을 말하며, 종통은 수행자가 자심(自心)이 나타내는 갖가지 망상을 떠나고 모든 심, 의, 의식을 초월하는 것을 말한다. 설통은 언어이며, 종통은 깨달음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외도의 열반론 비판은 상키야 즉 수론(數論) 학파를 비롯한 불교 밖의 철학 종교가 내세우는 열반의 개념을 비판한 뒤, 불교의 열반 개념을 제시한다. 불교의 열반 개념은 자심이 나타내는 망상을 잘 깨닫는 것이며, “자각성지를 얻고, 2무아를 알며, 2번뇌를 떠나고, 2장(障)을 청정하게 제거하며, 영원히 2사(死)를 떠나서 상상지(上上地) 여래지(如來地)에 들어가며, 그림자나 허깨비와 같은 모든 깊은 삼매로서 심, 의, 의식을 떠나는 것을 열반이라 이름한다.” 이 부분에 입각하여 지어진 논서가 『제바보살석릉가경중외도소승열반론(提婆菩薩釋楞伽經中外道小乘涅槃論)』이다.
제4권의 주요 교설은 아뢰야식이라 이름하는 여래장설이다. 능가경의 여래장설이 갖는 하나의 특징은 “여래장은 식장(識藏)”이라고 보는 데 있다. 이 같은 개념의 여래장을 설하는 부분까지가 정종분의 각론이 끝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 다음부터 단식육(斷食肉)의 문제를 설하고 있는 부분 앞까지가 유통분이라 할 수 있다.
이 경에서는 오법(五法)ㆍ삼성(三性)ㆍ팔식(八識)ㆍ이무아(二無我) 등 유가행유식사상과 여래장사상, 공사상과 같은 대승사상 뿐만 아니라 상키야를 비롯한 종종의 외도설도 다루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여래장(如來藏)과 알라야식을 동일시하는 설명이다. 이 점은 후대의 불교 사상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 왜냐하면, 불교 사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논서인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이론 정립에도 이 경이 선구적인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