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불설사견경(佛說邪見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기본교리(基本敎理)-무기(無記)
주제분류 교리(敎理)-기본교리(基本敎理)-사견(邪見)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小乘-小乘經
제목정보
대표서명 불설사견경(佛說邪見經)
경명 불설사견경(佛說邪見經) 1권
병음 FOSHUOXIEJIANJING
약경명
별명
저자정보
형태정보
권사항 1
확장정보
고려_위치 19-0590
고려_주석 원목록에는 失譯人名附東晉錄으로 표기. KBC는 번역시대 및 연대를 劉宋(A.D.420-479) 표기.
신수_NR T.0093
신수_위치 01-0917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산스_NOTE
적사_VOL 18
적사_PAGE 845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755
중화_VOL 034
중화_PAGE 0123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사명외도의 일화를 통해 사견(邪見)을 버릴 것을 설한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유송(劉宋)시대(420-479)에 한역되었고, 한역자는 미상이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이역본으로 『중아함경(中阿含經)』 제220 『견경(見經)』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총 1권으로 구성된 이 경은 사명외도의 일화를 통해 사견(邪見)을 버릴 것을 설한다. 아난이 나열성(羅閱城)의 가란다(迦蘭陀) 죽원(竹園)에 있을 때였다. 부처님이 열반에 든 지 오래지 않아 아난의 친구이던 사명(邪命) 외도가 찾아와 세간의 상(常)과 무상, 정신과 몸의 일(一)·이(異) 등에 대해 묻고 그러한 궁극적인 질문에 대해 왜 부처님이 명확하게 대답하지 않았는지 질문한다. 그러자 아난은 부처님은 지혜가 있고 지견(智見)이 있기 때문에 그러한 질문을 잘못된 견해로 간주하고 설하지 않은 것이라 대답한다. 이에 사명 외도가 아난에게 귀의하고자 하지만 아난은 그가 부처님에게 귀의하도록 권유한다. 그래서 사명외도는 불·법·승에 귀의하고 살생하지 않을 것을 다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