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적조신변삼마지경(寂照神變三摩地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수행(修行)-기본수행(基本修行)-삼매(三昧)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經單譯
제목정보
대표서명 적조신변삼마지경(寂照神變三摩地經)
경명 적조신변삼마지경(寂照神變三摩地經) 1권
병음 JIZHAOSHENBIANSANMODIJING
약경명 적조신변경(寂照神變經)
별명
저자정보
역자 현장(玄奘)
형태정보
권사항 1
확장정보
고려_위치 13-1286
고려_주석 KBC에 의거 번역년대를 A.D.663에서 좌와 같이 교정, 通檢은 A.D.663으로 표기. KBC는 번역시대를 唐으로 표기.
신수_NR T.0648
신수_위치 15-0723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장] Ḥphags pa rab tu shi ba rnam par ṅes paḥi cho ḥphrul gyi tiṅ ṅe ḥdsin shes bya ba theg pa chen poḥi mdo
티벳_북경_NR 0797
티벳_북경_위치 32-36, Thu189b5
티벳_DU_NR 0129
티벳_DU_위치 Da174b4
티벳_DT_NR 0129
티벳_DT_위치 11-501, Da348,4
티벳_NOTE P. Ḥphags pa rab tu shi ba rnam par ṅes paḥi cho ḥphrul gyi tiṅ ṅe ḥdsin ces bya ba theg pa chen poḥi mdo.
산스_NAME [범] Praśāntaviniścayapratihāryasamādhi Sūtra
산스_NOTE
적사_VOL 13
적사_PAGE 767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529
중화_VOL 024
중화_PAGE 0222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적조신변 삼매의 의의와 그 공덕을 설한 경전이다. 산스크리트경명(梵語經名)은 Praśāntaviniścayapratihāryasamādhi Sūtra이고, 티벳어경명(西藏語經名)은 Ḥphags pa rab tu shi ba rnam par ṅes paḥi cho ḥphrul gyi tiṅ ṅe ḥdsin shes bya ba theg pa chen poḥi mdo이다. 줄여서 『적조신변경(寂照神變經)』이라고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당(唐)나라 때 현장(玄奘)이 663년 혹은 664년에 옥화사(玉華寺)에서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적조신변 삼매의 의의와 그 공덕을 설한 경전으로, 내용의 3분의 2가량이 서분(序分)에 해당한다. 정종분(正宗分)은 현호보살이 부처님에게 어떻게 처(處)·행(行)·궤칙(軌則)·선근(善根)·정진(精進)·억념(憶念) 등을 닦아야 보살이 무상 정등 보리에 들어 물러서지 않는지 설법을 청하고, 부처님은 보살이 적조 신변 삼마지에 안주할 때만 무량하며 수승한 공덕이 있다고 한다. 적조신변 삼마지란 여실하게 일체법을 깨달아 그 상(相)에 통달하여 무지와 번뇌, 탐욕과 애착을 버리고 깨달음을 이루는 것이다. 이 삼마지로 정려(靜慮)·해탈·등지(等持)·등지(等至)·전변(轉變)·자재 등을 얻는다고 반복해서 설한다. 이 경은 3부로 된 서장역의 초부(初部)에 해당하며, 본문에서 ‘유가사지보살소행’ 등의 말이 있는 것으로 보아 유가사상 발생 이후의 저술로 보인다. 또 화엄(華嚴) 사상이나 유가(瑜伽) 사상과도 관련 있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