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섭대승론(攝大乘論)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대승각론(大乘各論)-유식총설(唯識總說)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論
제목정보
대표서명 섭대승론(攝大乘論)
경명 섭대승론(攝大乘論) 3권
병음 SHEDACHENGLUN
약경명
별명
저자정보
역자 진제(眞諦, Paramārtha)
형태정보
권사항 3
확장정보
고려_위치 16-1052
고려_주석 KBC와 通檢은 저자 無着(Asaṅga) 표기. KBC와 通檢은 원목록에 누락된 번역시대를 陳(A.D.563)으로 표기.
신수_NR T.1593
신수_위치 31-0113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장] Theg pa chen po bsdus pa
티벳_북경_NR 5549
티벳_북경_위치 112-215, Li1
티벳_DU_NR 4048
티벳_DU_위치 S12-1, Ri1b1
티벳_DT_NR 4053
티벳_DT_위치 40-161, Ri2
티벳_NOTE
산스_NAME [범] Mahāyānasaṁgraha
산스_NOTE
적사_VOL 16
적사_PAGE 515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638
중화_VOL 029
중화_PAGE 0753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대승이 불설(佛說)임을 논증하고 아뢰야식설ㆍ삼성설(三性說)ㆍ보살 10지(地)ㆍ부처님의 3신(身) 등을 논한 것으로서, 무착(無着)이 저술하였다. 반야불교 및 유가불교를 수용하여 대승불교 전체를 하나의 정연한 조직으로 재구성하고 있으며, 법상종(法相宗)에서 소의로 하는 11논 중 하나이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진(陳)나라 때 진제(眞諦, Paramārtha)가 563년에 번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로는 『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이 있다. 이역본으로는 현장 번역의 『섭대승론본(攝大乘論本)』이 있는데,『섭대승론』과 비교할 때 번역어에는 차이가 있으나 내용은 크게 다르지 않다.
4. 구성과 내용
『섭대승론』은 상‧중‧하 3권으로 되어 있다. 제1 의지승상품(依止勝相品), 제2 응지승상품(應知勝相品), 제3 응지입승상품(應知入勝相品), 제4 입인과승상품(入因果勝相品), 제5 입인과수차별승상품(入因果修差別勝相品), 제6 의계학승상품(依戒學勝相品), 제7 의심학승상품(依心學勝相品), 제8 의혜학승상품(依慧學勝相品), 제9 학과적멸승상품(學果寂滅勝相品), 제10 지차별승상품(智差別勝相品) 등의 10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제1 의지승상품은 다시 중명품(衆名品)‧상품(相品)‧인증품(引證品)‧차별품(差別品)으로 세분된다. 이역본인 현장 역 섭대승론본은 모두 11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제1 의지승상품 중에 있는 중명품은 현장 역본의 제1 총표강요분(總標綱要分)에 해당하며, 상품‧인증품‧차별품은 제2 소지의분(所知依分)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