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기본교리(基本敎理)-5온(五蘊)
주제분류 교리(敎理)-교리연구(敎理硏究)-법분석(法分析)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大乘-大乘論
제목정보
대표서명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경명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1권
병음 DACHENGWUYUNLUN
약경명 오온론(五蘊論)
별명
저자정보
역자 현장(玄奘)
형태정보
권사항 1
확장정보
고려_위치 17-0637
고려_주석 KBC와 通檢은 저자 天親(Vasubandhu) 표기. KBC와 通檢은 원목록에 누락된 번역시대를 唐(A.D.647)으로 표기. **KBC의 이 항목은 K.0619와 뒤바뀜.
신수_NR T.1612
신수_위치 31-0848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장] Phuṅ po lṅaḥi rab tu byed pa
티벳_북경_NR 5560
티벳_북경_위치 113-237, ?i12b6
티벳_DU_NR 4059
티벳_DU_위치 ?i11b4
티벳_DT_NR 4064
티벳_DT_위치 40-351, Shi22,4
티벳_NOTE
산스_NAME [범] Pañcaskandhaprakaraṇa
산스_NOTE
적사_VOL 17
적사_PAGE 207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669
중화_VOL 030
중화_PAGE 0847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논서는 세친의 저술을 현장(玄奘)이 번역하였다. 5온법을 대승의 5온법에 따라 논하고 대승의 12처(處)ㆍ18계(界)에 대해서도 설한다. 산스크리트 경명은 Pañcaskandhaprakaraṇa이고 티벳어 경명은 Phuṅ po lṅaḥi rab tu byed pa이다. 줄여서 『오온론』이라고 한다.
2. 성립과 한역
이 논서는 세친(世親)이 저술하였으며, 당(唐)나라 때 현장(玄奘)이 647년에 취미궁(翠微宮)에서 번역하였거나, 또는 647년 4월에 홍복사(弘福寺)에서 번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주석서로는 안혜(安慧)가 저술하고, 지바가라(地婆訶羅)가 번역한 『대승광오온론(大乘廣五蘊論)』 1권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이 논서는 5온법을 소위 대승의 5온법에 따라 설하였다. 이와 함께 대승의 12처, 18계도 설하고 있다. 처음에 색, 수, 상, 행, 식 등 5온의 이름을 밝힌다. 소승 살파다(薩婆多) 즉 설일체유부는 5위(位) 75법(法) 가운데 유위 72법을 5온으로 분류하지만, 대승에서는 5위 100법 가운데 유위 94법을 5온으로 분류한다. 색온에는 5근(根)과 5경(境)과 무표색(無表色), 수온에는 수(受) 심소, 상온에는 상(想) 심소, 행온에는 수와 상의 심소를 제외한 일체의 심법(心法) 및 불상응행법 등의 67법, 식온에는 아뢰야식 등의 8식을 배치한다. 12처와 18계의 분류도 대승의 5위 100법에 따른 다. 극히 단편임에도 불구하고 대승의 5온법을 명료하게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