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전식론(轉識論)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대승각론(大乘各論)-유식(唯識)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論
제목정보
대표서명 전식론(轉識論)
경명 전식론(轉識論) 1권
병음 ZHUANSHILUN
약경명
별명 전식품(轉識品)
저자정보
역자 진제(眞諦, Paramārtha)
형태정보
권사항 1
확장정보
고려_위치 17-0497
고려_주석 KBC와 通檢은 저자 世親(Vasubandhu) 표기. KBC와 通檢은 원목록에 누락된 번역시대를 陳으로 표기. 번역년대는 KBC와 通檢은 A.D.557-569로, 解題는 A.D.558-569로 표기.
신수_NR T.1587
신수_위치 31-0061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장] Sum cu paḥi tshig leḥur byas pa
티벳_북경_NR 5556
티벳_북경_위치 113-231, Si1
티벳_DU_NR 4055
티벳_DU_위치 S14-1, ?i1b1
티벳_DT_NR 4060
티벳_DT_위치 40-348, Shi2
티벳_NOTE
산스_NAME [범] Vijñanapariṇāma Śāstra
산스_NOTE
적사_VOL 17
적사_PAGE 070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662
중화_VOL 030
중화_PAGE 0665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논은 식(識)의 전변(轉變)에 대해 설한다. 산스크리트경명(梵語經名)은 Triṁśikāvijñāptimātratāsiddhi이고, 티벳어경명(西藏語經名)은 Sum cu paḥi tshig leḥur byas pa이다. 별칭으로 『전식품(轉識品)』이라고도 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진(陳)나라 때 진제(眞諦, Paramārtha)가 557년에서 569년 사이에 한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이역본으로 현장(玄奘)이이 한역한 『유식삼십론송(唯識三十論頌)』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식(識)의 전변(轉變)에 대해 설한다. 여기서 식의 전변이란 실재하지도 않는 사물을 실재하는 것으로 분별하는 식의 작용을 말한다. 이 논은 『삼무성론(三無性論)』, 『현식론(顯識論)』과 함께 『무상론(無相論)』의 일부를 이루어 「전식품(轉識品)」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개원록(開元錄)』에는 『전식론』이 『현식론』에서 나온 것이라고 하기 때문에, 「전식품」은 「현식품」의 일부이며, 그것이 다시 『무상론』의 일부가 되었음을 알 수 있지만, 『무상론』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지지 않는다. 또한 이 논서는 『유식삼십송』의 이역본이지만, 『삼십송』 이외에 다른 학설을 부가하고『삼십송』의 문구도 산문으로 번역하는 점이 특이하다.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식(識)의 전변에 2종이 있으며, 하나는 전변하여 중생이 되고, 다른 하나는 전변하여 법이 된다. 일체의 대상은 중생과 법이라는 두 가지를 벗어나지 않는다. 이 둘은 실은 없는 것(無)이며, 단지 식이 전변하여 두 가지 모양을 만들었을 뿐이다. 능연(能緣)에는 3종이 있다. 첫째는 과보식(果報識), 즉 아려야식(阿黎耶識)이고, 둘째는 집식(執識), 즉 아다나식(阿陀那識)이며, 셋째는 진식(塵識), 즉 6식이다. 이중 과보식은 번뇌가 만들어 낸 것이므로 과보라 부르고, 또 본식(本識)이라고도 한다. 모든 유위법의 종자가 의지하기 때문이다. 또 택식(宅識), 혹은 장식(藏識)이라고도 한다. 이 식의 경(境)과 상(相)은 분별할 수 없는 것으로, 그 체가 서로 다른 것이 아니다. 이 식은 촉(觸)·작의(作意)·수(受)·사유(思惟)·상(想)이라는 5종의 심법과 상응한다. 이 식과 심법은 그 성품이 무기(無記)인데, 끊어지지 않고 흐르는 물의 흐름이나 파도와 같다. 본식은 흐름과 같고 5종의 심법은 파도와 같다. 아라한과를 얻을 때까지 이 흐름과 파도는 소멸하지 않는다. 제2 집식은 제1식에 의지해서 일어나며, 집착이 그 본질이다. 이것은 무명(無明)‧아견(我見)‧아만(我慢)‧아애(我愛)의 4혹(惑)과 상응하며, 유부(有覆) 무기(無記)이다. 제3 진식은 다시 6종이 된다. 그 체(體)는 3성(性)에 통하고 10종의 심법과 상응해서, 10종의 선악과 함께 하여 크고 작은 혹(惑)이 있고 3종의 수(受)를 갖는다. 다음으로 3성(性)에 관해 설한다. 각각의 식에는 능분별(能分別)과 소분별(所分別)이 갖추어져 있다. 이중 능분별은 식이고 소분별은 대상이다. 능분별은 의타성(依他性)이고, 소분별은 분별성(分別性)이다. 2종의 숙업(宿業) 훈습(熏習)과 2종의 습기(習氣)는 집제(集諦)이므로 생사를 성립시킨다. 이중 2종의 숙업 훈습이란 숙업 훈습과 그에 대한 집착을 말하며, 2종의 습기란 상(相) 습기(習氣)와 추중(麤重) 습기를 말한다. 숙업 훈습은 분별되는 것이므로 분별성이며, 숙업 훈습에 집착하는 것은 분별하는 것이므로 의타성이다. 또한 2종의 습기 가운데 상 습기는 번뇌의 본체가 되므로 의타성이고, 추중 습기는 번뇌의 대상이므로 분별성이다. 이러한 분별로 이와 같은 것들을 분별한다면, 이것을 분별성(分別性)이라고 한다. 그때, 실은 드러난 바의 본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 분별은 다른 것에 의존하여 일어나게 된다. 이를 의타성(依他性)이라고 한다. 이 두 가지 자성이 아직 나누어지지 않은 것이 곧 진실성(眞實性)이다. 이런 이유로 분별성은 의타기성과 같은 것도 아니고 다른 것도 아니다. 그러나 일체의 법은 다만 3성일뿐으로 모든 법을 포섭하여 남김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