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대승각론(大乘各論)-유식총설(唯識總說)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論
제목정보
대표서명 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
경명 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 10권
병음 SHEDACHENGLUNSHI
약경명 무성섭론(無性攝論)
별명 섭대승론무성석(攝大乘論無性釋)
저자정보
저자 무성(無性, Asvabhāva)
역자 현장(玄奘)
형태정보
권사항 10
확장정보
고려_위치 17-0161
고려_주석 저자 원명은 KBC를 따름, 通檢은 Agotra로 표기. KBC와 通檢은 원목록에 누락된 번역시대를 唐으로 표기. 번역년대는 KBC와 通檢은 A.D.647-649로, 解題는 A.D.602-664로 표기.
신수_NR T.1598
신수_위치 31-0380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장] Theg pa chen po bsdus paḥi bśad sbyar
티벳_북경_NR 5552
티벳_북경_위치 113-1, Li232b5
티벳_DU_NR 4051
티벳_DU_위치 S12-95, Ri190b1
티벳_DT_NR 4056
티벳_DT_위치 40-215, Ri380,1
티벳_NOTE P. Theg pa chen po bsdud paḥi bśad sbyar.
산스_NAME [범] Mahāyānasaṁgrahopanibandhana
산스_NOTE
적사_VOL 16
적사_PAGE 789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645
중화_VOL 030
중화_PAGE 0256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논은 『섭대승론』에 대한 무성(無性)의 주석서이다. 산스크리트경명(梵語經名)은 Mahāyānasaṁgrahopanibandhana이고, 티벳어경명(西藏語經名)은 Theg pa chen po bsdus paḥi bśad sbyar이다. 줄여서 『무성섭론(無性攝論)』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섭대승론무성석(攝大乘論無性釋)』이라고도 한다.
2. 성립과 한역
무성(無性)이 저술하였고, 중국 당(唐)나라 때 현장(玄奘)이 647년 4월에서 649년 7월 사이에 대자은사(大慈恩寺)에서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와 이역본은 없다.
4. 구성과 내용
총 10권으로 구성된 이 논은 대승이 불설(佛說)임을 논증하고 아뢰야식설·삼성설(三性說)·보살 십지(十地)·부처님의 삼신(三身) 등을 논하는 『섭대승론』에 대한 무성(無性)의 주석서이다. 모두 11분(分)으로 이루어진다. 전체적으로 세친(世親)의 주석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세친은 지엽적인 문제에 빠지지 않고 일관되게 논지를 구명해 나가고, 무성은 숨은 의미를 탐구하고, 여러 가지 상이한 설을 들어 주석하는 등 세친의 주석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주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