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섭대승론(攝大乘論)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대승각론(大乘各論)-유식총설(唯識總說)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論
제목정보
대표서명 섭대승론(攝大乘論)
경명 섭대승론(攝大乘論) 2권
병음 SHEDACHENGLUN
약경명
별명
저자정보
역자 불타선다(佛陀扇多, Buddhaśānta)
형태정보
권사항 2
확장정보
고려_위치 16-1262
고려_주석 KBC와 通檢은 저자 無着(Asaṅga) 표기. KBC에 의거 번역년대를 A.D.525-539에서 좌와 같이 교정. KBC는 번역시대를 元魏로 표기.
신수_NR T.1592
신수_위치 31-0097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장] Theg pa chen po bsdus pa
티벳_북경_NR 5549
티벳_북경_위치 112-215, Li1
티벳_DU_NR 4048
티벳_DU_위치 S12-1, Ri1b1
티벳_DT_NR 4053
티벳_DT_위치 40-161, Ri2
티벳_NOTE
산스_NAME [범] Mahāyānasaṁgraha
산스_NOTE
적사_VOL 16
적사_PAGE 535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641
중화_VOL 030
중화_PAGE 0001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논은 진제(眞諦)가 한역한 『섭대승론(攝大乘論)』의 이역본이다. 산스크리트경명(梵語經名)은 Mahāyānasaṁgraha이고, 티벳어경명(西藏語經名)은 Theg pa chen po bsdus pa이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북위(北魏)시대에 불타선다(佛陀扇多, Buddhaśānta)가 531년에 낙양(洛陽)에서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무착이 저술하였고, 이역본으로 진제(眞諦)가 한역한 『섭대승론(攝大乘論)』과 현장(玄奘)이 한역한 『섭대승론본(攝大乘論本)』이 있다. 『섭대승론(攝大乘論)』의 주석서로는 세친(世親)과 무성(無性)의 저술이 각각 있는데, 세친석의 경우 3가지 한역본이 있다. 달마급다(達摩笈多)와 행구(行矩) 역의 『섭대승론석론』, 진제(眞諦)역의 『섭대승론석』, 현장(玄奘)역의 『섭대승론석』이다. 무성석은 현장(玄奘) 역 『섭대승론석』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총 2권으로 구성된 이 논은 『섭대승론』의 이역본 중 가장 먼저 번역되었고, 품의 구분이 없으며, 내용도 가장 간결하다. 대승이 불설(佛說)임을 논증하고, 소승보다 뛰어남을 선양하기 위해 아뢰야식설·삼성설(三性說)·보살 십지(十地)·부처님의 삼신(三身) 등을 논한다. 반야불교 및 유가불교를 수용하여 대승불교 전체를 하나의 정연한 조직으로 재구성한다. 『아비달마대승경(阿毗達磨大乘經)』의 「섭대승품」을 해석한 것이라고 하지만 『아비달마대승경』은 전하지 않는다. 법상종(法相宗)에서 소의로 하는 11논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