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

해제 닫기

불설수달경(佛說須達經)

분류정보
주제분류 교리(敎理)-기본교리(基本敎理)-염리(厭離)
분류체계 正藏-初雕藏經部-小乘-小乘經
제목정보
대표서명 불설수달경(佛說須達經)
경명 불설수달경(佛說須達經) 1권
병음 FOSHUOXUDAJING
약경명
별명 수달장자경(須達長者經)
저자정보
역자 구나비지(求那毗地, Guņavŗddhi)
형태정보
권사항 1
확장정보
고려_위치 19-0651
고려_주석
신수_NR T.0073
신수_위치 01-0879
속장_NR
속장_위치
만속_위치
티벳_NAME
티벳_북경_NR
티벳_북경_위치
티벳_DU_NR
티벳_DU_위치
티벳_DT_NR
티벳_DT_위치
티벳_NOTE
산스_NAME
산스_NOTE
적사_VOL 18
적사_PAGE 824
적사_NOTE
불광_VOL
불광_PAGE
불광_ROW
가흥_NR
가흥_VOL
가흥_PAGE
송장_VOL
송장_PAGE
중화_NR 0781
중화_VOL 034
중화_PAGE 0239
중화_NOTE

[서지해제]

1. 개요
이 경은 가난하고 외로운 사람들에게 보시하기를 좋아하고 승단에 정사를 지어서 보시한 수달(須達: 급고독) 장자에게 부처님께서 진정한 보시에 대하여 설한 경전이다.
2. 성립과 한역
중국 소제(蕭齊)시대에 구나비지(求那毗地, Guṇavṛddhi)가 492년 (또는 495년)에 양도(楊都)에서 번역하였다.
3. 주석서와 이역본
이역본으로 『삼귀오계자심염리공덕경(佛說三歸五戒慈心厭離功德經)』ㆍ『장자시보경(佛說長者施報經)』ㆍ『중아함경(中阿含經)』 제155 『수달다경(須達多經)』ㆍ『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 제27 「등취사제품(等趣四諦品)」 등이 있다.
4. 구성과 내용
1권으로 부처님께서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실 때였다. 부처님께서 믿음으로 기꺼이 보시하는 일[信樂施]ㆍ상대방이 필요로 하는 것을 필요한 때에 보시하는 일[隨時施]ㆍ자기 손으로 직접 보시하는 일[自手施]의 3종류 보시가 훌륭한 보시라고 설하신다. 그리고 아무리 많은 보시를 행하였다 하더라도 그 공덕은 3보에 귀의하고 5계를 지키는 공덕에는 미치지 못하며, 5계를 지키는 등의 공덕도 중생을 사랑하고 일체 행이 덧없고 괴롭고 텅 비었으며 참다운 내가 아니라는 사실을 관찰하는 것에는 미치지 못한다고 설법하신다. 또한 보시를 행하더라도 자신과 타인, 그리고 수많은 사람들을 가엾이 여겨서 설법하는 것을 듣고 깨닫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신다.